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서 기재 내용과 실제 증언 달라…잘 살펴달라"…대리인단도 반발
'증인 반대신문 하루 전 제출'엔 문 대행 "재판부가 요청한 적 없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
(서울=연합뉴스)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이 열리고 있다. 2025.2.11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이도흔 이민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관련자들이 검찰에서 진술한 내용이 담긴 피의자 신문조서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의 증거로 쓸 수 없다고 직접 반발했다.

윤 대통령은 11일 열린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 직접 발언 기회를 얻어 "검찰이면 검찰, 군검찰이면 군검찰, 공수처면 공수처, 경찰이면 경찰, 이렇게 일관된 한 기관이 조사한 것이 아니고 여러 기관이 달려들어서 중구난방으로 조사하고, 국회에서 한 청문 기록까지 혼재돼 있다"며 "만연히 증거로 채택해서 사실인정에 반영한다는 것은 (맞지 않는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이나 다른 관계자들을 직접 심판정에서 신문해봤지만 조서에 기재된 내용과 실제로 증언 들은 것들이 너무 거리가 많이 벌어진 것을 많은 사람들이 느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어느 한 기관이 체계적으로 수사를 했으면 모르겠는데, 이게(조서들) 서로도 맞지 않기 때문에 그런 점을 잘 살펴달라"고 요청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을 들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평의 때 논의해 보겠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도 이날 검찰 조서를 증거로 채택하겠다고 밝힌 재판부에 강하게 반발했다.

정형식 재판관이 "헌재는 탄핵심판이 헌법재판이라는 사정을 고려해서 형사소송법상의 전문법칙을 완화해서 적용해 왔다"며 "이 사건의 경우에도 전문법칙의 완화 적용에 관해 재판부 평의를 거쳤다"고 설명하자, 윤갑근 변호사는 "탄핵심판은 단심이라 결과가 하나밖에 없다. 오히려 그 법칙이 더 강화돼서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형소법상 전문증거는 경험적 사실을 경험자 자신이 직접 진술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법원에 보고할 경우 그런 진술을 뜻한다. 누군가 경험한 사실을 들은 타인이 이 사실을 법원에 진술하는 형태가 대표적이다. 전문법칙이란 전문증거의 증거능력을 원칙적으로 부정하고 예외적으로 법률이 정한 요건(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 등)을 충족할 경우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원칙이다.

윤 대통령 측 차기환 변호사 역시 "기본적으로 형소법을 준용한다는 규정을 제한하는 것이 어떻게 헌법소송의 원리에 부합하는 것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선례가 그렇다든지 평의를 거쳤다든지 하는 단순한 이유가 아니라 어떤 법리에 의해 그렇게 구성을 한 것인지 의견을 꼭 듣고 싶다"고 말했다.

문 대행은 이날 변론을 시작하며 증인에 대한 반대신문 사항을 헌재에 전날 제출하도록 한 것과 관련해 "오해가 있어서 설명을 하겠다"며"증인 반대신문 사항을 1일 전 제출해달라고 재판부가 요청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동영상 상영 등 필요한 사항을 준비하고자 심판사무과 직원이 반대신문 사항을 미리 요청했음을 확인했지만, 심판사무과 직원이 증인에게 반대 신문 사항을 미리 제공한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윤 대통령 측은 탄핵심판 과정에서 헌재가 반대신문 사항을 변론 전날 제출하도록 했다며 이로 인해 증인에게 물을 사항이 사전에 노출돼 "허위 증언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짬짜미"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전날 헌재에 강의구 대통령비서실 1부속실장과 신용해 법무부 교정본부장, 박경선 전 서울동부구치소장에 대한 증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98 [속보] 권성동 “상속세 공제 한도 확대, 野와 얼마든지 논의할 생각 있어” 랭크뉴스 2025.02.16
47797 18년 만에 첫 로코 이준혁 "아이 돌보고 밥 짓는 건 정말 멋진 일" 랭크뉴스 2025.02.16
47796 "제발 '목사' 타이틀 떼라…종교 아닌 정치집회" 불편한 기독교 랭크뉴스 2025.02.16
47795 '오징어게임2' 채경선 미술감독, 3년만에 美미술감독조합상 수상 랭크뉴스 2025.02.16
47794 부천 노래방서 살해된 50대 여성…부검서 질식사 소견 랭크뉴스 2025.02.16
47793 하늘양 살해 교사, 평생 '月 100만원' 공무원연금 받는다…이달 월급도 랭크뉴스 2025.02.16
47792 인도 뉴델리 압사 사고…“축제 인파 몰려 18명 사망” 랭크뉴스 2025.02.16
47791 윤동주에 도시샤대 명예박사 수여…80주기 日서도 추모 랭크뉴스 2025.02.16
47790 이재명 “광주 찾아가 불법계엄 옹호 시위, 악마와 다를 게 뭔가” 랭크뉴스 2025.02.16
47789 내란, 계엄 탓에...서울대 수강률 급상승한 ‘이 강좌’ 랭크뉴스 2025.02.16
47788 ‘바라카 내홍’ 겪는 K-원전… 분리 8년 만 다시 커지는 “수출 일원화” 목소리 랭크뉴스 2025.02.16
47787 빚 못 갚은 자영업자 늘어…'생계형’ 60대 이상 52% 급증 랭크뉴스 2025.02.16
47786 '투자의 귀재'로 불리던 직장동료 믿었는데… 나도 모르는 새 6억 대출이 랭크뉴스 2025.02.16
47785 "계엄군 차단기 '턱' 순간 암흑"‥국회 CCTV 포착된 '단전 시도' 랭크뉴스 2025.02.16
47784 故송대관 생전 마지막 무대…"인생은 쿨하게" 밝은 얼굴로 열창 랭크뉴스 2025.02.16
47783 박찬대 "윤석열, '명태균 폰' 공개 치명상 막으려 계엄 선포‥명태균 특검 필요" 랭크뉴스 2025.02.16
47782 이재명 “정년 연장”에…오세훈 “‘공정한 일터’ 없으면 청년 말라비틀어져” 랭크뉴스 2025.02.16
47781 대법 "장자연 보도 MBC, TV조선 부사장에 3000만원 배상해야" 랭크뉴스 2025.02.16
47780 오요안나씨, 특별근로감독에서 ‘노동자’로 인정될까 랭크뉴스 2025.02.16
47779 세계 코코아 재고 바닥…“합성 초콜릿으로 눈돌려” 랭크뉴스 202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