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자사주 30주 추가 지급에 합의
'최대 1000%' PS 상한도 추후 논의
'최대 1000%' PS 상한도 추후 논의
[서울경제]
SK하이닉스(000660)가 직원들에게 600만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지급하기로 하면서 성과급 지급 규모를 두고 갈등을 빚어온 노사 갈등이 일단락됐다. 노사는 현재 기본급의 최대 1000%까지 줄 수 있는 초과이익분배금(PS) 상한을 확대하는 방향을 놓고도 논의를 이어가기로 뜻을 모았다.
7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직원들에 대해 600만 원 규모의 자사주 30주를 추가 지급하기로 했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직원들에게 PS 1000%와 특별성과급 500%를 더해 총 1500%의 성과급을 지급하겠다고 공지했는데 이에 더해 자사주까지 얹기로 한 것이다. 자사주는 즉시 매도할 수 있다.
SK하이닉스 사규에 따르면 PS는 연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기본급의 최대 1000%까지 1년에 한번 지급하는 성과급 제도다. 회사는 지난해 12월 22일 총 PS 1000%에 특별성과급 500%를 합친 1500%의 성과급을 지급하겠다고 공지했지만 직원들은 반발했다. 500%로 책정된 특별성과급 규모가 노조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정해졌다는 이유에서다. 1500%의 지급률은 앞선 반도체 호황기였던 2018년과 동일하지만 노조는 그때보다 영업이익 규모가 대폭 늘어난 데다 특별성과급 규모 역시 노조와 합의를 거치겠다고 약속한 만큼 일방적 통보는 노사 약속을 깬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지급 발표 이후 노사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날 오후 사측이 전격적으로 3개 노조에 PS 후속 논의를 요청했다. 노사는 중앙노사협의회를 통해 다시 테이블에 앉았다. 협의 결과 이들은 자사주 추가 지급 외에도 기본급의 최대 1000%까지 지급할 수 있는 PS 지급 상한을 높이는 방향을 포함해 PS 지급 기준에 대해서도 추후 시작될 임금 교섭에서 논의하기로 했다. 올해 SK하이닉스의 연간 영업이익이 31조~34조 원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맞춰 PS 지급 기준을 현실화하는데 노사의 뜻이 일치한 것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23조 원 넘어서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등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SK하이닉스의 지난해 매출액은 66조 1930억 원, 영업이익은 23조 4673억원, 순이익은 19조 7969억원이다. 매출은 기존 최고였던 2022년(44조 6216억 원)보다 21조 원 이상 높고 영업이익도 메모리 2018년(20조 8437억 원)의 성과를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