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서울 중구 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열린 현장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양대노총이 2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만나 최근 이 대표의 ‘우클릭’ 행보에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이 대표에게 반도체특별법 반대, 노조법 2·3조(노란봉투법) 개정, 근로기준법 적용 확대 등의 입장을 전달했다.
이 대표는 이날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을 차례로 방문해 노동 이슈 및 노조의 주요 현안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민주당에서는 이 대표를 비롯해 전현희 최고위원, 진성준 정책위의장,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박정 예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에서는 김동명·양경수 위원장과 간부진, 각 산별 노조 대표 등이 배석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광장의 직접 민주주의가 만들어낸 국민적 에너지를 온전히 흡수하면서도 기후 위기, 인구절벽, 산업 전환, 경제 위기 등 당면한 현실의 과제도 빠르게 대처하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며 “한국 사회 경제·노동 주체들의 통 큰 결단과 과감한 실천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내란 극복을 위해 무기한 천막 농성으로 앞장서주신 노조원들의 노고에도 진심으로 감사 말씀드린다”며 “최근 52시간제 문제로 많은 분들이 우려를 하고 계신데, 저나 민주당의 입장은 명확하다. 우리 사회가 노동시간 단축을 향해서 그리고 주4일 근무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노동계는 최근 이 대표의 반도체특별법·중도보수 등의 발언과 관련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도 노조 측은 이러한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이 대표에게 “민주당이 유럽 국가들의 기준으로 보면 중도보수가 맞을 수도 있겠지만, 한국에서는 자신이 진보라고 생각하고 민주당을 지지해 온 사람들은 이 대표의 발언에 크게 실망할 것”이라며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적용도 다른 산업의 여파 등을 고려할 때 민주당이 할 얘기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국노총은 이 대표와의 만남에서 법정 정년연장, 노조법 2·3조 개정 재추진,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반도체특별법상 노동시간 적용제외조항 폐기, 시민 공론화 결과를 반영한 연금개혁 등 한국노총의 5대 핵심 입법과제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이 대표는 정년연장과 노조법, 근로기준법 등과 관련해 당 차원에서 추진할 것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적용과 관련해서는 “노사 간 합의가 되지 않으면 못한다”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이 국민의힘이라서 52시간 예외를 빼고는 특별법 통과가 쉽지 않다. 패스트트랙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대표는 한국노총과의 간담회를 마치고 민주노총을 찾았다. 앙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윤석열 파면 이후 우리 사회는 달라져야 한다. 민주당이 민주당으로의 정권교체에 매몰되는 게 아니라 광장으로의 권력교체에 앞장서야 한다”며 “노동자와 서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새로운 잣대로 한국 사회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차별과 혐오를 넘어 노동자에겐 노동권이 서민에겐 공공성이 보장되고 평등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의 방문에 맞춰 민주노총 산하 산별노조들은 민주노총 본사 앞에서 피케팅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반도체특별법저지공동행동, 한국옵티칼하이테크, 세종호텔 노동자 등 50여명은 장시간 불규칙 노동 조장을 비판하고, 고공농성 문제 해결, 노조법 개정 등을 요구했다. 특히 이 대표의 반도체특별법 발언과 관련해서 규탄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들은 ‘반도체특별법 반대한다’ ‘모든 노동자의 노동3권 보장하라’ ‘노조법 2·3조 개정하라’ ‘잘사니즘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