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분담금 문제로 냉랭했던 분위기 변화

한국형 차세대 전투기 KF-21 사업의 공동 개발국인 인도네시아 국방부 관계자가 한국을 찾아 IF-X(KF-21의 인도네시아 명칭) 사업을 논의한 것으로 4일 파악됐다. 인도네시아 국방부 관계자들이 한국을 찾은 건 분담금 미납 문제가 불거진 2018년 이후 6년 만이다. 인도네시아 연구진의 기술 유출과 개발 분담금 감소 논란으로 결별 가능성도 언급됐지만, 사업 논의가 재개되면서 분위기가 바뀐 모습이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국방부 기술협력국장 등 IF-X 사업 담당 부서 관계자들은 2일부터 이틀간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에서 방사청 KF-21 사업단장과 KAI 관계자를 만나 사업관리 검토회의(PMR)를 진행했다. PMR은 공동 개발 과정에서 실무자들끼리 하는 정례회의 절차다. 인도네시아와 방사청은 IF-X 양산 추진 방안과 분담금 납부 일정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행 중인 KF-21 복좌형 4호기. /KAI 제공

이번 만남은 지난달 13일 석종건 방사청장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방산전시회 인도 디펜스를 찾아 인도네시아 측과 KF-21 공동개발 기본합의서 개정안에 서명한 뒤 후속 조치로 이뤄졌다. 이 합의서에는 인도네시아 측 분담금 납부와 양국의 협력 범위가 명시돼 있다. KAI는 내년까지 후속 협의의 결론에 이르길 원하고 있다.

양국은 지난 2015년 차세대 전투기를 개발하는 KF-X(현 KF-21) 사업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2028년까지 인도네시아는 전체 사업비(8조8000억원)의 20%인 1조7338억원을 투자하고 시제기 1대와 기술을 이전받은 뒤 48대를 현지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2016년 하반기부터 인도네시아의 기술자 파견이 시작됐다. KAI가 개발을 주도하고 인도네시아 기술진들이 제한적으로 참여하는 형태였다.

작년 1월 KAI에 파견 나온 인도네시아 기술진이 내부 자료 유출을 시도하다 적발된 뒤 현재는 KAI만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KF-21은 시험 비행 단계이며 양산을 앞둔 상태다. KF-21의 인도네시아 수출 사업이 IF-X 사업이다. 인도네시아가 원하는 성능을 내도록 KF-21을 개량하는 게 골자다. KF-21의 시험 비행 등이 끝나 전력화가 되면 KAI와 인도네시아 측은 개량 작업을 시작할 전망이다.

인도네시아의 이번 방한은 KF-21 공동 개발 의지를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네시아와의 공동 사업은 분담금 등 문제로 중단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가 튀르키예 전투기 칸(KAAN)을 48대 구매하기로 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업계에서는 공동 개발을 포기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있었다. 업계 관계자는 “인도네시아의 이번 방한은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인도네시아가 튀르키예 전투기 구매를 확정하진 않은 것으로 본다. 칸 전투기의 개발 속도는 KF-21의 개발 속도보다 늦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인도네시아는 지난 2023년 프랑스의 라팔 해상 전투기 구매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지만 구매까지 이어지지 않았다.

인도네시아 공군 조종사는 지난달 27일 경남 사천 비행장에서 KF-21 시제기 조종석에 탑승하기도 했다. 인도네시아 관계자들이 탑승한 KF-21 시제기는 오전 9시 45분쯤 이륙해 고도 약 2만 피트(약 6096m)까지 오르며 약 1시간 비행했다. 인도네시아 조종사가 전방석에 앉아 비행한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94 미래 인류, 화성 이주했다 벼락 맞을라 랭크뉴스 2025.07.07
52293 美 재무장관 “협상 불발 국가, 상호관세 첫 부과 당시 세율 적용… 8월부터” 랭크뉴스 2025.07.07
52292 [Today’s PICK] 7월에 최다로 뛴 코스피…올해 ‘서머랠리’도 주목 랭크뉴스 2025.07.07
52291 "유튜브 2배속, 기억력 망친다?"…Z세대 속도 중독에 뇌 '적신호' 랭크뉴스 2025.07.07
52290 카트 끌고 약 쇼핑에 오픈런까지‥약사들은 반발 왜? 랭크뉴스 2025.07.07
52289 소비쿠폰, 쿠팡 안되고 치킨집에선 가능…지급 수단은 택1 랭크뉴스 2025.07.07
52288 러, 우크라 공습 지속…도네츠크 등지서 5명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287 [사설] 통상본부장 이어 안보실장 급파, 가시적 성과 거둬야 랭크뉴스 2025.07.07
52286 SKT 해킹 사고 보상안에 고객들 ‘유지냐 해지냐’ 셈법 분주 랭크뉴스 2025.07.07
52285 버티고 버티다 결국…작년 폐업자 첫 100만명, 그중 절반 소매·음식점 랭크뉴스 2025.07.07
52284 ‘안전한’ 돈다발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07
52283 독단 리더십 비판 목소리 커져… 여권서도 “이진숙, 부담스럽다” 랭크뉴스 2025.07.07
52282 푸틴 "서방, 반러시아 정책 추구하느라 내부 문제 악화" 랭크뉴스 2025.07.07
52281 위성락, 마코 루비오 등 면담… 관세 유예 시한 연장 ‘방점’ 랭크뉴스 2025.07.07
52280 방미 통상본부장 “실리 최대화…관세, 산업·기술 협력 묶어서 협상” 랭크뉴스 2025.07.07
52279 [단독] "소비쿠폰, 식자재마트 허용을"…당정, 지방선 사용처 확대 검토 랭크뉴스 2025.07.07
52278 尹 구속영장 청구에 정청래 “즉시 감옥” 박찬대 “사필귀정” 랭크뉴스 2025.07.07
52277 미 재무 "8월 1일부터 협상 불발 국가엔 4월 발표했던 상호관세율 적용" 랭크뉴스 2025.07.07
52276 최측근에서 최대 정적으로…감세 반발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 랭크뉴스 2025.07.07
52275 한스텝 빠른 조은석 스타일… 내란특검, ‘n차 소환’ 대신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