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불참 국방위 긴급 현안질의
김 단장, 민주측 ‘회유 정황’ 주장
민주 “180도 바뀐 증언… 與가 회유”
김 단장, 민주측 ‘회유 정황’ 주장
민주 “180도 바뀐 증언… 與가 회유”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의원들은 이날 회의에 불참했다. 왼쪽은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이병주 기자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에 나와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을 회유하려 한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지난해 12월 10일 곽 전 사령관과 민주당 박범계·부승찬 의원의 면담 내용에 대해 증언했다. 그는 당시 자리에 동석했었다. 이날 현안질의는 김 단장이 국정조사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되지 않은 데 대한 여당의 항의 성격이 짙었다. 민주당 허영·부승찬 의원은 항의 발언 뒤 곧바로 퇴장했고, 현안질의는 여당 단독으로 진행됐다.
김 단장은 “먼저 민주당 전문위원이라는 사람이 사령관과 한참 얘기를 했다”며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 이런 말을 많이 했고, 이후 박·부 의원이 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박 의원은 사령관 얘기를 노란 메모지에 쭉 기록했고, 한 번 더 해보라고 요구한 뒤 ‘아까 그렇게 안 했잖아요’라며 본인이 적은 문장과 똑같이 하길 사령관에게 요구했다”고 말했다. 당시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곽 전 사령관은 민주당 의원들과 면담한 뒤 윤 대통령에게서 ‘국회 문을 부수고 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김 단장은 ‘단전에 대한 대통령 지시가 있었느냐’는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국방위원장의 질문에는 “아니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단전은 곽 전 사령관이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언가를 하기 위해 생각해낸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라고 설명했다. 전날 민주당 국조특위 위원들은 CCTV 영상을 근거로 국회 일부에 약 5분간 단전이 이뤄졌고,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해제 의결을 저지하려 했다는 주요 증거라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9일 기자회견 당시 ‘국회의원 끌어내라는데 가능하겠느냐’는 곽 전 사령관의 전화를 받았다고 한 발언에 대해서는 “기자들에게 해명 차원에서 중간에 들었던 뉴스를 종합해 표현했는데 이런 것들이 좀 잘못 전달됐다. 군검찰 조사에서 상세히 답변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곽 전 사령관이 검찰에 제출한 자수서에 대해서는 “내용을 확인해봤는데, ‘의사당 안에 있는 사람들 빨리 데리고 나와라’고 적혀 있었다”며 “‘국회의원’이나 ‘본회의장’ ‘끌어내라’는 단어는 없었다”고 말했다.
민주당 국방위원들은 현안질의가 끝난 뒤 “민주당은 누구도 회유한 적 없다”며 “정작 증언이 180도 바뀐 김 단장을 국민의힘이 회유한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반박 성명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