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 김새론 배우의 비보에 연예계와 팬들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이 안타까움 죽음에 대해 '연예인 악플'이 또 한 번 도마 위에 올랐는데, 특히 악플의 판을 깐 게 일부 자극적인 기사와 유튜브 방송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상협 기자입니다.
[리포트]
갑작스러운 죽음에 빈소는 깊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비보가 전해진 지 하루, 동료 연예인들의 추모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가수 미교의 추모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람이 죽어야 악성 댓글의 다는 손이 멈춘다" "어그로 끌려고 자극적으로 기사를 내는 언론도 마찬가지"라고 일갈했습니다.
누리꾼 사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 온라인 게시판에는 누리꾼들이 성명을 내고, 연예인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미는 이중적 현실이라며,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사회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꼬집었습니다.
[하재근/문화평론가 : "연예인을 공인이라고 하면서 그 연예인에 대한 모든 사생활까지 다 국민들의 도덕의 잣대로 재단하고, 까발리고, 공격하는 그런 경향이 있는데, 사실 진짜 공인은 권력자들, 정치인들 이런 사람들이…."]
자극적인 언론과 스토킹에 가까운 유튜브 방송도 책임의 한가운데 섰습니다.
조회 수를 올리기 위해 무분별하게 사생활을 공격하는 가십성 기사, 이를 토대로 확대 재생산하는 유튜브 방송이 사실상 악플의 시작이라는 지적입니다.
[이재국/교수/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사실 제대로 저널리즘 기준을 준수하는 측은 이렇게 크게 다루거나 또는 아예 안 다루겠죠. 수익성을 노리고 기사화하는 경우가…."]
김새론의 죽음에 대해 뉴욕 타임스는 "압박 심한 한국 연예산업에 닥친 비극"이라고 보도했고, CNN은 "완벽할 것을 기대하는 대중 분위기가 문제"라고 진단했습니다.
KBS 뉴스 김상협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최창준/영상출처:연합뉴스TV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