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요 전망 기관 중 가장 낮은 성장률 제시
트럼프 新정부 출범 후 ‘관세 문제’ 현실화
KDI “내수·수출 모두 낮은 증가세 그칠 것”
“통상 분쟁·정국 불안 악화시 성장률 더↓”

11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 /뉴스1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6%로 전망했다. 트럼프 신(新)정부 출범 등 통상 환경 악화로 석달 만에 전망치를 0.4%포인트(p) 내려 잡은 것이다. 이는 주요 전망 기관 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KDI는 11일 ‘KDI 경제전망 수정’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이 연 1.6%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11월에 내놓은 2024년 하반기 전망(2.0%) 대비 0.4%p 하향 조정한 것이다.

KDI의 전망치는 여타 주요 전망 기관 중에서도 가장 낮았다. 정부(1.8%)·한국은행(1.9%)은 물론, 국제통화기금(IMF·2%)·경제협력개발기구(OECD·2.1%), 3대 국제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피치(Fitch·1.7%)보다 낮았다. 연초부터 한국의 성장률을 빠르게 낮춰잡아 온 글로벌 투자은행(IB) 전망치(1월 말 기준 8곳 평균·1.6%)와 동일하고, 한은이 최근 블로그를 통해 내놓은 비공식 전망치(1.6~1.7%)와 유사하다.

그래픽=손민균

석달 전보다 소비·투자·수출 전망 모두 ‘암울’
KDI가 진단한 우리나라 현 경제 상황은 어느 부분 하나 긍정적인 것이 없었다. KDI는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그동안 높았던 수출 증가세가 조정되면서 성장세가 약화하고 있다”며 “우리 경제는 내수와 수출 모두 낮은 증가세에 그치면서 성장세가 둔화할 전망”이라고 했다.

석달 전 전망치와 비교하면, 소비·투자·수출 전 분야에 걸쳐 악화한 수치가 제시됐다. ▲민간소비 증가율 1.8→1.6% ▲설비투자 증가율 2.1→2.0% ▲건설투자 증가율 -0.7→-1.2% ▲상품수출 증가율 1.9→1.5% ▲경상수지 흑자 폭 930억→897억달러 등이다.

2025년 국내경제 전망 비교. /한국개발연구원(KDI) 제공

트럼프 신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 환경 악화’를 본격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한 결과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작년 11월엔 트럼프 관세 인상이 좀 시간을 두고 진행될 것이어서 올해 그렇게 빠르게 (악영향이) 반영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했다”면서 “하지만 최근 미국 정부에서 중국 등에 이미 관세 인상을 시작하는 등 통상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워낙 커지다 보니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고 설명했다.

이는 연쇄적으로 내수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정 실장은 “이렇게 수출 여건이 안 좋아지면 가계 입장에서도 소득이 불안정해진다”며 “최근 정국 불안 때문에 심리가 위축된 부분이 있어 소비도 하향 조정했다”고 했다.

정규철(오른쪽)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과 김지연 KDI 전망총괄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KDI 경제전망 수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KDI 제공

“통상 갈등 격화되면 1.6%보다 더 낮아질 수도”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경제 여건이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그나마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도 내다봤다. KDI는 상·하반기 성장률을 각각 0.9%, 2.2%로 내다봤다. 소비와 건설이 나아질 것이라고 보면서다.

정 실장은 “(계엄 사태로 촉발된) 정국 불안이 해소되면서 2분기 정도엔 소비 심리가 상당 부분 회복될 것이라고 봤고, 작년 10~11월 진행한 금리 인하 효과도 2~3분기 정도 시차를 두고 내수를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건설도 하반기부터 부진이 해소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2.2%)보다 낮은 1.6%에 머무를 것으로 KDI는 예상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1.5%로 전망했다. 이는 3개월 전 전망과 동일하다. 유가·환율 상승이 물가를 밀어 올리는 요인이지만, 내수 부진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다. 취업자 수는 전년(16만명)보다 낮은 10만명 내외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내수 회복 강도가 생각보다 약하단 점을 반영해 지난 전망치보다 4만명 줄였다.

KDI는 향후 위험 요인으로 ‘통상’을 꼽았다. KDI는 “트럼프 정부 정책으로 통상 분쟁이 격화되는 경우 우리 경제에 상당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대내적으론 국내 정국 불안이 장기화하면서 경제 심리 회복이 지연되면 내수 개선이 제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했다. 이 경우 올해 경제 성장률이 1.6%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월 전망한 '2025년 경제전망' 모습. /KDI 제공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82 이재명 “정년 연장”에…오세훈 “‘공정한 일터’ 없으면 청년 말라비틀어져” 랭크뉴스 2025.02.16
47781 대법 "장자연 보도 MBC, TV조선 부사장에 3000만원 배상해야" 랭크뉴스 2025.02.16
47780 오요안나씨, 특별근로감독에서 ‘노동자’로 인정될까 랭크뉴스 2025.02.16
47779 세계 코코아 재고 바닥…“합성 초콜릿으로 눈돌려” 랭크뉴스 2025.02.16
47778 40대 예비신랑, 근무 일주일만에 참변…반얀트리 화재 유족 분통 랭크뉴스 2025.02.16
47777 윤동주 시에 나오는 ‘순이’는 누구였을까···창작을 멈춘 1년의 행적 랭크뉴스 2025.02.16
47776 포도막염서 실명까지…韓 급증하는 성병, 2030 더 위험하다 왜 랭크뉴스 2025.02.16
47775 박찬대 “尹, 김건희 치명상 막기 위해 비상계엄 선포”… ‘명태균 특검법’ 압박 랭크뉴스 2025.02.16
47774 민주당 국조특위 위원들 “계엄군, 국회 단전 시도…지하 1층 전력 차단기 내리기도” 랭크뉴스 2025.02.16
47773 대학가까지 모여든 극우···고성, 물리적 충돌에 아수라장된 서울대 랭크뉴스 2025.02.16
47772 직장내 투자귀재, 동료 신분증으로 대출사기…금감원 소비자경보 랭크뉴스 2025.02.16
47771 박찬대 "윤석열, '황금폰' 공개 치명상 막으려 계엄 선포‥명태균 특검 필요" 랭크뉴스 2025.02.16
47770 박찬대 “尹, 명태균 ‘황금폰’ 공개시 김건희 치명상 막으려 계엄” 랭크뉴스 2025.02.16
47769 野 "계엄군, 국회 실제 단전"‥"국회 마비 작전 드러나" 랭크뉴스 2025.02.16
47768 검찰, 내일 '尹 부부 공천개입' 수사 중간 발표 랭크뉴스 2025.02.16
47767 나경원 "민주당이 계엄 유발"…민주 "극우 심취하더니 전광훈 판박이" 랭크뉴스 2025.02.16
47766 '챗GPT 대항마' 그록3 17일 첫선…머스크 "지구 가장 똑똑한 AI" 랭크뉴스 2025.02.16
47765 “정년 연장은 불공정” 여권 잠룡 오세훈, 이재명 직격 랭크뉴스 2025.02.16
47764 포도막염 이어져 실명까지…韓 급증 성병, 2030 더 위험하다 왜 랭크뉴스 2025.02.16
47763 청년 실업자 1만6000명 줄었지만… ‘체감실업률’은 4년 만에 최악 랭크뉴스 202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