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가 18일 오전 제422회 국회(임시회) 행정안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뉴스1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가 국회에서 “계엄 선포를 집에서 TV를 보고 알았다”고 말했다. 야당의 비상계엄 연루 의혹 제기를 부인하면서다.
1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는 행정안전부·중앙선거관리위원회·인사혁신처·경찰청·소방청에 대한 업무보고 및 현안질의를 진행했다. 현안질의는 박 직무대리의 계엄 연루 의혹으로 중심으로 진행돼 인사청문회를 방불케 했다.
이날 야당 의원들은 “내란 동조 인사”라며 박 직무대리에 대해 공세를 펼쳤다. 박 직무대리가 비상계엄 전후로 조지호 경찰청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전 장관, 국회 봉쇄 관련자와 통화한 사실이 나타나 2차례 경찰 참고인 조사를 받은 점을 지적하면서다.
박 직무대리는 “계엄이라는 초유의 상황에서 경찰국장으로서 계엄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 정도는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조 청장이나 이 전 장관으로부터) 계엄 관련 지시를 받은 적도 없고, 이를 전달한 적도 없다”고 해명했다. 또 “계엄 사실을 집에서 TV를 통해 인지하고 사무실로 다시 출근했다”고 밝혔다.
━
"피의자로 전환되면 바로 인사 조치"
“피의자로 전환될 수 있는 상황에서 서울청장이 공석이 되는 리스크를 감당해야 하냐”(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는 지적도 나왔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피의자 전환 시) 바로 인사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가 18일 오전 제422회 국회(임시회) 행정안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화면을 바라보고 있다. 뉴스1
서울청장 직무대리 단수 추천 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위에서 찍어 내려 단수 추천됐다”(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의원) “통상적으로 복수 추천됐다”(정춘생 민주당 의원) 등이다. 반면 여당은 “치안 공백 해결과 인사 적체 해소를 위해 꼭 필요했다”고 엄호했다.
이 대행은 “소규모 인사를 해야 하므로 한 사람만 적임자를 정해서 추천했다”며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과 사전에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과 사전 협의한 것 아니냐는 질의에 대해선 “그쪽(대통령실)에서 전화 오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고기동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은 “이 대행하고 협의한 내용을 가지고 (최상목) 권한대행께 말씀을 드렸다”고 했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왼쪽)가 18일 오전 제422회 국회(임시회) 행정안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의 답변을 듣고 있다. 뉴스1
박 직무대리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박 직무대리가 2012년 서울청 뉴미디어 홍보계장 근무 시절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의 좌충우돌식 정치적 패착”이라는 게시글을 서울청 공식 트위터로 리트윗한 사실이 드러나면서다. 이 일로 박 직무대리는 직위해제됐다. 박 직무대리는 “버튼 조작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경찰의 ‘코드 인사’ 의혹에 대한 공방도 벌어졌다. 박 직무대리가 대통령실 파견 이후 초고속 승진하는 등 치안정감·치안감 승진자가 윤석열 정부와의 연관성이 짙다는 이유에서다. 이 직무대리는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현재 인사는 정상적”이라고 말했다.
치안감 승진자인 박종섭 서울청 생활안전차장과 조정래 서울청 공공안전차장의 회의 불참을 두고도 여아가 설전을 벌였다. 민주당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당사자들이 출석하지 않고 개긴다”고 비판했고,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여야 간사 합의가 없었다”고 맞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