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경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9부 능선을 넘기면서 더불어민주당도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당 지도부는 전국 시·도당에 다음달 7일까지 지역 공약을 보고하라는 지침을 내리는 등 물밑 채비에 나선 모양새다. 정권교체 여론이 우세한 가운데 이 대표가 이렇다 할 경쟁자 없이 대세론을 이어가고 있지만, 대선 고지까지 세개의 고갯길이 변수로 지목되고 있다.
① 여당의 네거티브
조기 대선을 앞둔 이 대표 앞에 놓인 가장 높은 허들은 ‘반이재명 정서’다. 민주당의 한 친이재명계 의원은 23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반탄’ 집회에 가보면 ‘윤석열을 지키자’가 아니라 ‘이재명을 체포하라’를 외치더라”며 “여당은 특별한 공약 없이 ‘이재명 때리기’에 매달릴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에선 최근 ‘우클릭’ 행보로 외연 확장에 나선 이 대표를 겨냥해 “오락가락하는 정치 행보는 국민의 신뢰를 잃을 뿐”이라고 공세를 펴고 있다.
이 대표는 ‘가짜 우클릭’이라는 여권의 공세에 맞서 주말 내내 페이스북에 6개의 게시물을 잇따라 올리며 직접 반격에 나섰다. 그는 여당이야말로 ‘극우클릭’ 중이라며 “보수를 참칭하던 수구 정당 국민의힘이 윤석열·전광훈을 끌어안고 극우 본색을 드러내며 겉치레 보수 역할마저 버리고 극우범죄당의 길을 떠났다”고 주장했다. 이번 대선을 ‘극단주의 대 반극단주의의 대결’로 규정하고 여당을 극우로 고립시키겠다는 전략이다.
② 지난 패배 넘어설 ‘통합’
‘49 대 51’이라는 진영 간 대결 양상으로 펼쳐지는 대선에서, 총력전을 위한 당내 통합도 숙제다.
민주당의 한 친문재인계 원외 인사는 “대선은 어느 당이 경선 이후에도 똘똘 뭉쳐 합집합으로 선거를 치러내느냐가 (승리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2022년 대선 당시 경선 후유증을 수습하지 못해 ‘원팀 선거’를 치러내지 못한 게 패인이 됐다는 평가도 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김부겸 전 국무총리, 임종석 전 의원, 김동연 경기지사, 박용진 전 의원 등 당내 비주류 주자들은 이와 관련해 최근 이 대표를 향해 ‘통합’과 ‘포용’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대표도 이런 문제의식을 인지한 듯, 이들과 차례로 회동하며 통합에 방점을 찍고 있다. 친명계 의원은 “결국은 경선 룰을 협상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선두 주자인 이 대표에게 양보를 요구하고 이를 조금씩 받아들이는 과정으로 이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③ 3월 선거법 항소심
무엇보다 험난한 고비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이후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되는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재판 항소심 결과다.
3월 중 항소심 결과가 나올 것이란 예상 속에, 당 지도부는 1심의 당선무효형(징역 1년 집행유예)이 뒤집힐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대표 쪽은 ‘사법 정의’를 외치며 항소심 결과를 낙관하고 있으나, 예단할 수는 없다. 또 항소심에서 그대로 당선무효형을 선고하더라도 이 대표의 대선 완주에는 영향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비주류는 여론이 크게 출렁일 경우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기대를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