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추로 어업 피해” 논란에 “피해 조사”
지난달 용역조사 실행 논의 이후 ‘중단’
어민들 “몇 년째 이미 피해입었는데 답답”
‘대왕고래 프로젝트’ 시추 작업에 반발한 경북 포항 어민들이 지난해 12월20일 시추선 웨스트카펠라호를 어선으로 둘러싸고 해상 시위를 벌이고 있다. 포항해양경찰서 제공


윤석열 정부의 동해 심해 유전 탐사·개발사업인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사업성이 불투명해지면서 탐사과정에서 조업 손실을 본 어민들의 피해 보상 문제도 요원해졌다. 한국석유공사는 어민들의 피해 규모를 산정하는 용역조사를 진행하기로 했지만 이마저도 관련 논의가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석유공사·포항시·지역수협 등이 참여하는 용역조사 실행 논의가 지난달 21일 이후 열리지 않고있다.

석유공사가 시추 작업을 벌인 해역은 수심이 최대 1700m에 달해 홍게가 서식하기 가장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홍게 집단 서식지다. 시추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20~30㎞ 해역에서 잡는 홍게가 전체 어획량의 최대 50%에 달한다는 게 어민들의 주장이다. 포항은 국내 홍게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포항지역 어민들은 대왕고래 탐사·시추과정에서 수십 억원대 조업 손실을 봤다며 피해 보상을 요구해 왔다. 본격적인 홍게잡이 철인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시추작업을 피해 달라고 건의도 해봤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어민들은 첫 시추작업이 시작된 지난해 12월20일 수억 원에 이르는 하루 치 조업 손실을 감수하며 해상시위를 벌였다. 해상시위에는 홍게잡이배와 연안통발자망어선 등 40여척이 동원됐다.

논란이 가열되자 석유공사는 홍게잡 어민들에게 어업 피해 보상을 위한 용역조사를 제안했다. 시추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홍게 등 갑각류에 미치는 영향 및 범위를 구체적으로 조사해 피해 규모를 산정하겠다는 것이다.

경북 포항시 남구 구룡포항에서 지난해 9월 이경태씨(43)가 어선 어창(잡은 물고기를 보관하는 곳)에 들어 있는 홍게를 정리하고 있다. 김현수 기자


하지만 이달 초 대왕고래 시추결과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이 나오고, 향후 사업 전망도 불투명해지면서 용역조사가 언제 시작될지 장담할 수 없게됐다.

포항시 관계자는 “연구용역의 경우 시간이 걸리는 사안인 만큼 석유공사 측에 여러 차례 문의했으나 검토 중이라는 답변만 받았다”며 “보상 주체인 석유공사 측에서 관련 논의에 나서야 하지만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추 과정에서 이미 손해를 본 어민들은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김진만 구룡포연안홍게선주협회 회장(62)은 “왜 하필 조업 성수기에 막무가내로 시추를 벌였는지 아직도 의문”이라며 “시추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반경 20㎞에 이른다는 논문도 있다. 게는 예민한 어종이라 작은 변화에도 서식지를 옮기는데 벌써 어획량이 크게 줄고 있다”고 말했다.

수협 집계를 보면 시추작업이 이후 15일간(지난해 12월20일~1월7일) 홍게 위판 실적은 136t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156t) 20t 줄었다.

김 회장은 “석유 찾는다고 몇 년째 어장을 파헤쳐 피해 규모가 큰 상황에서 최대 성어기에 조업 지장까지 받았다”며 “용역조사를 지금 한다고 해도 1년은 걸릴 텐데 그동안 우리 어선들은 부도를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지역 홍게잡이 어민들은 석유공사로부터 탐사 용역을 맡은 하도급 업체와도 2021년부터 마찰을 빚고있다. 이 업체는 어민들이 통발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띄워놓은 ‘부이’를 마음대로 절단해 문제가 됐다. 일부 어민에게 17억원의 합의금을 지급했지만, 일부 어민과는 합의금을 놓고 아직도 소송이 진행 중이다.

석유공사 측은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20여 차례에 걸쳐 보상 관련 협의를 진행했으나 합의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용역조사도 어민 등과 협의를 거친 뒤에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1월 말에서 2월은 시추가 마무리되는 단계라 바빠 보상 관련 협의 자리를 마련하지 못했다”며 “조만간 협의를 재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65 음란물에 댓글? '조작 사진'으로 헌법재판관 흔든 국민의힘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64 정권교체 50%·정권재창출 41%…이재명 32%·김문수 13%[NBS]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63 수방사 단장 “국회 내 의원들 끌어내라 지시 받아”…이 시각 헌재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62 日 혼다-닛산, 합병 추진 두 달 만에 무산…“각자도생”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61 한미약품 경영권 분쟁 끝… 임종훈 대표 사임·송영숙 회장 경영 복귀 (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60 [속보] 국회·정부 국정협의회 '4자 회담' 20일 오후 5시 개최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9 명태균 측 "검찰 제출 USB에 尹 부부 육성 통화녹음 있어" 주장 new 랭크뉴스 2025.02.13
» »»»»» ‘대왕고래’ 시추 실패에 홍게잡이 어민 보상도 ‘모르쇠’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7 尹-국정원 1·2인자 통화 증언…조태용, 홍장원 '체포지시' 반박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6 '고교생 스노보더' 김건희, 악천후로 하프파이프 '행운의 금메달'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5 한미 경영권 분쟁 끝…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 사임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4 '배현진 습격' 15세 소년 집행유예... 심신상실 주장 인정 안 해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3 尹 측이 헌재로 불러들인 조태용 국정원장, '홍장원 흠집내기' 주력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2 [속보] 조성현 "이진우, '내부 들어가 의원들 끌어내라'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1 [속보] 수방사 1경비단장 "수방사령관이 국회의원 끌어내라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50 [단독]윤 지지자들 ‘헌재 악성 민원’ 폭증···스트레스 시달린 직원 ‘응급수술’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49 "월급 반씩 나눠갖자" 군대 대신 갔다…초유의 '대리 입영' 결말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48 [속보]인권위 ‘박원순 성희롱 판단’ 두고 항소심도 “위법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47 [속보] 수방사 경비단장 "이진우, 국회 안에서 의원들 끌어내라고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2.13
46546 국정원장, 계엄 선포 전후 김건희와 문자···“내용 기억 안나” new 랭크뉴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