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0m 남짓 사이에 두고 찬반
각각 1만 명 인파 맞불 집회
"광주가 이재명 대표 손절해야"
vs "민주화 위해 맞서 싸운 곳"
15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보수 성향 기독교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를 촉구하는 기도회를 열고 있다. 광주=뉴시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계엄군의 총구에 맞서 싸웠던 현장인 광주 금남로가 15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찬성·반대 집회 현장이 됐다. 각각 수만 명의 인파가 운집한 이날 집회는 불과 100m 남짓한 거리를 사이에 두고 동시에 열렸다. 양측은 저마다 "우리가 5·18 민주 정신의 적자"라 강조하며 집회에 정당성을 부여했다.

15일 광주 동구 금남로. '광장'으로 부르기엔 좁은 400m 남짓한 5차선 도로에 수만 명이 운집했다. 보수 성향 개신교 단체인 세이브코리아가 주최한 '국가 비상 기도회'와 광주 지역 시민단체로 구성된 '윤석열 정권 즉각 퇴진 사회 대개혁 광주비상행동' 집회가 동시에 열렸다.

이날 세이브코리아 집회는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광주비상행동 집회는 오후 4시부터 각각 열릴 예정이었으나, 보수 단체의 집결 소식을 들은 광주 시민들이 일찌감치 현장에 도착하면서 금남로 공원부터 5·18민주광장에 이르는 거리가 인파로 가득 메워졌다.

경찰은 기동대 1,200명을 동원했지만, 정반대의 성향을 보이며 짧은 거리에 복잡하게 뒤섞인 이들의 충돌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상대측을 도발하기 위해 반대편 집회 현장으로 다가서거나 욕설하다 경찰의 제지로 물러서는 모습은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쏟아지는 민원을 견디지 못한 경찰이 '인간벽'을 세워 양측 집회 참가자 간 물리적 접촉을 완전히 차단한 뒤에야 충돌은 멈췄다. 그러나 현장의 긴장감은 여전했다. 집회 현장을 중심으로 인도 변에 길게 늘어선 시민들은 옆에 있는 이의 손팻말 등을 곁눈질하며 같은 생각을 가진 이들인지 확인하곤 했다.

탄핵 반대 기도회, 야당 규탄 목소리...전한길도 연설



주최 측 추산 1만 명이 참석한 탄핵 반대 집회는 개신교 예배 형식으로 진행됐지만, 내용은 대부분 윤 대통령 탄핵 반대와 야당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주를 이뤘다. 참석자들 역시 태극기와 성조기, 이스라엘 깃발을 들고 탄핵 반대를 강조했다.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는 붉은 옷을 입고 연단에 섰다. 전씨는 "빛의 도시 광주에서 독재자에 맞섰던 5·18 희생정신을 기억하자"며 "더불어독재당(더불어민주당을 의미)에 맞선 윤석열 대통령을 지켜내자"고 했다. 그는 "자유민주주의를 누린 것은 1980년 5월 신군부 독재에 맞서 싸웠던 정의로운 광주 시민들의 희생 덕분"이라 치켜세우며 "광주 정신을 계승해 계몽령을 통해 국민들을 일깨워 준 윤석열 대통령을 석방하라"고 덧붙였다. 시민이 계엄군에 맞서 싸운 것이 광주 정신인데, 12·3 불법 계엄을 '계몽령'이라 미화하는 데 이용한 것이다.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한 최장해(70)씨는 "한쪽에 너무 편향돼 있던 광주가 다른 각도로 다양한 의견을 표출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주고 싶어 집회에 왔다"며 "계엄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데 탄핵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찬성 집회 주최 및 참석자들은 12·3 계엄이 적법한 절차를 지키지 않고 국회에 군인을 투입하는 등 헌법과 계엄법을 명백히 위반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 않았다.

광주 시민 2만 명 운집 "윤 대통령 파면" 촉구



같은 시간 바로 맞은편에선 주최 측 추산 2만 명의 시민들이 운집해 "오월 정신으로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 비상 행동과 광주 시민들이 "민주주의 성지인 금남로를 지키겠다"며 몰려들었고, 광주·전남지역 국회의원과 지자체장 등 지역 정치인들도 가세했다. 1980년 당시 시위대를 견인했던 농악대도 함께 했다. '윤석열 즉각 파면', '김건희도 구속' 등 손팻말을 들고 나온 시민들은 보수단체 집회 전유물로 여겨졌던 대형 태극기도 꺼내 들었다. "우리가 애국"이라는 의미에서다.

위경종 광주비상행동 공동대표는 "1980년 오월을 다시 보는 것 같다"며 "오월 영령과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우리의 역사가 파괴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오월의 대동 정신으로 윤석열을 탄핵한 내란 세력의 뿌리를 뽑을 때까지 함께 싸울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날 연단에선 박상민(27)씨는 "내란 옹호 세력은 태극기부대가 아니다"며 "이는 3·1운동과 투쟁 정신에 대한 모독"이라고 분개했다. 그는 "누가 진짜 애국자인지, 왜 광주가 민주주의 심장인지 똑똑히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탄핵 찬성 집회에 참석한 광주 시민은 금남로에서 탄핵 반대 집회가 열린 데 대해 분개했다. 정정희(62)씨는 "5·18 당시 고등학교 2학년이었는데 그때 바로 이 자리에 서 있었다"며 "저들(반대 집회 참가자)이 온다고 해서 온 게 아니라 시민답게 자리를 지키기 위해 나온 것"이라고 했다.

양측 집회 사이 공간에서 갈팡질팡하는 시민도 있었다. 태극기를 주머니에 꽂고 있던 김재환(21)씨는 "보수주의자이지만, 안 좋은 선례를 남기지 않기 위해 탄핵은 찬성하는 입장"이라며 "광주에서 집회가 열린다고 해서 왔지만, 어느 쪽도 선택할 수 없어 여기에 서 있다"고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39 지인·초등생 두 자녀 데리고 자살시도…경찰, 40대 친모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2.17
43838 [단독]여인형 “방첩사 가장 큰 리스크는 신병 확보 명단 작성”…위법성 미리 알았다 랭크뉴스 2025.02.17
43837 인격살인 악플, 처형대 된 언론…김새론을 누가 죽음으로 몰았나 랭크뉴스 2025.02.17
43836 與 법사위원 “명태균 특검법, 조기 대선 발목잡겠다는 것… 재의요구 건의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835 소득 얼마길래...이하늬, 추징 세금만 '60억' 랭크뉴스 2025.02.17
43834 오세훈 측 "창원지검 명태균 수사 실망‥신속한 수사 촉구" 랭크뉴스 2025.02.17
43833 [단독]SK스퀘어 덮친 행동주의 펀드, 단기차익 뒤 '후퇴'[시그널] 랭크뉴스 2025.02.17
43832 의원 37명 항의 방문·文대행 탄핵 추진… 與, 헌재 총공세 랭크뉴스 2025.02.17
43831 ‘해상 풍력 특별법’, 산자위 소위 통과…‘에너지 3법’ 모두 처리 랭크뉴스 2025.02.17
43830 [단독] ‘건설인력 부족’ 1만명 vs 51명… 부처간 통계 공방 랭크뉴스 2025.02.17
43829 갤럭시S25보다 40만원 싸다…삼성 위협하는 보급형 AI 아이폰 랭크뉴스 2025.02.17
43828 극우 유튜브 10개, 슈퍼챗으로 6억 넘게 벌었다..."계엄 특수" 랭크뉴스 2025.02.17
43827 尹측 20일 10차 변론 연기 요청에… 헌재 “아직 결론 안 내” 랭크뉴스 2025.02.17
43826 500만원 비즈니스석이 150만원? 아시아나항공 발칵,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17
43825 [단독] 방첩사 간부, ‘리스크-명단:신병확보’ 메모 의미는?…은폐 논의 정황도 랭크뉴스 2025.02.17
43824 김구 증손자 “할아버지 국적이 중국? 무덤에서 벌떡 일어날 소리” 랭크뉴스 2025.02.17
43823 김현태 707특임단장 "국회 단전, 대통령 아닌 특전사령관 지시" 랭크뉴스 2025.02.17
43822 다급해진 극우, ‘가짜뉴스 근거’로 재판관 아파트 앞 욕설·억지 시위 랭크뉴스 2025.02.17
43821 개장 1년만에 1500억 적자…인천공항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 경영권 뺏겼다 랭크뉴스 2025.02.17
43820 인권위, '윤 대통령 불구속' 권고 발표‥문상호·여인형 긴급구제도 논의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