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궁통1
불교의 스님들이
출가할 때는
남다른 결단이
필요합니다.
예전에는
더욱 그랬습니다.
머리 깎고 출가한 스님들은 늘 속가와의 인연을 어떻게 할지가 숙제로 남는다. 백성호 기자
머리 깎고
출가한 뒤에도
부모가 절에 찾아와서
다시 집으로 돌아가자고
조르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그래서 되도록
집에서 먼 곳으로
출가하는 스님들이
꽤 있었습니다.
교통이 그리
발달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집에서 멀수록
찾아오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궁궁통2
세속과 인연을 끊고,
속가와 인연을 끊고
출가자의 삶을 산다지만
고민의 시점이
오기도 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게
부모가 돌아가실
때입니다.
세속을 떠나
산으로 들어간 출가자가
부모의 장례식에는
가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가지 않는 것이 맞을까요.
요즘은
핸드폰과 SNS 등으로
속가의 가족과도
수월하게 연락을 주고받지만
지금 불교 종단의
노장 스님들이 젊었을 적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게
큰 고민거리였습니다.
가령
성철 스님은
부모상을 당했을 때
장례식에 가지 않았습니다.
시자를 대신 보내
문상을 하도록 했습니다.
그게 가슴에는
두고두고
큰 아쉬움으로
남았던 걸까요.
아들이 태어난 지 며칠 되지도 않았을 때 싯타르타 왕자는 부인과 갓난 자식을 뒤로하고 카필라성을 떠나 출가했다. 백성호 기자
막상
제자가
부모상을 당했을 때
성철 스님의 조언은
달랐습니다.
━
#궁궁통3
성철 스님을 시봉한
상좌 원택 스님이
부친상을 당했습니다.
원택 스님은
바깥에 나가 일을 보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성철 스님은
원택 스님에게
전화를 했습니다.
곧장 해인사로
돌아오지 말고
아버지의 장례식에
꼭 들렀다가 오라는
당부였습니다.
“내 말 알겠제.
꼭 대구 가거라.
어~잉!”
(계속)
정작 당신은 부모상에 가지 않았지만 제자에게는 달리 말했습니다.
엄하고 무뚝뚝한 성철 스님은 왜 그랬을까요.
이어지는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1193
〈백성호의 궁궁통통〉 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김일성과 충격의 아침 밥상…청년 김형석 “아, 이게 공산당”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0147
“기독교 기도, 그런 게 아니다” 강원용 목사가 호통친 기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7653
현각 스님 연 끊은 과학자 모친, 어느 날 편지 1통을 보내왔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3810
암 11개 발견에 “감사합니다”…이재철 목사의 이상한기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9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