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CJ ENM 제공.


2000년 개봉한 박찬욱 감독의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는 지금 봐도 25년이라는 세월이 잘 느껴지지 않는 영화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남북한 초소병들의 우정과 비극을 그린 이 영화는 남북관계를 다룬 독특한 방식, 밀도 있는 서사와 연출로 호평을 받았다. 당시로선 기록적 숫자인 580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도 성공했다.

4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 박찬욱관에서 <공동경비구역 JSA> 시사 및 GV가 열렸다. 영화가 CJ ENM 30주년 기념 ‘비저너리’로 선정된 것을 기념하는 이벤트다. GV에는 박찬욱 감독, 송강호·이병헌·이영애·김태우 배우가 참석했다. 영화에서 송강호는 북한군, 이병헌과 김태우는 남한군, 이영애는 한국계 스위스인 군 정보단 소령을 연기했다.

CJ ENM 30주년 기념 ‘비저너리’ 에 선정된 <공동경비구역 JSA>. CJ ENM은 매 해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의미있는 독보적인 영향을 미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인물이나 콘텐츠를 ‘비저너리’로 선정하고 있다.


25년 만에 한자리에 모인 감독과 배우들은 GV 내내 약간 들뜬 표정으로 과거를 회상했다.

박 감독은 <공동경비구역 JSA>를 자신을 ‘살려준 작품’이라고 부른다. <달은 해가 꾸는 꿈>(1992) <3인조>(1997) 흥행에 연달아 실패한 그가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만들어 커리어의 전환점이 된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는 “세번째 기회마저 놓치면 이 작품이 ‘유작’이 될거라는 절박한 마음이 있었다”며 “영화감독이 한 번 실패하면 두번째 기회를 얻기 어렵고, 세번째 기회를 얻는 것 자체가 아주 드문 일인데 이렇게 좋은 작품에서 프로덕션의 전폭적 지원을 받고 좋은 배우들까지 만났으니 저를 살려준 작품”이라고 말했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속 한 장면. CJ ENM 제공.


지금은 한자리에서 보기 힘든 톱스타가 된 네 배우들에게도 작품의 의미는 깊다. 당시 한 차례 출연을 거절했던 송강호는 그는 “시나리오가 완벽을 추구했다. 한국 영화 수준에서 이런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다는게 믿어지지 않아 거절했다가, 감독님을 만나고 품격에 압도돼 수락했다”고 말했다. 이병헌은 “개봉 때 몰래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40번쯤 봤다. 저에게 첫 ‘흥행배우’라는 수식어를 안겨준 작품”이라고 말했다. 이영애는 “20대 말에 이 작품을 만나 30대에 좋은 작품을 많이 하는 화창한 시절을 보냈다”고 말했다. 김태우는 “저 스스로를 더이상 설명할 말이 없을 때 온 국민이 다 아는 ‘JSA’ 이야기를 꺼내곤 했다”고 말했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의 한 장면. CJ ENM 제공.


영화를 다시 만든다면 바꾸고 싶은 것이 있을까. 박 감독은 CG를 꼽았다. 그는 “지금 CG 기술이라면 불타는 장면 같은 것은 더 볼만하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영화는 오경필(송강호)을 제외한 다른 주인공들은 모두 살해되거나 자살하는 것으로 끝난다. 초안에는 다른 결말도 있었다. 박 감독은 세월이 흘러 민간인이 된 이수혁(이병헌)이 프랑스 파리에서 비행기를 타고 ‘친구(오경필)를 만나러 아프리카에 간다’고 말하는 엔딩, 소피(이영애)가 요양원에 있는 아버지를 만나 손톱을 깎아주는 엔딩도 고려했다고 말했다. 박 감독의 이야기를 듣던 송강호는 “(그 결말대로 했으면) 큰일 날 뻔했다”고 해 관객석에 웃음이 터졌다.

<공동경비구역 JSA>이 25년이 지난 현재도 어색하지 않게 다가오는 이유는 작품성 때문도 있지만, 영화 속 남북 상황이 2025년에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박 감독은 “이 영화가 지금 젊은 세대에게 감흥을 일으킬 수 있다는게 어찌 보면 슬픈 일이다. 영화 50주년 때는 이런 것을 옛날 이야기처럼 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38 김용현 거부로 구치소 현장 청문회 무산‥"재판 준비" 랭크뉴스 2025.02.05
47437 “두렵다, 미친 짓” “부동산이냐”…트럼프 “가자 장악” 폭탄 발언에 놀란 세계 랭크뉴스 2025.02.05
47436 中에 밀린 日파나소닉, 70여년만에 TV 사업 철수 검토 랭크뉴스 2025.02.05
47435 내란국조특위, 김용현 상대 '구치소 청문회' 불발... 與 불참 랭크뉴스 2025.02.05
47434 산토리니섬 지진에 여행상품 줄취소…대체 관광지로 선회 랭크뉴스 2025.02.05
47433 WSJ “트럼프, 불법이민자 관타나모 수용소 이송…군대 투입” 랭크뉴스 2025.02.05
47432 김부겸, 이재명 위헌법률심판 제청에 쓴소리…“법원·국민 믿고 가야” 랭크뉴스 2025.02.05
47431 "귀금속 환불 안돼" 8억 안 돌려준 한국은거래소, 영업정지 4.5개월 랭크뉴스 2025.02.05
47430 尹 탄핵 기각 의견 46.9%…한 달 새 10%p 올라 [에이스리서치] 랭크뉴스 2025.02.05
47429 안철수 "尹 '계엄 아무 일도 없었다'? 쟁점 회피할수록 더 불리" 랭크뉴스 2025.02.05
47428 김동연·김부겸·김경수, 이재명 체제에 ‘쓴소리’…“당 정체성 유지해야” 랭크뉴스 2025.02.05
47427 "지금 사도 여름에 탄다"…현대차, 신형 팰리세이드 '광풍' 랭크뉴스 2025.02.05
47426 尹 이어 이상민 사건까지... 공수처 '공수거' 비판 목소리 랭크뉴스 2025.02.05
47425 김용현, '서부지법 난동' 피의자들에게 영치금 보내 랭크뉴스 2025.02.05
47424 한달만에 100만개 팔린 이장우 호두과자, 일본으로 간다 랭크뉴스 2025.02.05
47423 이재명 공직선거법 항소심 출석…“재판 신속히 끝날 것” 랭크뉴스 2025.02.05
47422 전광훈 "내가 그런 애들과 대화할 군번이냐"…특임전도사 배후설 일축 랭크뉴스 2025.02.05
47421 [단독] 헌재 증언거부한 이진우 “윤석열 ‘문 부수고 데려 나오라’ 지시” 랭크뉴스 2025.02.05
47420 [단독] 카카오, 딥시크 이용금지…격화하는 AI 동맹 대전 랭크뉴스 2025.02.05
47419 트럼프 친이스라엘 노골화…미국 '정직한 중재자' 입지 중상입나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