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상속세 개편을 두고 정치권 논쟁이 뜨겁습니다.

오늘(18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관련 공방이 이어졌는데, 민주당이 제안한 공제 액수(일괄+배우자 공제)인 '18억 원'을 두고는 '중산층 논쟁'도 벌어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초부자가 아닌 중산층을 위해 상속세 공제금액의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갈라치기 식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기업의 상속세 부담도 줄여줘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조국혁신당은 국민의힘 안도 문제지만 민주당 안에도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 민주당 "중산층 위한 공제 현실화"…혁신당 "집값 18억 강남 3구뿐, 중산층?"

기재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997년 30.9%에서 2025년에는 89.4%로 약 3배 가까이 증가했고, 서울은 같은 기간 약 4배 급증했다"면서 "반면 동일 기간 (상속세의) 배우자 공제나 일괄 공제는 30년 가까이 고정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시급한 것은 초부자를 위한 상속세 감세가 아니라, 중산층을 위한 상속세 미세조정 및 공제 현실화라고 생각한다"면서 "부의 공정한 재분배라는 원칙을 유지하면서 집 한 채 있는 중산층의 주거 안정을 보장할 수 있는 상속세 개편 방안에 기재부가 적극 동참해 달라"고 덧붙였습니다.

조국혁신당은 공제 금액을 현재 10억 원에서 18억 원으로 올리겠다는 민주당의 상속세 개편 방향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혔습니다.

혁신당 차규근 의원은 "상속세 공제 기준을 완화하는 것이 중산층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라는 주장에는 정말 동의하기 어렵다"면서 "18억 원짜리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중산층이라고 할 수 있겠냐"고 물었습니다.

차 의원은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6억 9천만 원, 서울 강북도 10억 원을 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서울 강남, 서초, 송파 이 3곳만 평균 주택가격이 18억 원을 넘는다. 강남 3구 아파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중산층이 아닌 고액 자산가"라면서 "고액 자산가들 마음을 얻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집이 없는 국민 절반은 물론이고, 저가 주택을 가진 사람들에게 박탈감을 주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 국민의힘 "OECD 15개국은 상속세 폐지…18억 원 중산층 인정 환영"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8개국 중에서 15개국이 상속세를 폐지했고, 나머지 23개국 중 4개국은 직계존비속이나 배우자 상속의 경우 상속세율이 0%라고 밝혔습니다.

박 의원은 "(민주당이)가업승계 부담 완화라든지 상속세의 최고세율 인하는 부자 감세라면서 여전히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면서 "이는 전형적인 이재명 대표의 갈라치기 접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내 유망기업들이 과도한 상속세로 해외자본에 기업을 팔고, 이전하는 국부 유출의 문제가 있다"면서 "일자리는 기업이 만드는 것인데, 부자 감세 프레임에 갇혀서 공격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강조하며, 최대주주 주식 할증평가제도의 폐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국민의힘 이인선 의원도 "기업 최고 세율이 OECD 국가 중에서 일본과 우리나라가 2위로 가장 높다"면서 "기본 50%에 최대주주 할증 20%를 적용하면 60%가 되고, 2대째 상속하게 되면 16%밖에 남지 않는 구조"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이제 18억 원이라는 자산이 중산층으로 인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주 환영한다"면서 "최고세율 인하까지 통과시켜서 기업이 살고, 선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다 처리를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상속세 개편이 필요하다는 큰 틀에는 공감하고 있지만 방식을 두고는 이견이 커서 당장 합의안을 만들어내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야당이지만 상속세 개편에 대해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견이 다른 점도 앞으로 논의 과정에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53 “무겁고 가슴 아픕니다” 여권 지지율 1위 김문수, 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19
44752 中에 반도체 기술 빼돌린 죄…삼성전자 前부장 '역대 최대 형량' 랭크뉴스 2025.02.19
44751 [단독] “백화점보다 비싸요”…환율 급등에 면세점 명품 소비도 '뚝' 랭크뉴스 2025.02.19
44750 [단독] 지하철·상수도 요금 들썩이는데… 경기 침체 우려에도 팔짱 낀 정부 랭크뉴스 2025.02.19
44749 명태균 "이력서 보냈더니 김용현 전화"‥민주당 '인사 개입' 녹음파일 공개 랭크뉴스 2025.02.19
44748 ‘박정희 암살’ 김재규 전 중정부장 사건 재심키로···법원 “수사 중 폭행·가혹행위” 랭크뉴스 2025.02.19
44747 정부 "북한군 포로 한국행 요청 시 모두 수용‥우크라이나에 입장 전달" 랭크뉴스 2025.02.19
44746 [단독] 경찰, 대학 합격생 모르게 ‘등록 취소’ 누른 재수 동료 불구속 입건 랭크뉴스 2025.02.19
44745 [단독] 계엄군, 국회 107개 중 단 1개 노출 ‘두꺼비집’ 직행해 단전…사전 준비 정황 랭크뉴스 2025.02.19
44744 '탈북어민 강제북송' 文정부 대북안보라인 4명 전원 선고 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743 한덕수 “尹 설득 못해 송구”…탄핵심판 첫 기일에 변론종결 랭크뉴스 2025.02.19
44742 전두환 장남이 설립한 출판 도매업체 ‘북플러스’ 유동성 위기 랭크뉴스 2025.02.19
44741 ‘북한 어민 강제북송’ 정의용·서훈 징역 10개월 선고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740 오세훈 “문형배 봐라, 뭐가 문제냐”…배보윤·도태우 계속 서울시 인권위원으로 남는다 랭크뉴스 2025.02.19
44739 이현욱 "태종이 찌질하다니…예상과 다른 반응에 괴로웠죠" 랭크뉴스 2025.02.19
44738 '한국판 헬렌켈러와 설리번'…9년 함께한 대구대 사제 사연 눈길 랭크뉴스 2025.02.19
44737 “연기 하려면 ‘키빼몸 120’ 돼야”···‘뼈말라’ 요구에 병 드는 여성 청소년들 랭크뉴스 2025.02.19
44736 이번달만 ‘당정협의회’ 6번 몰아치기…국민의힘 ‘1타3피’ 셈법 랭크뉴스 2025.02.19
44735 文 정부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정의용·서훈, 1심서 징역형 선고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734 ‘붕괴 사고’ 광주 화정아이파크 800세대 “현산 선처를” 서울시에 탄원, 왜?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