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대형마트 분유판매대. 연합뉴스
[서울경제]
국내 우유업계가 분유 수출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동남아시아에서 수출 폭이 크게 늘었다.
1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으로의 분유 수출액은 3070만 달러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이자 1050만 달러를 기록한 2014년 이후 10년 만에 3배 늘어난 수치다. 수출량은 2465톤으로 2014년보다 2.6배 수준으로 늘었다.
분유는 우유나 다른 유제품에 비해 이동, 신선도의 제약이 적어 수출이 쉬운 편이다. 이에 우유업계는 저출산으로 성장이 정체된 국내 시장 대신 해외로 영토를 넓히고 있다.
최대 수출국은 캄보디아로 지난해 분유 수출액은 1560만 달러를 기록했다. 10년 사이 14배로 증가한 셈이다. 캄보디아의 2023년 출산율은 2.26명으로 한국(0.72명)보다 3배 높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꼽힌다.
국내 우유업계 중에서는 남양유업이 캄보디아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분유 '임페리얼 XO'와 현지화 제품을 판매하며 현지에서 점유율 1, 2위를 다투고 있다.
베트남 분유 수출액은 1500만 달러로 10년간 1.6배 늘었다. 베트남에선 롯데웰푸드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 롯데웰푸드는 베트남 특화 분유 '뉴본'으로 현지 거래를 확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