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은 이미 도입... 국내 생산 장려·국내 산업 보호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한국 제조기업들에 대한 세제 지원을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국제통상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이 국내생산과 일자리를 늘릴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이 대표는 20일 충남 현대차 아산공장을 방문해 ‘국제통상 환경 변화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는 이 대표를 포함해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야당 간사 김원이 의원, 충남 아산 출신 강훈식 의원이 참석했다. 현대차측에서는 이동석 국내생산 담당 사장, 이향수 전략기획실 부사장, 박세국 아산공장장 전무가 이 대표를 맞이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10시쯤 임직원들과 인사를 나누며 공장에 들어섰다. 이 대표는 “‘함께 사는 세상’ 현대자동차 세계 석권을 응원합니다”라는 문구를 방명록에 적었다. 이후 지난 13일 출시된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이오닉9′ 앞에서 기념 촬영을 했다.
이날 간담회는 최근 미국 트럼프 정부가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해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다음 달 수입 자동차에 대해 관세 25%를 부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산공장은 지난해 생산한 완성차 320만대 중 220만대를 수출하는 등 현대차의 수출전략 기지로 통한다.
이 대표는 미국처럼 한국도 국내산업을 보호하고 일자리를 창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지금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과하다고 여겨질 만큼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며 “미국 정책에서 배울 건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권 차원에서 국내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해야 한다”고도 했다.
특히 급변하는 국제통상 환경에 대한 대응책으로 ‘국내 생산 촉진 세제’을 제안했다. 이 대표는 “일본과 미국은 이미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국내 생산을 장려하고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공제제도, 세액공제제도를 새롭게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이름을) 국내생산 촉진 세제라고 하면 적절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두가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야 하는데, 기업의 성장은 그 나라 경제성장의 전부”라며 “(한국이) 모두에게 기회가 주어지는, 세계가 인정하는 경제 강국으로 가는 데에 현대차가 그 중심에 서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민주당은 이날 이 대표가 언급한 국내생산 촉진 세제는 자동차 산업에만 국한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이건태 민주당 의원은 간담회가 끝난 뒤 현장에서 기자들을 만나 “국내 내수경제가 저하되는 상황에서 전반적인 고민을 말한 것”이라며 “현대차측에서 전기차 부분에 대한 전반적 지원을 유지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한국 제조기업들에 대한 세제 지원을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국제통상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이 국내생산과 일자리를 늘릴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오전 충남 아산시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을 방문, 이동석 사장(왼쪽 세번째) 등 임직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뉴스1
이 대표는 20일 충남 현대차 아산공장을 방문해 ‘국제통상 환경 변화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는 이 대표를 포함해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야당 간사 김원이 의원, 충남 아산 출신 강훈식 의원이 참석했다. 현대차측에서는 이동석 국내생산 담당 사장, 이향수 전략기획실 부사장, 박세국 아산공장장 전무가 이 대표를 맞이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10시쯤 임직원들과 인사를 나누며 공장에 들어섰다. 이 대표는 “‘함께 사는 세상’ 현대자동차 세계 석권을 응원합니다”라는 문구를 방명록에 적었다. 이후 지난 13일 출시된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이오닉9′ 앞에서 기념 촬영을 했다.
이날 간담회는 최근 미국 트럼프 정부가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해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다음 달 수입 자동차에 대해 관세 25%를 부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산공장은 지난해 생산한 완성차 320만대 중 220만대를 수출하는 등 현대차의 수출전략 기지로 통한다.
이 대표는 미국처럼 한국도 국내산업을 보호하고 일자리를 창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지금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과하다고 여겨질 만큼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며 “미국 정책에서 배울 건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권 차원에서 국내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해야 한다”고도 했다.
특히 급변하는 국제통상 환경에 대한 대응책으로 ‘국내 생산 촉진 세제’을 제안했다. 이 대표는 “일본과 미국은 이미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국내 생산을 장려하고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공제제도, 세액공제제도를 새롭게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이름을) 국내생산 촉진 세제라고 하면 적절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두가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야 하는데, 기업의 성장은 그 나라 경제성장의 전부”라며 “(한국이) 모두에게 기회가 주어지는, 세계가 인정하는 경제 강국으로 가는 데에 현대차가 그 중심에 서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민주당은 이날 이 대표가 언급한 국내생산 촉진 세제는 자동차 산업에만 국한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이건태 민주당 의원은 간담회가 끝난 뒤 현장에서 기자들을 만나 “국내 내수경제가 저하되는 상황에서 전반적인 고민을 말한 것”이라며 “현대차측에서 전기차 부분에 대한 전반적 지원을 유지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