메뉴 건너뛰기

추천-헬로페어런츠(hello! Parents) 배우 한가인이 차 안에서 끼니를 해결하며 14시간 동안 ‘라이딩’(차로 자녀를 학원 등에 데려다주는 것) 하는 영상이 화제를 모은 끝에 비공개로 전환됐는데요. 화려할 것 같은 배우의 평범한 일상만큼이나 관심을 끈 건 그의 아이가 다니는 학교였습니다. 한가인은 아이를 서울 역삼동(강남)에 있는 한 국제학교에 보냅니다. 가수 백지영, 배우 전지현·이시영·현영 등도 아이를 국제학교에 보내고 있습니다. 연예인들만의 얘길까요? 밀레니얼 양육자를 위한 더중플 시리즈 헬로페어런츠(hello! Parents)가 취재한 결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은 왜 아이를 국제학교에 보낼까요? hello! Parents가 특별기획 국제학교 심층 대해부를 준비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학교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 열기는 데이터로도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892만 명이던 학령인구는 지난해 715만 명으로 20%가량 줄었지만, 같은 기간 인가받은 정식 국제학교 재학생은 3584명에서 5233명으로 46%나 늘었다. 흥미로운 점은 서울 강남과 경기 남부 지역의 미인가 국제학교가 인기라는 것이다. 미인가 국제학교는 사실상 학원이라 재학생을 파악하기 어렵다. 하지만 업계에선 서울 강남·서초·용산 세 개 구의 학업 중단 초등학생 비율로 그 숫자를 가늠한다. 이들 세 개 구는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학업 중단 초등학생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학교를 그만둔 학생 대부분이 국제학교, 그중에서도 미인가 국제학교로 가기 때문이다. 이 세 개 구의 학업 중단 초등학생 비율은 5년 전 2%대에서 지난해 3%, 4%대로 치솟았다.
미인가 국제학교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사실상 학원이지만, 학교 대신 이곳을 선택하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미인가 국제학교 비씨컬리지잇(BCC). 이 학교는 서초동에 유치부·초등 캠퍼스를, 역삼동엔 중고등 캠퍼스를 따로 두고 있다. 장진영 기자
국제학교는 적게는 연 2000만원에서 많게는 6000만원의 학비가 든다. 무상으로 다닐 수 있는 초등학교를 놔두고 의대 1년 학비(1000만원가량)의 2배에서 6배의 돈을 내며 다닌다는 얘기다. 게다가 최근 크게 늘어난 미인가 국제학교의 경우 국내에서 학력을 인정받지 못한다. 중·고등에서 대학으로 이어지는 국내 입시 트랙으로 돌아오기 힘들단 얘기다. 그런데도 미인가 국제학교에 보내는 사람들은 늘어나는 추세다. 배우 한가인과 가수 백지영의 아이가 다니는 학교 역시 인가를 받지 않은 곳이다. 앞서 살펴본 서울 강남·서초·용산 세 개 구의 학업 중단 초등학생 비율이 크게 증가한 것도 미인가 국제학교의 인기와 무관하지 않다.

인기의 배경은 입시 결과였다. 2019년 이후 코로나19로 미국 등지에서 공부하던 유학생들이 대거 유입된 데다 해외 대학의 입학 절차가 간소화되면서 미국 명문대 진학에 성공한 미인가 국제학교 졸업생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이다. 임준희 청담엘유학원 대표는 “입시 성과가 좋아지면서 유학이나 인가 국제학교를 생각하던 학생들이 미인가 국제학교에 진학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세인트폴서울·강남인터내셔널스쿨(GIS)이 입시 결과가 좋은 곳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인기가 높아졌다.

그뿐 아니라 업력이나 시설 측면에서 안정적인 교육을 자랑하는 곳도 많아졌다. 1983년 설립된 외국인학교 부지에 2018년 새롭게 문을 연 서울아카데미, 3호선 남부터미널역 인근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비씨컬리지잇(BCC), 경기 용인을 중심으로 확장하고 있는 페이스튼국제학원 등이 대표적이다.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의 질을 인정받자, 미인가 국제학교의 장점도 부각되기 시작했다. 미인가 국제학교의 장점은 뭘까? hello! Parents 특별기획 ‘국제학교 심층 대해부’ 1화에서는 최근 도드라지게 나타나는 국제학교 시장의 세 가지 특징을 살펴본다.

☞ 제주·송도까지 어떻게 보내요… 한가인 픽한 ‘국제학교 대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890
hello! Parents 특별기획 국제학교 심층 대해부 ① “제주·송도 유학? 대세는 대치동 유학” 국제학교 들여다보니
어느 때보다 국제학교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최근 국제학교 시장에서 도드라져 보이는 특징은 뭘까? hello! Parents가 지난 한 달간 국제학교 관계자 및 양육자 40여 명을 심층 취재해 세 가지 특징을 뽑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890

② “영유 나와 사립초 못 가면 딱 3년만?” 미인가 국제학교의 부상
국제학교 열풍의 핵심은 미인가다. 과거엔 주로 인천 송도나 제주에 있는 인가 국제학교를 보냈다면, 최근엔 서울·경기 소재 미인가 국제학교가 대세로 떠올랐다. hello! Parents의 취재 결과, 미인가 국제학교 시장의 키워드는 세 가지였다. 영어유치원(유아 대상 영어학원), 코로나19, 그리고 가성비. 이 세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미인가 국제학교를 들여다본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6123

③ “인증은 받았나요? 입결은요?” 국제학교 선택 전 체크리스트(2월 27일 발행 예정)
④ “연 1억? 아이비리그 가능할까?” 제주·송도 국제학교의 세계(2월 28일 발행 예정)
⑤ “학원 뺑뺑이 싫은데, 결국 수능?” 국제 대안학교 딜레마(3월 3일 발행 예정)
⑥ “현금 20억 없으면 쳐다도 보지 말라” 국제학교 영끌 반대하는 이유(3월 4일 발행 예정)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84 [속보] 尹대통령 "개헌·정치개혁 마지막 사명…국민통합 노력"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83 [속보] 국힘, 윤석열 최후진술에 “계엄 절박함 충분히 설명···임기 언급 의미심장”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82 윤석열 대통령 ‘최후진술’ 전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81 [속보] 윤 대통령 "직무복귀하면 계엄 또 선포? 터무니 없는 주장"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80 尹 “직무 복귀하면 개헌에 집중…남은 임기 연연 안해”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9 [속보] 尹 대통령 "국민께 혼란과 불편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죄송스럽게 생각"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8 [속보] 尹 "잔여 임기 연연 않겠다"…임기단축 개헌 꺼냈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7 피할 새 없이 5초 만에 '와르르'… 콘크리트 구조물 붕괴로 작업자 4명 참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6 “尹 파면”“공산당 가라”… 인근 찬탄·반탄 집회로 난장판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5 [속보] 윤 대통령 “국가 위한 계엄이었지만 혼란·불편 끼쳐 죄송”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4 불난 집 뜯은 문, 소방관이 배상?…"예산 있다" 소방청장 해명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3 [속보] 尹 “비상계엄, 망국적 상황을 알리는 것… 상당 부분 목적을 이뤘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2 스위스까지 날아가 ‘존엄사’…“존엄하게 죽을 권리 달라!”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1 [속보] 윤 대통령 "서서히 끓는 솥 안 개구리처럼 벼랑 끝 현실 보여"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0 尹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하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9 尹대통령 "직무 복귀하면 개헌에 집중…잔여임기 연연 안 해" new 랭크뉴스 2025.02.25
» »»»»» 제주·송도? 요샌 여기다…한가인도 픽한 '국제학교 대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7 [속보] 윤석열, 최종변론 7시간 지각 출석…저녁 9시께 등장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6 [속보] 윤 대통령 “복귀하면 개헌 추진…잔여 임기 연연하지 않아”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5 정청래 소추단장 “헌법·민주 말살하려 한 윤 대통령 파면돼야 마땅”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