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시내 한 어린이집에서 한 어린이가 등원하고 있다. /뉴스1

작년 육아휴직 사용 인원이 역대 최고인 13만2535명으로 집계됐다. 또 전체 육아휴직 사용 인원 중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처음으로 30%를 넘었다.

고용노동부는 작년 일·육아 지원 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가 25만6771명으로, 전년보다 7.2%(1만7242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부의 일·육아 지원제도는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출산휴가 ▲배우자 출산휴가 등이다.

가장 많은 인원이 활용한 제도는 육아휴직이다. 전년보다 5.2% 증가한 13만2535명이 육아휴직을 썼다. 이는 역대 가장 많은 인원이다. 육아휴직자는 2022년 13만1083명에서 2023년(12만6008명)으로 줄었다가 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고용노동부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은 31.6%(4만1829명)을 차지했다. 처음으로 30% 비중을 넘어선 것이다. 지난 2015년 한 자릿수에 불과했던 남성 육아휴직자는 10년 사이 9배쯤 늘었다.

작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2만6627명이다. 전년(2만3188명)보다 14.8% 증가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아직 육아휴직에 비해 사용자 수가 적지만, 육아휴직과 별개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1년간 쓸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된 이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밖에 출산휴가 사용 인원은 전년보다 6.5%(4832명) 증가한 7만9368명이다.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도 1만8241명으로, 전년보다 15.5%(2444명) 늘었다.

정부는 올해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해 육아지원제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1월 1일부터 육아휴직급여가 월 최대 250만원까지 대폭 인상되고, 급여의 25%를 사후 지급하는 방식도 폐지돼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한다. 육아휴직을 1년간 쓸 경우 최대 2310만원을 받을 수 있다.

김문수 고용부 장관은 “일·가정 양립제도가 현장에서 잘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05 “교황 한때 호흡 곤란, 병세 위중”…곳곳에서 ‘쾌유 기원’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4 "김용현, 계엄 후 서재 자료 전부 치우라 지시…3시간 세절"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3 번거로운 커리어 코칭, 꼭 해야 하나요?[김한솔의 경영전략]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2 "광물 5000억 달러 내놓고, 러 비판하지 마"… 트럼프 폭압에 괴로운 우크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1 다가온 최후 변론…양측 전략 고심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0 "尹 복귀하면 파멸"... 최종 변론 앞둔 민주당의 여론전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9 "해외에서 '이런 술' 먹으면 죽습니다"…메탄올 구분하는 방법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8 머스크의 13번째 자녀 낳았다는 여성, 친자확인·양육권 소송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7 수원 다세대주택 화재 2명 사상‥접착제 공장 화재 야산으로 번져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6 ‘어대명’ 앞서 이재명이 넘어야 할 3개의 허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5 '金채연 시대' 열었다, '안방'서 사대륙 1위·1위·1위 [사진잇슈]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4 "벌써 수출 줄어"‥'관세 날벼락' 피해 현실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3 '사이버레커' 못 숨는다‥정보공개·수익 환수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2 "헌재에 중국식 이름 많아"‥여당 중진까지 가세한 마구잡이 '혐중'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1 [날씨] 월요일 막바지 추위…수도권 등 곳곳 대기 건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0 “지옥에서도 우리는 함께였다”… ‘마가’ 본산으로 금의환향한 트럼프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89 교황청 "천식 악화로 위증했던 교황, 밤 조용히 지나고 안정 중"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88 차곡차곡 쌓인 의혹···김건희 여사는 ‘내란의 무풍지대’일까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87 장군들은 "기억 안난다"는데‥떨치고 나선 휘하 장교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86 권성동 “李, 대통령 돼도 재판 계속되는 게 상식”(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