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한미 자본시장에 대한 인식 조사’
국장 선호도 보다 미장 선호도 월등히 높아
국장 선호도 보다 미장 선호도 월등히 높아
뉴욕 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국내 투자자들 절반 이상이 미국 자본시장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난 17∼18일 자체 온라인 플랫폼인 '소플'을 통해 국민 1천505명을 대상으로 '한미 자본시장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4.5%는 한미 자본시장 중 미국 자본시장을 더 선호한다고 답했다.
국내 자본시장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23.1%에 불과했으며, 양쪽 투자 선호도가 비슷하다는 답변은 22.4%였다.
미국 자본시장에 투자하는 이유로는 기업의 혁신성·수익성(27.2%)을 지목했다. 활발한 주주환원(21.3%), 국내 증시 침체(17.5%), 미국 경제 호황(15.4%), 투명한 기업지배구조(14.8%), 투자자 친화적 세제·정책지원(3.8%)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투자자의 미국 증시 선호 현상은 앞으로도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향후 미국 자본시장에 투자를 확대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9.0%였다. 현상 유지는 15.3%, 축소 의향은 5.7%에 그쳤다.
반면 국내 자본시장의 투자를 확대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54.3%였다. 현상 유지 26.6%, 축소 의향 19.1%로 나타났다.
올해 주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했으나, 미국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상승 79.3%, 현상 유지 14.0%, 하락 6.7%)이 국내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상승 55.2%, 현상 유지 22.6%), 하락 22.2%)보다 더 많았다.
국내 자본시장이 부진한 이유로는 응답자의 34.6%가 국내 기업의 혁신성 정체를 첫손에 꼽았다. 규제 중심 기업·금융정책(23.6%), 단기적 투자문화(17.5%), 지배구조와 주주환원 미흡(15.4%), 금융투자에 대한 세제 등 지원 부족(6.8%) 등도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