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통계청이 ‘6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 2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사람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통계청은 빌표에서 가공식품 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4.6% 올랐다고 발표했다. 2025.7.2 이준헌 기자


이재명 정부에서 처음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 지원금이 비수도권에서 3만원, 인구 감소지역에서 5만원 더 받게 된다. 정부는 이달 내 1차로 소비 지원금을 지급하고, 9월까지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이들에게 나머지 금액을 지급할 예정이다.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의 규모는 정부안(30조5000억원)보다 1조3000억원 늘어난 31조8000억원으로 확정됐다. 정부안 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 등에서 2조4000억원이 늘고, 집행 상황 재점검을 통해 1조1000억원 줄었다.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항목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다. 비수도권과 인구 감소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주민에게 정부안보다 3만원 추가 지급하기로 했다.

이로써 비수도권 지역의 민생회복 소비지원금은 소득에 따라 15만~50만원에서 18만~53만원을 받는다. 당초 정부안에서도 2만원 추가 지급을 받는 인구 감소지역은 이날 최종안에서 3만원까지 더해 17만~52만원에서 20만~55만원으로 상향됐다.

수도권 지역의 민생회복 소비 지원금은 정부안대로 15만~50만원으로 확정됐다. 애초 정부안은 인구 감소지역을 제외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차이는 없었다. 수도권 거주자보다 비수도권과 인구 감소지역 거주자들이 상대적으로 소비 여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위의 표는 수도권 지역 거주에게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지원금으로, 4일 국회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안에서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소멸지역 거주자에게 3만원씩 추가 지급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로써 인구소멸지역에선 당초 2만원 추가지급에 3만원까지 더해 20만~55만원까지 받게 된다.


지자체 여건 등을 고려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국비 보조율도 최대 90%까지 상향된다. 서울은 70%에서 75%로, 그 외 지자체는 80%에서 90%로 오른다.

인공지능(AI), 기후 대응 등 신산업 분야 지원도 확대됐다. 피지컬 AI 선도모델 설계·실증사업(426억원)과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 조기 구축을 위한 고전압 송전기술(60억원), 고효율 차세대 태양 전지(10억원) 등 신산업 분야 기술 개발 예산이 확대됐다.

발달 장애인 돌봄 서비스(249억원), 0~2세 및 장애 영유아 보육료 지원금액 5% 상향(1131억원) 등 민생 분야 예산도 늘었다. 국산 콩 수급 안정화를 위한 비축물량 확대(1021억원),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한 정책자금(3000억원) 예산도 증가했다.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감액된 사업 예산은 1조1000억원이다. 연내 집행 가능성, 국제 정세 등 여건 변화를 고려해 사업이 축소됐다고 기획재정부는 설명했다.

정부안보다 늘어난 2조4000억원은 집행 상황 재점검을 통한 지출감액(1조1000억원)과 추가 국채 발행(1조3000억원)을 통해 조달할 예정이다. 이번 증액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49.0%에서 49.1%로 상승한다.

정부는 5일 오전 국무회의를 열고, 제2회 추경 국회 증액에 대한 동의와 배정계획안을 상정·의결할 계획이다. 정부는 국회에서 확정된 예산은 연내 집행할 예정이다. 민생회복 소비지원금은 전 국민에게 7월 내 1차로 선지급하고, 관계부처 TF 준비 등을 거쳐 2개월 내 90% 국민에게 10만원 추가 지급할 계획이다.

지역사랑 상품권은 8월 중 지자체 수요조사 후 9월 발행분부터 국비 보조율과 할인율을 높이기로 했다. 고효율 가전기기 구매 환급도 8월 초 신청 접수 후 8월 말부터 지급하기로 했다.

취약차주 채무조정은 캠코에서 9월까지 채무조정기구 설립 후 연내 장기 연체 채권 매입을 추진한다. 새출발기금은 시스템 구축 등을 거쳐 9월 중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468 소비쿠폰 증액, 최대 55만원까지 준다…이달 안에 지급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7.04
» »»»»» [속보]민생회복 소비쿠폰,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 3만원씩 늘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66 "축의금 없다고 뒷담? VS 어색해도 내야"…친구 누나 결혼식, 당신의 선택은?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65 [속보]전국민 15만~55만원 지급···추경안 국회 본회의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64 [속보] ‘31.8조’ 추경안 통과…소비쿠폰 1인당 15만~55만원 지급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63 [속보] 李정부 첫 추경안 국회 본회의 상정…31.8조 규모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62 [속보] ’31.8조' 이재명 정부 첫 추경안 본회의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61 [속보] 국회, 31조 8000억원 추경안 의결…전국민에 15~55만원 지급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60 SKT, 5년간 정보보호에 7000억원 투자···매출 전망은 8000억원 낮춰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9 ‘결합상품’은 위약금 면제 안 돼…“SK텔레콤 대책 실효성 있나”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8 SKT, ‘서버 초기화’ 제출 논란에 “고의 아니지만 명백히 잘못”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7 "4년 전 골든타임 놓쳤다" 정부 책임 묻자, SKT "위약금 다 면제" [팩플]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6 추경안 통과 직전 급제동 걸린 국회…‘특활비’가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5 트럼프-푸틴 통화 몇시간 후 러, 우크라에 사상 최대 공습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4 김건희 특검, 원희룡 출국금지…양평고속도로 의혹도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3 "굼뜨다고 총격, 굶주린 주민을 좀비라 불러"… 가자 구호단체 폭로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2 "러브버그, 이제 더 이상 안되겠다"…익충 가스라이팅은 끝, 방제 작업 나섰다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1 '2주간 지진 1200번' 일본 섬 주민 피난… 심상찮은 '7월 대지진설'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50 이재명 정부, 대규모 특사단 구성 착수…7월 중 14개국 파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449 尹 2차 소환 앞둔 내란 특검 "외환 수사도 상당 부분 진행" new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