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정갈등1년]개점휴업 내몰린 의대
"선후배 관계 고려 휴학 불가피"
휴학생 전체 재적생 95% 달해
사태 지속땐 6년후 국시 응시 0
"대학 교육 인프라 미비" 지적도
[서울경제]

지난해 2월 6일 윤석열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된 의정 갈등이 1년째를 맞았다. 정부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과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이 1년째 이어지며 의료 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는 지난 1년간 협의를 시도했지만 번번이 무산되며 평행선만 달리고 있다. 그사이 환자들의 불편은 커져만 가고 있고 이제 다시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문제를 고민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의대 입학 첫 학기부터 휴학을 해야 할지 고민스럽습니다. 정부가 지난 1년간 똑같은 말만 반복했는데 올해라고 크게 달라질 희망이 안 보이네요. 정부가 이달에 의대생 복귀를 위한 계획을 내놓겠다고 하니 그것까지 보고 결정할까 합니다. 미리 잡아 놓은 자취방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올해 서울 상위권 의대 ‘25학번’ 신입생 A(19) 씨. 대학 생활을 시작도 하기 전에 휴학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꼼짝도 하지 않는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 때문이다. A 씨는 “입학 동기들 중에는 일단 휴학을 신청한 후에 단톡방에 인증한 다음 휴학을 취소한 경우도 있다고 들었다”며 “그동안 열심히 공부한 보상을 받아야 할 대학 생활을 시작도 하기 전에 걱정부터 앞선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5일 서울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의정 갈등 여파로 의대가 개점휴업 상태에 빠지면서 올해 신입생들마저 ‘등교 딜레마’에 빠졌다.

의대 증원 정책의 혜택을 보며 입학의 기쁨을 맛봤지만 워낙 ‘군기’가 강한 의대 분위기 속에서 올 1학기 등록을 하고 학교를 다녀야 할지, 선배들의 분위기에 따라 휴학을 해야 할지 눈치만 살피는 실정이다. 다른 서울권 의대 신입생 B(19) 씨는 “의대 내 선후배 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어쩔 수 없이 동맹휴학에 동참해야 하는 분위기”라며 “조용히 학교를 다니고 싶지만 지난해에도 수업 불참 인증 등으로 휴학을 강요했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5학번 입장에서 휴학하면 차후 복학했을 때 먼저 휴학한 선배들과 같은 1학년으로 경쟁해야 하는 것도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의정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의료 현장도 문제지만 미래 의사를 길러내야 할 의대가 휴학 폭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의정 갈등이 터진 이후 의대 휴학생은 급증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9일 기준 전국 39개 의대 휴학생은 전체 재적생의 95%에 해당하는 1만 8343명이다. 학교에 남은 재학생 1030명 중에서도 실제 온·오프라인 강의에는 723명만 출석했다. 만약 내년 의대 정원 문제가 조기에 풀리지 않으면 올해도 휴학 사태가 이어질 수 있다. 심지어 휴학이 길어지다 보니 아예 의사가 되기를 포기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한 의대생 학부모는 “1년가량 휴학을 하더니 의사를 하기 싫어졌다고 한다”며 “대기업보다 연봉이 높지도 않고 사생활도 없으면서 고된 일을 할 이유를 모르겠다는데 설득 방법이 떠오르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더 큰 문제는 1학년부터 집단 휴학이 계속될 경우 심각한 ‘의사 공급 절벽’을 마주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올해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 의사 면허를 취득한 인원은 지난해의 8.8% 수준인 269명으로 급감했다. 의료계는 현재의 휴학 공백 후유증이 6~7년 후 심각한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서울 ‘빅5’ 대형 병원의 한 교수는 “신규 의사 배출이 줄어들 경우 서울권 대학병원 교수급 인재는 유지할 수 있겠지만 지역의 많은 대학병원들은 무너질 것”이라며 “의사가 수도권으로 몰리는 반면 지역의료는 의사가 없어서 망가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의대 교수들은 올해 학생들이 돌아온다고 해도 걱정이다. 휴학생들이 한꺼번에 복학할 경우 한꺼번에 돌아오는 학생들을 가르칠 교수나 시설 등이 제대로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휴학생들이 올해 1학기에 복귀할 경우 전국 의대 1학년생은 무려 7500명 안팎에 달한다. 실제 정원을 전년 대비 151명 늘린 충북의대의 경우 해부학 실습 공간조차 없다는 지적이 교수들을 중심으로 나온다. 수도권 대학병원의 한 필수의료과목 교수는 “인프라를 완벽히 준비한 곳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면서 “학생이 늘면 예과·본과·임상실습 등 프로그램을 다시 짜야 하는데 늘어난 인원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19 [속보] ‘서부지법 난동’ 또다른 특임전도사 구속 “증거인멸·도망 염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18 브뤼셀서 괴한 2명 총격 뒤 도주…부상자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17 "가자지구, 중동의 리비에라로 재건" 끝없는 트럼프 '영토 야욕'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16 "아빠 폰에 아동 포르노 1000개 있다"…경찰에 직접 넘긴 아들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15 박주민 "서부지법 폭도에 영치금 보낸 김용현 제정신인가"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14 전광훈 "아들 시신 유기" 논란에…교회 측 "가십 소비 유감"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13 트럼프, 가자주민 내쫓고 ‘점령’한 뒤 개발? 국제법도 무시한 영토 야욕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12 홋카이도 120cm '눈폭탄'에 교통 마비에 긴급 휴교령‥'관측사상 최고치'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11 트럼프, 초법적 부동산업자처럼 “미국이 가자지구 개발”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10 아스팔트 목사에서 극우의 상징으로‥"시대가 만든 괴물"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9 북극 한파에 칼바람까지…몸도 마음도 ‘꽁꽁’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8 먹고살기 힘들다면서 명품 '오픈런' 하더니…불황 속 역대 '최대 매출' 찍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7 특전사, 내란 9개월 전 ‘국회 헬기 착륙 장소’ 점검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6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 직전 ‘HUG 분양보증심사’ 사실상 ‘만점’ 받았다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5 "호텔을 왜 가? 집이 더 좋은데"…한강 보며 스파하고 주차도 척척해주는 '요즘 아파트'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4 산업부 등 정부 부처도 '딥시크' 임시 접속 차단... 기업들도 줄줄이 "경계령"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3 이재용의 '뚝심'…삼성, 업황악화에도 채용 4700명 늘려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2 ‘부정선거 주장’ 황교안 전 총리, 윤석열 변호인단 합류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1 中 정보 유출 우려… 행안부 등 정부·기업 ‘딥시크’ 주의보 new 랭크뉴스 2025.02.05
47600 '서부지법 난입' 전광훈 교회 특임전도사 구속 "증거인멸·도망 염려" new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