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백악관 "나토, 6월까지 방위비 약속 이행을"
한국에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도 커질 듯
젤렌스키 겨냥 "트럼프 모욕 못 참아" 비난
"러, 미국에 '우크라 점령지 광물' 양도 제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워싱턴에서 열린 공화당 소속 주지사 만찬 행사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일부 회원국에 "6월까지 국내총생산(GDP)의 2%를 방위비로 지출한다는 약속을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협상과 관련해 최근 러시아와 부쩍 밀착하는 반면, 나토 동맹국에는 시한까지 못 박으며 방위비 증액을 압박한 것이다. 우크라이나를 겨냥해서도 '희토류 지분 50% 양도 광물협정' 체결 압력 수위를 더 높였다. 동맹이든 적이든 상관없이 '경제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트럼프 2기 기조가 더 노골화하면서, 향후 한국에 대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러, 미국에 '나토 동유럽 철수' 요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일 수도 모스크바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모스크바=스푸트니크 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이크 왈츠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나토 회원국 중 3분의 1이 10년 전의 'GDP 2% 방위비 지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6월 나토 정상회의 때까지 100%(약속 준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나토 32개 회원국 중 '방위비 목표'를 이행하지 못한 9개국(이탈리아 캐나다 스페인 등)을 겨냥한 발언이었다.

'GDP 5% 방위비 지출'이라는 트럼프 대통령 구상도 재확인했다. 왈츠 보좌관은 "(GDP 2% 목표 달성 뒤) 이를 5% 이상 높이는 방안을 논의하자"며 "유럽 동맹국들이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 등 문제는 유럽 스스로 해결하라는 의미다.

유럽의 고심도 깊어졌다. 종전 협상에서 러시아 요구를 대부분 수용할 조짐을 보이는 미국이 결국 '나토 영향력 축소'에 나설 수도 있어서다. 특히 루마니아 정부는 지난 18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미·러 고위급 회담에서 러시아 측이 '나토의 동유럽 철수'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은 러시아 요청을 일단 거부했으나, 트럼프의 갑작스러운 변심 가능성에 유럽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음 주 미국을 찾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24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27일)가 트럼프 대통령을 각각 만나 유럽 입장을 전달할 방침이다.

"트럼프, 젤렌스키에 불만 많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왼쪽)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0일 키이우 대통령궁에서 키스 켈로그 미국 대통령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와 만나 대화하고 있다. 키이우=AF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압박도 거세졌다. 이날 왈츠 보좌관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불만은 여럿"이라며 "그(젤렌스키)는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고 우리가 제안한 '기회'를 잡으려 하지 않는다"고 공개 비판했다. 지난 12일 미국이 건넨 광물협정 제안을 거절한 데 대한 불쾌감의 표시였다. 또 "트럼프는 (러시아발) 허위 정보 공간에 산다"고 했던 젤렌스키 대통령 발언을 두고 "솔직히 키이우의 트럼프 대통령 모욕은 용납할 수 없다"고도 말했다.

양국 간 불화 조짐은 또 있다. 이날 키스 켈로그 미국 대통령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와 만난 젤렌스키 대통령은 "좋은 대화를 했다"고 밝혔지만, 미국의 요청에 따라 공동 성명은 물론 공동 기자회견도 없었다. 뚜렷한 성과가 없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반대로 미국·러시아 간 밀월 정황은 한둘이 아니다. 로이터는 "미러가 18일 사우디 고위급 회담 이전에 수차례 스위스에서 비공개 실무 회담을 가졌다"고 이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측의 참석 여부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최근 분위기로 볼 땐 배제됐을 공산이 크다.

두 나라의 '은밀한 거래' 의혹도 제기됐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크렘린궁(러시아 대통령실)이 우크라이나 점령지의 광산 채굴권 일부를 미국 기업에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러시아 정부 연구소가 크렘린궁에 보낸 메모에 해당 내용이 담겨 있었고, 이를 서방 측이 입수했다고 한다. WSJ는 "러시아가 미국·우크라이나 불화를 악용할 가능성을 보여 줬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대외적으로도 '러시아 편들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종전 협상 참여 의지에 따라 '대러 경제 제재'를 풀어줄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FT에 따르면 미국은 주요 7개국(G7)의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년 관련 공동 성명에서 이전과 달리 '러시아의 침공'이라는 표현을 넣는 데 반대하고 '우크라이나 분쟁' 용어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21 "다이어트뿐 아니라 '이것'에도 도움"…비만 치료제 뜻밖 효과 랭크뉴스 2025.02.22
45920 탄핵 인용되면 ‘5월 중순’ 대선 유력…권한대행이 선거일 지정 랭크뉴스 2025.02.22
45919 '금 1kg' vs '비트코인 1개'…당신의 선택은?[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랭크뉴스 2025.02.22
45918 한겨울 성에 낀 차량 몰다 사망사고… 항소심서 1년6개월 금고형 랭크뉴스 2025.02.22
45917 경기둔화 우려에 미 뉴욕증시 3대지수 급락… 다우존스는 최대폭 하락 랭크뉴스 2025.02.22
45916 "비만 치료제, 알코올 중독 치료에도 효과"…놀라운 연구 결과 랭크뉴스 2025.02.22
45915 트럼프·푸틴 구애받는 이 남자…'두 개의 전쟁' 끝낼까[후후월드] 랭크뉴스 2025.02.22
45914 고양 음식점 살인 용의자는 50대 여성…"제3자 범행 확인 안돼" 랭크뉴스 2025.02.22
45913 트럼프 "우크라와 광물 합의 타결 임박…푸틴·젤렌스키 만나야"(종합) 랭크뉴스 2025.02.22
45912 [영상] "꺼져 XX" 대학가 찬반 극한 대치에 신학기 캠퍼스 아수라장 랭크뉴스 2025.02.22
45911 “백화점보다 비싸서 안사요”…면세점 명품 소비도 '급랭' 랭크뉴스 2025.02.22
45910 “10년새 2배 쑥” 2030 노리는 ‘이 병’…방치하면 암까지?[건강 팁] 랭크뉴스 2025.02.22
45909 강원도 정선군 야산에서 불…밤새 진화 작업 랭크뉴스 2025.02.22
45908 해고, 또 해고... “저성과자 솎아내기”라는 트럼프, 기준은 ‘엉망진창’ 랭크뉴스 2025.02.22
45907 '윤 탄핵심판' 25일 최종 변론‥이제는 '승복' 랭크뉴스 2025.02.22
45906 당신의 추억, 안녕하십니까? 당신을 위한 사진 관리법 랭크뉴스 2025.02.22
45905 “천재지만 미쳤어요” 끝까지 가는 매운 짬뽕 호러[허진무의 호달달] 랭크뉴스 2025.02.22
45904 한국 쇼트트랙을 웃기고 울린 임효준 그리고 린샤오쥔 [이달의 스포츠 핫 피플] 랭크뉴스 2025.02.22
45903 진에어 "2인 이상 항공권 예매 시 더블 할인 제공" 랭크뉴스 2025.02.22
45902 <김현정의 뉴스쇼>를 비롯한 시사 프로그램들이여, 이준석 좀 작작 부릅시다[위근우의 리플레이]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