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新확장주의 새 타깃된 가자지구]
팔 주민 강제 이주 등 구상 밝혀
미군 파견 가능성도 배제 안해
사우디 "이스라엘 수교 불가" 반발
하마스 압박용 협상전략 분석도
美 강행땐 중동 더 큰 혼란 불가피

[서울경제]

백악관 탈환 후 영토 확장 야욕을 노골화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점령하겠다는 ‘폭탄 발언’을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줄곧 주창해온 ‘미국 우선주의’와 사업가적 사고방식의 결합으로 주변국을 위협하는 ‘신(新) 확장주의’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점령 구상은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와의 평화 협상을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기 위한 협상용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 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회담 직후 “미국이 가자지구를 소유할 것”이라며 “현장의 모든 불발탄과 무기 해체를 책임지고, 파괴된 건물을 철거하며, 지역에 일자리와 주거를 무한정 공급하는 경제 발전을 일으킬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가자지구에 대한) 장기 소유를 생각한다”며 “가자는 개발을 통해 ‘중동의 리비에라’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리비에라’는 프랑스의 칸에서 이탈리아의 라스페치아에 이르는 지중해안 일대를 아우르는 명칭이다. 일대에 세계적인 리조트들이 몰려 있어 휴양지의 대명사로 꼽힌다. 실제 가자지구 서쪽은 지중해와 접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에 미군을 파견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 같은 방안을 “역사를 바꿀 결단”이라며 환영했다.

아랍권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는 거센 비난이 쏟아졌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즉각 성명을 내고 “이스라엘의 점령 정책을 포함해 가자 주민들의 이주나 영토 병합 등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권리 침해는 무조건 반대한다”고 했다. 또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이라는 전제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이스라엘과 수교는 불가능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국교 정상화는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부터 추진해온 중동 평화 계획의 핵심이다. 이집트와 요르단·카타르·아랍에미리트(UAE) 등도 가자 주민의 강제 이주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호주 등 서방에서도 “중동의 ‘두 국가 해법’을 계속 지지한다”는 메시지를 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군사적 강압을 전제로 한 확장주의 발언의 타깃이 된 곳은 가자지구가 세 번째다. 그는 앞서 덴마크령 그린란드와 파나마 정부의 운하 통제권을 미국이 소유해야 한다고 주장한 후 연일 위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물리적 영토 확장 대신 자유민주주의 진영의 헤게모니를 통해 영향력을 강화해온 미국의 방식과 반대되는 행보라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의 사업 확장적 사고방식이 ‘미국 우선주의’와 결합된 결과라는 분석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 사위 재러드 쿠슈너의 제안을 받아 가자지구 해안선을 레저 리조트로 개발하는 구상을 평화 계획으로 내놓은 전력이 있다. 제이크 오친클로스 미 하원의원(민주·매사추세츠주)는 “동기를 살펴봐야 한다”며 “항상 그렇듯 트럼프가 정책 항목을 제안할 때는 인척과 관련됐으며 이기적 관계가 엮어 있다”고 꼬집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의 이번 구상이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와의 평화 협정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트럼프식 협상’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담한 수사를 통해 하마스를 압박해 불확실성이 큰 가자 휴전 협상을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려는 전략을 택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230만 명에 달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강제 이주와 미국의 가자지구 점령은 실현 가능성이 낮을 뿐더러 정당성도 결여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가자지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뿐만 아니라 중동 국가들이 얽혀 있는 상징적 지역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대해 “막대한 비용이 들고 치명적이며 정치적 충격이 클 것”이라고 짚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로 미국이 중립적 중재자로서의 지위를 잃을 경우 중동 정세가 더 큰 혼란에 직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저스틴 어마시 전 하원의원은 “미국이 가자에서 주민들을 강제로 추방하기 위해 군대를 배치한다면 또 다른 무모한 점령에 휘말릴 것”이라며 “‘인종 청소 범죄’ 유죄를 인정하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AP통신은 “트럼프의 대담한 발언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불안정한 휴전을 연장하고 인질 석방을 위한 다음 단계를 위한 협상을 혼란스럽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37 트럼프 가자 구상에 각국 비판 쇄도…"말도 안 되는 소리"(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6 [사설] 법원 난동 피의자 영치금 보낸 김용현... 사법테러 부추기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5 카카오 “딥시크 쓰지 마”…커지는 중국 AI 견제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4 강남역 1억 ‘간접흡연 방지시설’ 만들었지만… 행인은 콜록콜록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3 알리·테무, 압도적 물량 공세… 유통 내수시장 주도권 내주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2 12살 아들 ‘전치 6주’ 학폭 당했는데…교육청 "가해 학생 강제 전학 못 보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1 트럼프 눈치보기?…"베이조스 펀드, 기후 조직 지원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0 트럼프·딥시크 충격에…정부, 34조원 이상 첨단산업기금 조성한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9 한덕수 측, 탄핵심판서 “계엄 국무회의 위법···신속 결정 필요”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8 결국 구치소 청문회 안 나온 윤·김용현…야당 “무례한 증인들…고발 조치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7 이재명 ‘위헌심판 제청 신청’ 두고 공방…증인은 3명만 채택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6 ‘트럼프 무풍지대’ 전선업계 실적 신바람 타고 전력질주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5 관세 총구 겨눈 미·중…한국, 수출 1·2위국 사이 눈치만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4 악성 ‘준공후 미분양’ 10년 만에 2만가구 돌파…금융위 “DSR 완화 고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3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 소형 아파트로 옮기고, 여윳돈 ETF 넣으면 유동성 ‘든든’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2 ‘서부지법 난동’ 사랑제일교회 특임전도사 연달아 구속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1 "트럼프, 尹 도울 가능성 거의 없어… 李와 더 잘 맞을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0 러·우크라, 150명씩 포로교환…UAE 중재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19 [속보] ‘서부지법 난동’ 또다른 특임전도사 구속 “증거인멸·도망 염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18 브뤼셀서 괴한 2명 총격 뒤 도주…부상자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