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원, 잘 모르는 사람 부탁을 체포 지시 엮어…내란과 탄핵 공작, 거짓말"
조태용-김건희 문자 의혹엔 "처는 원래 휴대전화 버려…통화 내역 뭔지 궁금"
조태용-김건희 문자 의혹엔 "처는 원래 휴대전화 버려…통화 내역 뭔지 궁금"
윤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 출석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2025.2.20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2025.2.20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미령 황윤기 임지우 이도흔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당시 주요 인사 체포 시도 의혹에 대해 '방첩사령관이 동향 파악을 요청한 것'이라며 "불필요하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20일 탄핵심판 10차 변론에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 대한 증인신문이 끝난 뒤 발언 기회를 얻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위치 확인, 체포를 부탁했다는 기사를 보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물어봤다"며 이같이 발언했다.
윤 대통령은 "여 전 사령관은 순 작전통이고 그래서 수사에 대한 개념 체계가 없다 보니 위치 확인을, 좀 동향 파악을 하기 위해 했다"며 "경찰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휴대전화를 알지 않으면 어렵다고 딱 잘라 말했다'고 해서 저도 그 부분(동향 파악)은 불필요하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지금 국정원 1차장의 메모와 관련된 문제는 그런 차원의 문제가 아니고 저와 통화한 걸 갖고 대통령의 체포지시라는 것과 연결해서 내란과 탄핵 공작을 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제가 당시에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을 갔는지 여부에 대해 오해가 있다 보니 직무대리인 1차장에게 통화하게 된 상황이 발생했다고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다"며 계엄 당일 밤 홍 전 차장에게 연락한 것은 간첩 사건에서 방첩사령부를 지원해달라는 취지였고, 이를 홍 전 차장이 체포 지시로 만들어냈다는 주장도 반복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홍 전 차장이 자신과 통화에서 여 전 사령관과 육사 선후배라고 한 말을 못 들었다고 한 데 대해 "거짓말"이라고도 했다.
윤 대통령은 "1차장한테 이야기한 것은 (여 전 사령관과) 육사 선후배이기 때문에 좀 거들어주라는 이야기를 한 것이다. 간첩을 많이 잡아넣기 위해 경찰에만 (정보를) 주지 말고 방첩사도 좀 지원해 주란 것을 (홍 전 차장이) 목적어 없는 '체포 지시'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홍 전 차장에 대해 "여 전 사령관이 부탁도 안 했는데 대통령이 도와주라고 했다고 해서 이런 걸 받아서, 여 전 사령관이 경찰이 어렵다고 하니 국정원은 미행이라도 하고 뭘 하니 그 위치 확인하는 데 좀 도움이 될까 해서 한 얘기를 이렇게 엮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정원은 신출귀몰하는 데고, 영장 없이도 수사권 없어도 좀 미행이라든지 정보 활동을 통해서 사람이 어딨는지 알아낼 수 있지 않는가' 하는 뭘 잘 모르는 사람 부탁을 받아서 '미친놈 말도 안 되는 소리 하네' 하면서 또 한 번 메모를 만들어서 갖고 있다가 12월 5일 자기가 사표 내고 6일 해임되니까 이걸 대통령 체포 지시로 엮어낸 것이 메모의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 출석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2025.2.20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2025.2.20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조태용 국정원장이 문자를 주고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선 "저도 알 수 없는 것이지만 저와 제 처는 11월 7일 대국민담화와 기자회견 이후 소통 방식을 개선하고 폰을 바꾸겠다고 말해 11월 중순 남미 G20 출장(이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출장 직후엔가 폰을 바꿨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저랑 국정원장은 비화폰을 썼고 제 아내는 비화폰이 아닌 개인폰으로 바꾸고 원래 폰을 없애서 그 통화 내역이 뭔지 사실 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조 원장은 지난 13일 변론에 출석해 국회 측에서 "통화내역에 따르면 계엄 전날인 12월2일 영부인으로부터 문자를 두 통 받고 그다음 날 답장을 보낸다. 무슨 내용인지 기억나냐"고 묻자 "뭔가 남아 있다면 그걸 보시면 판단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답한 바 있다.
이에 장 변호사가 "계엄 전날과 당일날 국정원장과 영부인이 문자를 주고받는 게 이상하지 않냐"고 물었고 조 원장은 "자주 있는 일은 아니었다"고 답변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