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3일 서울시청사에서 투자ㆍ출연기관 규제철폐 보고회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무급 및 성과급제 임금체계를 도입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회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언급한 정년 연장은 “청년들을 말라비틀어지게 할 수 있다”고도 했다.
오 시장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에 글을 올려 “통계청의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 고용률이 4년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 시장은 “20대의 임금상승률 또한 전 연령대 중 가장 낮다. 70대보다도 임금이 더디게 올랐다고 한다”며 “청년의 삶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차지할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오 시장은 “청년들은 ‘공정한 경쟁과 합당한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가 ‘공정한 일터’를 만드는 일”이라고 했다. 그는 “나이와 연차에 따라 임금을 정하는 연공급 체계는 정의롭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며 “개인의 역량을 중심으로 보상하는 직무급 및 성과급제 임금체계를 도입해 노동시장의 새 판을 짜야 한다”고도 했다.
오 시장은 “그래야 기업이 부담 없이 청년 일자리를 늘리고, 청년도 자신의 역량을 자유롭게 발휘할 수 있다”며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청년 정책”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이재명 대표는 지난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정년 연장을 주장했다”며 “‘공정한 일터’가 선행되지 않은 정년 연장은 민주당 모 인사의 망언처럼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청년들을 더욱 말라비틀어지게 만들 수 있다”고도 했다.
오 시장이 언급한 민주당 모 인사는 박구용 전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이다. 그는 지난 8일 유튜브 채널 ‘정치오락실’에서 ‘극우로 신념화된 폭도들을 대화로 설득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지금은 그들 스스로 말라비틀어지게 만들어야 한다”라고 답했다. 이 발언이 논란이 되자 박 전 원장은 지난 12일 자진사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