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불경기·사회 불안에 취준생 선호도 변화
9급 공무원 인기↑···경쟁률 9년만에 반등
안정성 선호· ‘빈 철밥통’ 처우 개선 영향
서울 동작구 노량진 학원가에서 시험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요즘엔 다들 스펙이 너무 좋잖아요. 몇 년씩 유학 다녀온 사람들도 많고…취업 시장에선 제가 경쟁력이 없다고 느꼈어요.”

“어차피 사기업 취업하는 데도 몇 년씩 걸리는데, 온갖 스펙 쌓느니 차라리 시험공부를 하는 게 나아요.”

22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의 한 공무원 학원. 9급 공무원 시험 전략 설명회에 방문한 신모 씨(27세·여)가 깊은 한숨을 내쉬며 공무원 준비 계기를 털어놓았다. 영하권 추위에도 설명회에는 50여 명이 넘는 이들이 몰려들어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강사가 “2년 안에 합격하려면 바뀐 출제 기조를 이해해야 한다”고 말하자 몇몇은 고개를 끄덕이며 열심히 강의 내용을 받아 적었다.

이날 설명회를 찾은 청년들 대부분이 신씨처럼 말했다. 공무원 시험 준비를 막 시작했다는 김혜지(25)씨는 한 회사에 취직했지만 잦은 야근에 시달리다 1년 만에 퇴사했다. 김씨는 "일반 중소기업은 시간외 근무 수당도 어물쩍 뭉개버리고, 채용 과정에서 떨어져도 이유를 알 수 없어 답답하다”며 “전전긍긍하느니 합격 기준이 명확하고 초과 수당도 합법적으로 챙겨주는 공무원이 더 나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경기 불황과 취업난이 장기화하며 ‘MZ 세대’로부터 외면받던 9급 공무원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의 공무원직 처우 개선과 함께 사기업 채용 시장이 쪼그라든 결과 공무원직의 ‘안정성’에 매력을 느끼는 취준생들이 오랜만에 늘어나는 분위기다.

앞서 이달 8일 인사혁신처는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24.3대 1을 기록하며 지난해보다 상승했다고 밝혔다. 선발 예정 인원은 지난해 4749명에서 올해 4330명으로 줄었지만 지원자는 10만 3597명에서 10만 5111명으로 증가했다. 9급 공채 경쟁률은 2016년(53.8대 1) 이후 하락곡선을 그리다 이번에 9년 만에 반등했다.

22일 노량진 학원가 앞 컵밥거리를 고시생들이 지나가고 있다(왼쪽). 한 사설 공무원 학원업체에서 시험 준비 설명회를 열고 가이드북을 배포했다(오른쪽). 정유나 견습기자


변화의 기운은 노량진 고시촌에서도 감지된다. 노량진의 대형 공무원 학원에서 4년째 상담을 하는 직원 김모 씨는 "확실히 작년이나 재작년에 비해 최근 학원을 찾아오는 사람들이 늘었다"며 "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거나 군대를 막 전역한 20대 초중반이 가장 많이 온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원 관계자도 “내년 9급 공무원 경쟁률도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며 경쟁률이 크게 감소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저연차 이탈 러쉬’를 겪던 공무원직의 인기 반등은 취업난과 경기 불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는 노인 일자리 공급 정책의 여파로 1년 전보다 13만 5000명 증가했다. 하지만 집계 범위를 청년층으로 좁히면 얘기가 달라진다. 15~29세 청년 취업자는 21만 8000명 줄어 2021년 이후 가장 크게 감소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민간에서 젊은이들을 위한 일자리가 나오지 않으니 선발 인원이 보장된 공무원에 지원하는 것”이라며 “경기가 불황일 땐 직업 선택 시에 수입보다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최근 정부가 보수 인상 등 공무원 처우를 개선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도 나온다. 지난달 정부는 저연차 공무원들의 이탈이 늘어나자 9급 공무원 초임 보수를 단계적으로 300만 원까지 올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월 269만 원인 9급 초임 보수는 내년 284만 원, 내후년에 300만 원까지 오를 전망이다.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과 교수는 “특히 2030세대는 급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처우 개선이 경쟁률 반등에 가장 크게 기여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동작구 노량진의 한 공무원 학원. 뉴스1


전문가들은 ‘반짝인기’가 아닌 꾸준한 공무원직 선호도 회복을 위해 인력 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지난해 국회입법조사처는 ‘신규임용 공무원의 퇴직 증가 문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공무원직의 위상 하락이 "단기적으로 인력 부족에 따른 업무 공백과 기존 직원의 업무 과부하, 장기적으로는 공공조직의 대외적 위상 하락과 우수인재 확보 곤란으로 인한 공무의 부실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수 현실화·유연한 조직문화 조성·합리적인 업무 분배 등을 통해 충분한 ‘청년 공무원’ 인력을 확보할 것을 제안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66 작년 육아휴직 사용 인원 ‘역대 최고’… 남성 비중 처음 30% 넘어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65 트럼프-푸틴 직거래… 상처뿐인 전쟁 결국 ‘더티 딜’로 끝나나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64 따로 가는 與 지도부와 대권 잠룡들... 尹 탄핵 심판 엇박자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63 野진성준 "일제강점기 때 조선 청년, 혁명가 아니면 마약쟁이"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62 5월 중순 ‘장미 대선’ 가시화…몸풀기 들어간 여당 주자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61 국힘을 '극우'에 가두다…이재명 '중도보수론'은 대선 전략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60 韓 배터리 3사, ‘인터배터리 2025′ 참가…혁신 기술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9 ‘尹 탄핵 가늠자’ 재판관 질문 보니… 국회 장악·체포 의혹·국헌 문란 집중 추궁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8 “47년 후 대한민국 나라빚 7000조” 2072년 GDP 성장율도 0.3% 불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7 대학가 침투한 ‘탄핵 반대’…“극우·유튜버 대세인 양 포장”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6 민주당, 4차례 폐기된 '김건희 특검법' 상설 특검으로 재발의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5 이재명 “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겠나… 비난 멈춰달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4 “기준금리는 내렸는데” 서민 주거안정 정책대출 금리 인상 역주행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3 극우 동원에 대학가 몸살···군사정권 후 처음으로 경찰까지 투입되나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2 하늘양 유족 6억 배상받는다…가해교사에는 구상권 청구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1 “공수처 영장쇼핑, 불법 아니지만 공정성 논란 자초”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50 ‘혈중알코올농도 0.038%’지만 음주운전 무죄…대체 왜?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49 눈 깜빡임으로 완성한 논문…근육 장애인 석사학위 취득 감동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48 용인 문구용 접착제 제조공장서 불…수원 다세대주택 화재로 1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47 캠퍼스로 밀고 들어온 '아스팔트 집회'…대학 '금기' 깨고 경찰 해산 요청도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