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명 사망’ 부산 반얀트리 화재
화재 원인은… 소방·경찰 합동 감식반이 16일 오전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공사 현장에서 지난 14일 발생한 화재 원인 규명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국, 합동감식…용접 중 튄 불꽃이 자재 옮겨붙었을 가능성
화재 직후 작업자 수십명 목격…스프링클러 작동 진술 단 1명
시공사·건축주 입장표명 없어…유족들 “책임소재 밝혀내야”
부산 기장군 기장읍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에서 지난 14일 발생한 화재로 6명이 숨진 사건 경위를 밝히기 위해 경찰과 소방당국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16일 부산경찰청과 소방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고용노동부 등은 화재 현장을 찾아 합동감식을 벌였다. 화재 당시 근무 중이던 작업자들이 “배관실(PT룸)에서 불꽃이 일어났다”고 진술함에 따라 배관실 및 주변 수영장 등을 중심으로 집중 감정을 실시했다.
감식단은 배관실 배관 주변에서 감정물(휴대전화, 안전모, 조끼 등)을 수거했다. 발화 원인을 밝히기 위해 작업자 진술과 함께 폐쇄회로(CC)TV 영상에 찍힌 현장 출입시간 등도 확인하고 있다. 수거한 감정물과 연소 확대 양상 등을 분석해 최초 발화 원인과 불길이 번진 이유 등을 파악할 계획이다.
경찰 및 현장 공사 참여자의 목격담 등을 종합하면 건물 B동 1층 수영장 일대에서 인테리어 공사를 하던 작업자들이 배관실에서 최초 불꽃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했다. 이들은 “불이야”를 외치고 현장을 빠져나와 옥상으로 대피했다. 불은 B동과 C동을 연결하는 로비동까지 삽시간에 번졌으며 1층 내부는 유독가스로 가득 찼다.
경찰은 용접작업 중 튄 불꽃이 인테리어 자재로 옮겨붙어 화재가 났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배관실에서 용접을 한 작업자 6명을 불러 조사했다. 원청·하청기업 등을 상대로 용접작업의 구체적인 공정과 위법 여부 등도 조사 중이다.
감식과 별도로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 작동 여부 등도 파악 중이다. 경찰은 화재 직후 작업자 수십명을 상대로 목격자 진술을 받았으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했다고 진술한 사람은 1명뿐이었다. 최근 대형 건물의 스프링클러는 화재를 감지해 자동 살수하고, 자동으로 119 등에 신고하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경찰은 이번 화재에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소방당국은 감식을 통해 건물에 ‘자동화재신고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사실을 확인했다.
경찰은 지난해 12월 건물사용승인(준공검사)을 받았는데도 두 달 가까이 공사를 진행한 점도 주시하고 있다. 잔여공사가 많은데도 사용승인이 난 점 등 준공을 전후한 각종 인허가 과정에 문제가 없었는지도 살펴볼 예정이다. 노동자 안전 교육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도 수사 대상이다.
피해자 유가족들은 “책임소재를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공사나 건축주 모두 부산 소재 기업들이지만, 사건 발생 이틀이 지나도록 공식적인 사과나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호텔 운영사로 예정된 반얀트리 측만 지난 15일 “피해자들에게 위로를 전한다”고 밝힌 상태다. 유가족들은 “시공사인 삼정 측이 장례부터 치르자고 한다”며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숨진 A씨의 유족은 부산 해운대의 한 장례식장에서 “사고를 당한 이유를 알고 싶은데 아무도 이야기해주지 않고 회사는 장례부터 치른 뒤 합의하자는 식”이라며 “병사도 아니고 어떻게, 왜 돌아가셨는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장례를 치르냐”고 말했다. 일용직으로 일하다 숨진 B씨의 가족은 “원청인 삼정에서 일용직 노동자는 산재보험 가입도 안 해놨다고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