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 정치’ 폐해 극복 담론에 반박
유시민 작가. 유튜브 갈무리
‘팬덤 정치’의 폐해를 극복해야 한다는 더불어민주당 내 비이재명계 주자들의 진단에 유시민 작가가 반론을 제기했다.
유 작가는 19일 유튜브 방송 ‘매불쇼’에 출연해 김경수 등 비명계 주자들이 연일 팬덤 정치 청산을 거론한 데 대해 “팬덤 정치 극복을 친문재인 세력이 이야기하는데, 팬덤이 엄청 강했던 게 문재인 전 대통령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최초로 팬덤을 만들어낸 게 노무현 전 대통령”이라며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은 팬덤 정치의 개척자들이고 최고봉”이라고 말했다.
두 전직 대통령이 팬덤 정치의 수혜를 입었던 부분은 문제 삼지 않으면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만 그 폐해를 교정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유 작가는 ‘이재명 일극체제’에 대한 비판으로 귀결되는 팬덤 정치 담론에 논리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일극체제는 당원 민주주의로 만들어진 결과물인데, 비명계가 이를 당내 민주주의를 저해하는 원인으로 오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 작가는 “과정이 공정하면 주어진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당원들의 뜻이 어떤 한 리더를 중심으로 모이기도 하고, 복수의 리더가 공존하는 식으로 가기도 하고 알 수 없는 것이다. 주권자인 당원들이 주어진 정치적 상황 안에서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달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극체제는 한 사람의 강력한 리더가 있는 건 무조건 나쁜 것이고 여러 사람과 경쟁하는 체제가 있어야 좋은 것이란 전제를 두고 하는 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것은 당원 주권에 대한 부정이다. 이재명 대표의 강력한 리더십이라는 건 두 차례의 전당대회에서 당원들이 표출한 의지,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는 압도적 힘이 받쳐주는 것”이라며 “민주적 과정으로 나타난 현상이 민주주의에 해롭다거나 혹은 선거에 불리하다든가 이렇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이냐”고 되물었다.
유 작가는 ‘일극체제’란 말에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다고도 했다. 그는 “마음속에는 ‘이재명 독재’를 담고 표현은 ‘이재명 일극체제’라 말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언어 자체가 타락한 언어”라며 “민주당 정치인이 이 언어를 가져다 팬덤이 없는 자기자신의 분함, 이런 것들을 표현하는 데 쓰는 순간 당원들은 마음속으로 ‘내가 투표해서 독재를 만들었단 말이야?’라며 기분이 나빠지는 것이다. 그래서 악플이 달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유 작가는 앞선 자신의 발언을 향한 일부 비명계 정치인들의 비판에는 ‘내로남불’이라는 취지로 응수했다. 지난 5일 유 작가가 같은 방송에서 비명계의 ‘이재명 때리기’를 “망하는 길”이라고 비판하자,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입틀막”이라며 “오히려 이재명 대표는 많은 것들을 포용하고 통합하려는 노력들을 하는데, 명비어천가 반대 목소리 등 의견을 다 잘라버리고 손가락질을 한다면 어떻게 비판을 할 수 있겠느냐”고 되받아친 바 있다.
이에 유 작가는 고 의원을 향해 “이재명과 민주당 지도부를 비판하는 것은 내부의 다양성을 실현하는 민주적 행동이고, 누군가 나를 비판하면 입틀막이냐”며 “내가 누군가 비판하면 나도 비판받을 수 있단 걸 전제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