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민영경제 좌담회에서 생성형 AI 스타트업 딥시크 량원펑 창업자와 악수하고 있다. [사진 CC-TV 캡처]
17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인민대회당에서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량원펑 딥시크 창업자 등 중국을 대표하는 민간 기업인들을 소집해 좌담회를 열었다.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와 주요 정책을 밝히는 양회(兩會, 전인대와 전국정협)를 앞두고 시 주석이 민간 기업에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라고 외신들은 평가했다.
이날 참석자는 시 주석 집권 후 열린 총 네 차례 민영기업 좌담회 중 가장 화려한 면모를 과시했다. 중국중앙방송(CC-TV)가 공개한 영상에는 대표 중국 IT기업 화웨이의 런정페이 창업자, 텐센트 마화텅 이사회 의장, 샤오미의 레이쥔 최고경영자,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 닝더스다이의 쩡위췬 회장, 비야디의 왕촨푸 회장, 반도체 제조사 웨이얼의 위런룽 창업자, 배달 플랫폼 메이퇀의 왕싱 창업자, 음성 AI기업 커다쉰페이의 류칭펑 창업자 등이 참석했다.
‘차이나테크’로 불리는 첨단 신흥 과학기술 분야 창업자들도 대거 참석했다. 지난 춘절 버라이어티쇼인 춘완(春晩)에 등장한 춤추는 로봇을 제조한 유니트리의 왕싱싱 창업자도 모습을 보였다.
시 주석은 ‘먼저 부자가 되라’는 덩샤오핑의 선부론과 자신의 공동부유론을 언급하며 “민영기업이 선부로(먼저 부를 쌓아) 공동부유를 촉진하라(先富促共富)”고 말했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은 “미국과 관세 전쟁 속에서도 5%로 예상되는 올해 성장 목표를 확정하기 위해 내수와 첨단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기업인들을 격려한 자리”라며 “올해 내수 중심 성장에 대한 시장과 외국에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시그널”이라고 분석했다. 전 소장은 또 “마윈(알리바바)이 참석해 박수를 친 것은 그동안 논란의 중심이 됐던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를 당국이 해제하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