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증인으로 출석해 증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일 진행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서도 가장 핵심이 된 쟁점은 ‘체포명단 메모’ 관련이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유일하게 두 번 증인으로 나온 홍장원 전 국정원 제1차장은 윤 대통령 쪽의 각종 ‘증언 흔들기’에 건건이 정면 반박했다.

CCTV 공개하며 “오염된 증언“ 주장…홍 전 차장 “3분 거리 선상에서 이뤄진 대화”

홍 전 차장은 앞서 비상계엄 당일 밤 10시53분께 윤 대통령한테서 전화를 받았다며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국가정보원에도 대공수사권 줄 테니까 우선 방첩사를 도와 지원해,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와”라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이후 11시6분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아 정치인 등 체포 명단을 들었고, 국정원장 공관 앞 공터에서 이를 메모했다고 증언했다.

홍 전 차장의 직속상관이던 조태용 국정원장은 지난 13일 증인신문에서 “홍 전 차장은 (메모 작성 시점) 그 시간에 (국정원장) 공관이 아닌 청사 사무실에 있었다. 시시티브이(CCTV)로 확인했다”고 반박했고, 이후 여당은 홍 전 차장이 밤 10시58분께 본관 현관을 걸어들어가는 국정원 시시티브이까지 공개하면서, 홍 전 차장의 증언의 신빙성 흔들기에 나섰다.

홍 전 차장은 이날 증언에서 앞선 진술에 혼선이 있었다고 밝혔다. 홍 전 차장은 “검찰에서는 그렇게 진술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혼란이 있어서 정정 필요하다고 느낀다”며 “(두 대화 시점에) 중요한 대화가 이어지고 있었다. (메모를 적은 게) 관저 앞 공관 공터라고 생각했는데, 기억을 고증하니 여인형이 처음 체포자 명단을 불러주겠다고 한 것은 공터에 있는 밤 10시58분이었고, 받아 적은 것은 사무실이었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결국 (메모가) 이뤄진 것은 국정원 청사 내이고, 사무실에서 3분 떨어진 원장 관저 그 선상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했다.

홍 전 차장은 시시티브이와 관련해 “국정원이 공개한 시시티브이를 봤는데, 정확하다 하더라도 나름대로 몇 가지 의문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쪽 대리인단은 “오차가 있을 수 있고, 시간 보정을 해야 하는데 오차가 보정됐다는 이야기 들어본 적이 있냐”고 묻자 “들어보지 못했다”고 밝혔다.

“정서를 왜 시켜” “16명은 뭐냐”…‘3가지 버전’ 메모 가지고 늘어진 윤 대통령쪽

홍 전 차장은 조 원장의 ‘4가지 메모’ 주장과 관련해서도 반박했다. 앞서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이 메모 2개가 있다고 했지만, 보좌관들에 대해 내부 조사해 보니 메모는 4가지가 있다”고 증언했다.

홍 전 차장은 이날 직접 준비해 온 1∼3차 메모를 띄워놓고 메모 작성 경위를 설명했다.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일인 12월 3일 밤 여 전 사령관과 통화를 하며 1차 메모를 쓴 뒤, 이를 보좌관에 정서시켰다고 밝혔다. 이후 다음날인 4일 오후 4시 보좌관에 다시 정서를 시킨 뒤 본인이 추가 메모를 한 게 현재 가지고 있는 원본 메모라는 설명이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정치인 체포 명단’ 메모 정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출한 사진.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일 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통화하면서 메모지에 체포 대상자 이름을 적은 뒤 이튿날 보좌관에게 이 메모를 바탕으로 다시 쓰게 했다고 밝혔다. 보좌관이 정서한 메모가 맨 왼쪽이고 그 위에 홍 전 차장이 두 차례 가필한 것이 가운데와 오른쪽 사진이다. 헌법재판소 제공

윤 대통령쪽은 정서 배경과 경위를 가지고 물고 늘어졌다. 윤 변호사는 “자기가 쓴 것을 자기도 못 알아보는데, 그걸 보좌관에게 정리시킨 게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반박했지만, 홍 전 차장은 “이전에도 내 글씨를 몇 번 부탁한 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조 원장의 증언을 언급하며 “지난번 변론 때 조 원장이 보좌관에게 내가 정서를 시켰다는 내부 조사 결과를 직접 말한 것 같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쪽은 “‘미친 짓이라고 생각해’ 적다 말았다면서 정서를 시킨 이유가 무엇인지”를 캐물었지만, 홍 전 차장은 “그런 것과 무관하게 당시 이런 일이 있었는데, 방첩사가 체포하려던 명단이면 알고 있어야겠단 생각으로 기억하기 위한 차원에서 남겼다”고 설명했다.

윤 변호사는 “정서를 하는데, 왼쪽에도 권순일, 오른쪽에도 권순일이 있다. 문서보고 정서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옮겨 적는 건데 같은 사람 이름 두 번 들어가는 건 이상한 게 아니냐”고 말하자 “이건 첫번째 메모를 바로 옮겨 적은 게 아니고, ‘한 번 이름만 적어봐라’라고 해서 (이전) 메모를 보지 않고 자기가 생각나는 대로 적은 내용”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굳이 보좌관에게 기억에 의존해 적으라고 한 이유가 무엇인지” 묻자 “(계엄) 당일은 산하 부장회의, 개별 원장 보고 등 바쁜 상황이었기 때문에 못 챙기다가, 다음날 여유 있는 시간이 있었다”라며 “10명은 적었는데, 나머지 2명은 누구일지, 한두 사람이 더 있을 것이란 궁금증 있는 상태에서 혼자 해결이 안 되니 첫번째 메모를 봤던 저 친구가 기억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메모에 ‘16명’이라고 적어놓은 이유와 관련해서는 “처음에 들었을 때부터 10명은 정확히 들었고, 12명이 기억이 났고, 2명은 듣긴 들었는데 잘 기억을 못 했다”며 (‘16명’이라고 적은 이유는) 한두명 더 있었던 것 같아서, 16명일 수도 있겠단 생각으로 적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전 대표까지 소환하며 ‘정치 공작설’ 꺼내

윤 대통령쪽의 ‘정치 공작설’에 대해서도 홍 전 차장은 단호하게 응수했다. 윤 변호사는 “증인이 다른 정치적 목적, 증인 입지를 확고히 할 목적으로 (메모를) 작성한 것 아니냐”고 의도에 관한 질문을 이어가자 홍 전 차장은 “메모지로 어떤 정치적 입지를 만들 수 있냐”며 윤 대통령쪽에 반문했다. 또 “ 원본을 검찰에 제출하지 않은 이유가 정치적 활용 목적 , 민주당 제공 목적이 아니냐”고 묻자 홍 전 차장은 “이미 (정보위에서) 관련 사항 다 나왔는데 이후 이걸 활용한다고 해서 무슨 도움이 (되냐 )”고 맞받았다.

윤 변호사는 “국정원은 위치추적을 할 수 없는데, ‘할 수 없는 일이라고’ 했어야 했고, 이건 미친 짓이라고 생각 들었는데 ‘어떻게 하냐”고 (여 사령관에) 묻는 게 상식 아니냐”고 묻자 홍 전 차장은 “지시를 받기 전이면 혼을 냈겠지만 그 전에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를 받았기 때문에 고민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변호사는 “대통령은 검찰총장까지 해서 수사 체계를 누구보다 아는데, (권한이 없는) 증인에게 체포 지시를 하는 게 말이 되냐”고 묻자 홍 전 차장은 “저도 지금까지 그게 궁금하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까지 등장했다. 윤 변호사는 “메모를 정서했다는 보좌관이, 현대고등학교를 나온 한 전 대표의 친구는 아니냐”며 정치적 배경 의혹을 제기했지만, 홍 전 차장은 “제 보좌관의 친구가 어떤 사람인지까지는 제가 기억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89 얕보다 일난다…노년기의 적, 폐렴 랭크뉴스 2025.02.22
45888 "약값만 억대, 집 팔았다"…환자 울린 '사망률 세계 1위' 암은 랭크뉴스 2025.02.22
45887 [샷!] '의정생활' 7년 마무리한 안내견 조이 랭크뉴스 2025.02.22
45886 [뉴욕유가] 美, 이라크 원유 수출확대 압박에 급락…WTI 2.9%↓ 랭크뉴스 2025.02.22
45885 부모 장례식 안 갔던 성철, 제자가 부모상 당하자 한 말 랭크뉴스 2025.02.22
45884 "20대 남심 잡아라"…'개구리 버스' 뭐길래 앞다퉈 운행? 랭크뉴스 2025.02.22
45883 동맹엔 '방위비·광물 압박', 푸틴과는 더 '밀착'... 트럼프 목적은 결국 '돈' 랭크뉴스 2025.02.22
45882 尹 탄핵심판에 선 16명의 증인들, 그들이 가리킨 '4대 쟁점'의 진실은? 랭크뉴스 2025.02.22
45881 "우리가 극우? 그건 아니죠"…대학생 그들이 태극기 든 까닭 랭크뉴스 2025.02.22
45880 암 진단 거부한 의사, 몰래 수술해준 의사···환자·가족은 '운'에 울고 웃었다 랭크뉴스 2025.02.22
45879 트럼프 "젤렌스키 협상 참여 중요치 않아"…'우크라 배제' 시사 랭크뉴스 2025.02.22
45878 "머스크의 정부효율부, 자율주행 감독 공무원 무더기 해고" 랭크뉴스 2025.02.22
45877 北, 챗GPT로 허위 이력서·프로필 작성 발각…계정 삭제돼 랭크뉴스 2025.02.22
45876 "남성 아니면 여성만" 트럼프 외침에도…미국인 10% "나는 성소수자" 랭크뉴스 2025.02.22
45875 러, 서방기업 복귀에 깐깐한 잣대 준비…푸틴 "규제 필요"(종합) 랭크뉴스 2025.02.22
45874 20여 년 전 김해 공포에 떨게 한 '성범죄' 목사, 만기 출소 앞두자…법원 판단은? 랭크뉴스 2025.02.22
45873 트럼프 "애플 CEO, 미국에 수천억 달러 투자하기로 약속" 랭크뉴스 2025.02.22
45872 트럼프 특사, 회동 하루 지난 뒤 "젤렌스키는 용감한 지도자" 랭크뉴스 2025.02.22
45871 "자기야, 선물 좀 부탁해"…SNS 연인 믿고 출국했다 '마약운반책' 됐다 랭크뉴스 2025.02.22
45870 네타냐후, 버스 연쇄폭발 후 서안 찾아 "추가 군사작전"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