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49재
유족들 재발 방지 원인 규명 호소
박상우 국토부 장관 "안전 혁신" 약속
유족들 재발 방지 원인 규명 호소
박상우 국토부 장관 "안전 혁신" 약속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49일째인 15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분향소에서 열린 49재 합동위령제에서 한 유가족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공동취재단.연합뉴스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49일을 맞아 무안국제공항에서 합동위령제가 엄수됐다. 유족 등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 관계자들은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15일 무안국제공항 1층 분향소 앞. 위령제 시작에 앞서 희생자 179명의 이름과 조문객이 남긴 글이 스크린에 띄워지자 곳곳에서 울음이 터져 나왔다. 분향소에 걸린 스크린에 참사 직후 공항으로 달려온 가족들의 모습과, 참사 현장 인근에 희생자들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을 두는 모습 등이 담긴 영상이 송출되자 분향소는 떠나보낸 이들의 이름을 애타게 부르는 목소리로 가득찼다.
위령제에 참석한 정부와 국회 관계자들은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장관은 추모사에서 "179명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공공 안전 혁신을 반드시 이뤄내겠다"면서 "무엇이 잘못됐는지 어떻게 바꿀 것인지에 대한 답을 찾을 때까지 멈추지 않겠다. 유가족분들 편에서 끝까지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권영진 국회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특위 위원장은 "참사 원인을 낱낱이 밝혀 비극적인 참사기 되풀이 되지 않도록 특별법 제정에 힘을 쏟겠다"고 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피해자 배상과 의료지원, 자녀 교육비와 생계비 지원을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유족들은 슬픔 속에서도 재발 방지를 위한 참사 원인 규명을 호소했다. 참사로 동생을 잃은 박한신 유족 대표는 추모사에서 "사랑하는 이들이 왜 그렇게 떠나야 했는지 앞으로는 그 누구도 같은 고통을 겪지 않도록 반드시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단순 우연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와 관리부실에서 참사가 발생한 것이라면 책임질 사람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안전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꿔달라"고 호소했다.
위령제는 각 종교인들이 희생자 명복을 기원하는 종교별 위령제와 희생자의 한을 풀어주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씻김굿으로 마무리됐다.
참사 이후 무안국제공항 임시 쉼터에 머물던 20여 가족들은 49재 이후 모두 각 가정으로 돌아가기로 했다. 유가족 협의회는 9개 권역으로 분류한 가족 권역 대표들을 통해 향후 사고조사나 희생자 추모 등에 대한 각종 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던 방콕발 제주항공 2216편 여객기는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로 동체 착륙한 뒤, 활주로를 넘어 공항 내 담벼락을 들이받아 폭발했다. 여객기에는 탑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등 181명이 탑승해 있었고 승무원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