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3 비상계엄’에 주도적으로 가담한 혐의로 기소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4일 군사재판에서 내란죄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상부에 계엄 반대를 직언했고, 계엄 관련 명령을 수행하면서 국헌문란의 의도를 품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지난해 12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2024.12.07.

여 전 사령관은 이날 서울 용산구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첫 공판준비기일에 출석해 “검찰 조사 과정에서 사령관으로서 불찰이 크다는 점을 느꼈다”면서도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계엄에 대해 수차례 반대를 직언했다”고 밝혔다. 내란중요임무종사 및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지난해 12월 31일 구속기소된 여 전 사령관은 이날 전투복 차림으로 검은색 마스크를 착용한 채 등장했다.

그동안 좀처럼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던 그가 피고인 출석 의무가 없는 공판준비기일에 나타난 건 향후 재판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에게 적용된 혐의를 반박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군 검찰은 여 전 사령관이 윤 대통령, 김 전 장관 등과 공모해 영장 없이 정치인 등 주요 인사 10여명을 체포하고 선관위의 전산 자료를 압수하려 했다고 보고 있다.

반면 여 전 사령관 측은 “계엄에 동조해 사전에 모의한 사실은 없고, 지휘관으로서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는 입장이다. “내란죄가 성립하려면 국헌문란의 목적을 가져야 하는데, 다른 상위직에 있는 그들의 의도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여 전 사령관은 이 같은 의도를 가진 적이 없다”고도 변호인은 주장했다.

여 전 사령관 역시 “훨씬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대통령이 어떤 현실 인식을 하고 있었는지에 대해선 제가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며 “계엄을 모의할 그 어떤 이유도, 동기도 없고 그 다음 계획 역시 알지 못하기에 기대되는 이익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TV로 생중계되는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보고 그 짧은 시간에 그것이 적법한지, 평생 단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내란 행위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계엄 선포 이후 방첩사의 조치가 소극적이었다는 점도 사전 모의가 없었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여 전 사령관은 주장했다. 그는 “(계엄 다음날인) 새벽 1시에 방첩사 영외거주자 비상소집이 완료됐고 방첩사의 평균 출동 개시 시간 역시 새벽 1시였다”며 “국회에 출동한 요원들은 여의도 외곽 차 안에서 대기하다가 1시 20분 철수 명령에 따라서 철수했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는 방첩사 차원에서 계엄 관련 지시를 실행에 옮기지 않았다는 취지다.

여 전 사령관은 또 지시가 하달되면서 왜곡됐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방첩사는 평시 계엄과 관련해 합동수사본부 구성 등 가정적 상황을 훈련하는데, 실제 지시와 훈련 매뉴얼에 따른 행동 지침이 혼재돼 정치인 체포와 검거로 해석됐을 수 있다는 취지로 읽힌다. 다만 여 전 사령관 측은 “정치인 10여명 체포 관련 경찰에 위치를 확인해달라는 요청한 사실이 없냐”는 재판부의 질의에는 “다음 기일에 얘기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군 검찰은 여 전 사령관의 주장을 반박했다. 군 검찰은 “피고인은 계엄 선포 전부터 대통령과 김 전 장관으로부터 계엄 명령의 내용을 알고 있었고, 위법성을 판단할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며 “선관위와 국회에 부하들이 도착하지 못한 건 피고인의 지시 때문이 아닌, 부하들의 판단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 측 변호인은 공판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무죄 취지를 주장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내란죄가 성립되면 직권남용죄가 흡수되는 법리가 있다”며 “내란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면 직권남용 부분은 아마 남지 않을까 생각한다. (혐의에) 전혀 책임이 없다는 주장을 펼치는 건 아니다”고 답했다. 이를 놓고 군 안팎에선 처벌 수위가 무거운 내란 대신 직권남용 혐의만 인정해 중형을 피하려는 전략이라는 시각이 있다.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지난해 12월 2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리는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여 전 사령관과 같은 혐의를 받는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에 대한 공판준비기일도 이날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렸다. 문 전 사령관이 불출석한 가운데 열린 공판에서 변호인은 “문 전 사령관이 정보사 업무를 정당한 명령으로 받았을 뿐, 대통령 및 다른 사령관들의 임무에 대해선 전혀 알지 못했다”며 공모 의혹 등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이밖에 문 전 사령관 측은 체포 절차의 위법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수사관들이 군사보호시설인 영내에서 체포영장을 집행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확인할 일이 있다’며 문 전 사령관을 행정안내실로 유인해 체포한 건 기망에 의한 체포라는 논리다. 이를 근거로 문 전 사령관 측은 불법 체포에 따른 수사와 재판 모두 무효라는 주장을 펼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군 검찰은 “체포 착수 전 준비단계에서 피고인을 만나기 전에 영장 집행사실을 사실대로 고지해야 할 의무는 없다”고 일축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30 이재용, 올트먼·손정의와 3자 회동…한·미·일 AI 협력 논의 랭크뉴스 2025.02.04
47029 이진우 "계엄지시 적법하다 생각"…해제 막으란 지시엔 "없다" 랭크뉴스 2025.02.04
47028 尹대통령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끌어내라' 지시 부인 랭크뉴스 2025.02.04
47027 尹에 등 돌린 '계엄의 별들'…"난 결백"·"반대했다" 줄줄이 증언 랭크뉴스 2025.02.04
47026 곽종근 “윤석열 ‘국회의원 끌어내라’ 지시했다…안에 요원 안 들어간 상태였다” 랭크뉴스 2025.02.04
47025 [헌재속보] 이진우 “비상계엄 지시, 지금도 적법하다 생각”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4
47024 "트럼프 진짜 관세전쟁은 4월부터…韓, 패키지딜 만들어 소통 나서야" 랭크뉴스 2025.02.04
47023 [단독]딥시크 주역 53명 추적해보니…베이징대·MS 인턴 ‘AI 인재’ 자급자족 [딥시크 충격①] 랭크뉴스 2025.02.04
47022 계엄날 아무 일 없었다는 윤석열 “호수 위 달그림자…” 랭크뉴스 2025.02.04
47021 윤 대통령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끌어내라’ 지시 부인 랭크뉴스 2025.02.04
47020 오세훈, 조기 대선 출마 여부에 "헌재 결정 후 명확하게 답하겠다" 랭크뉴스 2025.02.04
47019 이재용·손정의·올트먼 한자리에… “韓·美·日 주축 AI ‘드림팀’ 뭉쳤다” 랭크뉴스 2025.02.04
47018 [속보] 여인형 "조지호에 체포 명단 언급… 기억은 일부 달라" 랭크뉴스 2025.02.04
47017 [속보] 이재명, 공직선거법 2심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랭크뉴스 2025.02.04
47016 사랑제일교회 전도사 또 체포‥"전광훈 소환조사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2.04
47015 이진우 “계엄 적법했다고 생각”…‘체포 지시 받았나’ 질문엔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04
47014 가수 영탁 '음원 사재기' 기획사 대표 법정구속... "유통 질서 침해" 랭크뉴스 2025.02.04
47013 [속보] 여인형 '정치인 체포' 증언 거부…"반대되는 진술 많다" 랭크뉴스 2025.02.04
47012 이재명만 빼고 '개헌' 앞으로... 여권도, 비명계도 "대통령 권력 손보자" 랭크뉴스 2025.02.04
» »»»»» "尹에 수차례 계엄 반대 직언했다"…억울함 호소한 '계엄 장군' 랭크뉴스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