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마켓에 한국인 판매자 모집
직구 판매서 직진출로 사업 확대
C커머스 공세에 이커머스 경쟁 가속
직구 판매서 직진출로 사업 확대
C커머스 공세에 이커머스 경쟁 가속
사진 제공=테무
[서울경제]
중국 쇼핑 플랫폼 테무가 우리나라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에 직접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알리익스프레스에 이어 테무까지 직진출을 결정하면서 국내 이커머스 시장 내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테무는 18일 자사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 한국인 판매자들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한국에 등록된 판매자 중 현지 재고를 보유하고 자체 주문 처리 및 배송이 가능한 업체를 대상이다. 입점을 원하는 판매자는 한국 테무 판매자 센터 페이지를 방문해 등록 가능하다. 테무 관계자는 “국내 판매자들에게 수백만 명의 신규 고객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소비자들은 테무에서 선호하는 현지 브랜드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테무는 해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중국산 제품을 직구 방식으로 판매하던 기존 모델에서 나아가 한국 상품을 직접 유통하는 ‘로컬 투 로컬(L2L)’ 사업으로 확장하는 양상이다. 시장에서는 테무가 한국에서 오픈마켓 사업을 시작하기로 하면서 알리익스프레스와 마찬가지로 한국에 사무실을 두고 지사장 파견, 한국 인력 채용 등의 수순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 2023년 10월부터 한국 상품 전문관 케이베뉴(K-Venue)를 론칭하고 작년 12월까지 입점 수수료 면제를 앞세워 한국인 판매자를 모집해 오픈마켓 방식으로 운영해왔다. 반면 테무는 직구 판매 방식을 유지해오면서도 작년 말부터 인사(HR)와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핵심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해 직진출 시기를 저울질해왔다. 최근엔 김포에 위치한 대형 물류센터와 장기 임대계약을 체결하고 주요 물류업체와 계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한국 사업에 대한 절차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처럼 중국계 대형 커머스 업체들이 속속 한국 직진출을 결정하면서 향후 이커머스 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특히 미·중간 관세 전쟁으로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중국계 3대 플랫폼의 한국 시장 공세가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관세 부과로 미국 판로가 제한되면 이를 대체할 대표적인 시장이 한국이기 때문이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지난해 티몬·위메프의 미정산 사태 이후 쿠팡과 네이버의 양강 구도 속에서 여러 업체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네이버를 제외한 종합몰앱 순위는 쿠팡,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11번가, G마켓 순이다. 테무는 지난 2023년 7월 국내 진출 이후 알리익스프레스와 함께 ‘초저가 직구 상품’으로 주목받으며 시장을 파고들어 약 820만 명의 월간활성이용자 수(MAU, 와이즈앱·리테일 집계 기준)을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