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레이디 가가가 지난 2일 제67회 그래미 시상식 레드카펫에서 인사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국내 방송채널 ‘엠넷’이 미국의 대중음악 시상식 ‘그래미 어워즈’를 생중계하면서 팝스타 레이디 가가의 수상 소감에서 성소수자 지지 표현을 한국어로 통역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레이디 가가는 지난 2일(미국 현지시간) 그래미 시상식에서 다른 팝스타 브루노 마스와 함께 최우수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 레이디 가가는 소감에서 “오늘 밤 이 말을 하고 싶다. 트랜스젠더들은 투명인간이 아니다. 그들은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며 “퀴어 커뮤니티도 존중받을 자격이 있다. 음악은 사랑이다”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남성과 여성 두 성별만을 인정하겠다고 한 데 대한 비판으로 해석됐다. 레이디 가가의 발언에 동료 가수들을 비롯해 객석의 관중은 기립박수를 보냈다.

이 시상식을 국내에 독점 생중계한 엠넷은 이 발언을 온전히 통역하지 않았다. 동시통역자는 방송에서 “다양성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포용하고 음악의 가치를 말한 것 같습니다”라고만 전달했다.

시청자들은 성소수자를 다루지 않는 국내 대중매체의 문제가 반복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해설이 왜 이러냐. 국내 방송국들은 아직도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라거나 “이런 중요한 이야기를 띄엄띄엄 통역하는 중계가 답답하다”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동시통역이 미흡했다면 이후 해설에서도 레이디 가가 발언 취지를 전할 수 있었을텐데 엠넷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이는 성소수자를 가시화하지 않으려는 한국 미디어의 고질적 폐습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호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활동가는 “예전부터 해외 시상식에서 시상자나 수상자들이 성소수자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뭉뚱그려 통역하던 일의 연장선상”이라며 “이번 발언은 트럼프가 두 개 성별만 인정한다고 하는 등 반동적 시도가 있는 상황에서 나온 목소리”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만큼 (해설진이) 공적 목소리를 정확하게 통역하고 이러한 지지 발언이 어떤 의미인지 풍부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국내 방송드라마·무대 등에서 이른바 ‘성소수자 지우기’가 반복됐다. SBS는 2021년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를 방영하며 동성 간 키스 장면을 편집했다. SBS는 “15세 이상 시청가를 고려해 편집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프레디 머큐리의 성소수자로서의 존재성을 지웠다는 비판을 받았다.

서울시는 2021년 연말 보신각 온라인 타종식 무대 방송을 송출하며 성소수자를 언급한 가사를 삭제해 지적받았다. 당시 댄스팀 라치카는 성소수자와 연대하는 메시지를 담은 레이디 가가의 ‘본 디스 웨이’에 맞춰 춤을 췄다. 이때 ‘동성애자, 이성애자, 양성애자든 상관없어’ ‘레즈비언, 트랜스젠더의 삶도 난 맞는 길로 가고 있어’ 등의 가사가 삭제됐다.

SBS는 왜 동성 간 키스신을 삭제했을까SBS가 설 특선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서 동성 간 키스 장면을 편집해, 성소수자로서 프레디 머큐리의 삶을 조명한 영화의 본령을 왜곡하고 사회적으로 성소수자의 존재를 지우는 모욕을 가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SBS 측은 “지상파에서 15세 이상 시청가로 방송하는 설 특선 영화라는 점을 고려한 편집일 뿐 다른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SBS는 지난...https://www.khan.co.kr/article/202102142041015

서울시 타종행사 공연 중 ‘성소수자 가사’만 삭제 논란새해를 앞둔 지난달 31일 서울시가 주최한 ‘보신각, 제야의 종’ 온라인 타종식 축하 무대에서 성소수자를 언급한 가사 내용이 삭제돼 논란이 일고 있다. 공연은 오후 11시40분부터 서울시 유튜브·페이스북은 물론 tbs교통방송, 지상파·케이블 방송사를 통해 송출됐다. 두 번째 순서로 소개된 댄스팀 라치카(사진)는 팝 스타 레이디 가가의 대표곡 ‘본 디스...https://www.khan.co.kr/article/202201032115025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18 [속보] 여인형 "조지호에 체포 명단 언급… 기억은 일부 달라" 랭크뉴스 2025.02.04
47017 [속보] 이재명, 공직선거법 2심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랭크뉴스 2025.02.04
47016 사랑제일교회 전도사 또 체포‥"전광훈 소환조사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2.04
47015 이진우 “계엄 적법했다고 생각”…‘체포 지시 받았나’ 질문엔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04
47014 가수 영탁 '음원 사재기' 기획사 대표 법정구속... "유통 질서 침해" 랭크뉴스 2025.02.04
47013 [속보] 여인형 '정치인 체포' 증언 거부…"반대되는 진술 많다" 랭크뉴스 2025.02.04
47012 이재명만 빼고 '개헌' 앞으로... 여권도, 비명계도 "대통령 권력 손보자" 랭크뉴스 2025.02.04
47011 "尹에 수차례 계엄 반대 직언했다"…억울함 호소한 '계엄 장군' 랭크뉴스 2025.02.04
47010 [단독]경찰, ‘넥슨 집게손가락’ 엉뚱한 여성 집단 린치 가한 악플러 무더기 송치 랭크뉴스 2025.02.04
47009 ‘공무원 아빠’ 출산휴가, 10일에서 20일로 랭크뉴스 2025.02.04
47008 세계 매출 13위 다케다 차기 대표에 줄리 김… 한국계 최초 빅파마 수장 랭크뉴스 2025.02.04
47007 尹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아… 달 그림자 좇는 느낌” 랭크뉴스 2025.02.04
47006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 대통령, 법원에 구속취소 청구 랭크뉴스 2025.02.04
47005 [속보] 윤석열 “호수 위 달그림자 쫓나…계엄날 아무 일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04
47004 김선호 국방장관 대행, ‘선거조작 중국인 체포’ 보도에 “그런 사실 없어” 랭크뉴스 2025.02.04
47003 한동훈, 보수 원로에 이어 유인태 만나 "12·3 계엄 대응 과정에 아쉬움 있어" 랭크뉴스 2025.02.04
47002 [속보] 윤석열 “아무 일도 없었는데...호수 위 달그림자 쫓는 듯” 랭크뉴스 2025.02.04
47001 [속보] 여인형, 尹 탄핵심판서 '정치인 체포' 증언 거부 랭크뉴스 2025.02.04
47000 “평당 1억 시대 오나” 서초·강남·송파 170% 상승 랭크뉴스 2025.02.04
46999 "왜? 12월 3일 계엄이었을까요" 명태균 답 들은 박범계 '끄덕' 랭크뉴스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