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인공지능 ‘딥시크’의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오는 7일 예정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미·일 공동 연구개발이 의제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중국 스타트업의 생성형 인공지능 ‘딥시크’가 관련 업계에 충격을 주면서 두 나라가 중국산 인공지능 대응 조처를 서두르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4일 “이시바 총리가 7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연구 개발 협력 문제를 논의하는 방향으로 조정에 들어갔다”며 “중국이 인공지능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에 대처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미·일이 민간투자 촉진과 정보 공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일본 교도통신도 “이시바 총리가 반도체와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미·일 협력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조율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두 정상은 이런 내용을 공동 성명에 포함시키는 것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일 정상의 첫 만남에서 다뤄야 할 의제 가운데 중국산 인공지능에 대한 대응이 검토되는 것은 최근 중국산 인공지능 ‘딥시크’ 등장이 그만큼 큰 충격을 줬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일 두 나라는 중국산 인공지능의 갑작스러운 부상에 안전성과 신뢰성에 강한 우려를 드러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시바 정부는 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인공지능과 관련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앞서 이시바 총리는 지난 3일 총리 관저에서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SBG) 회장 겸 사장과 세계적 인공지능 ‘챗지피티’(Chat GPT) 개발사인 오픈 에이아이(AI)의 샘 알트먼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미국에서 인공지능 투자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 자리에서 “일본과 미국이 인공지능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세계가 더 평화롭고, 풍요롭고, 안전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두 회사는 도쿄에서 새 기업용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 합작사 ‘에스비(SB) 오픈 에이아이(AI)’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손 회장은 오픈에이아이에 150억∼250억 달러(약 21조9천억∼36조5천억원) 규모의 직접 투자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앞으로 인공 지능분야에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과 함께 이번 미·일 정상회담에서도 인공지능 관련 의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쿄/홍석재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