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 빅데이터 활용 예측모델 개발
흩어진 생산량·소비량 정보 통합
기후변화 영향 빠른 대응 기대
정확한 통계로 '日 쌀값 사태' 방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충북 청주시의 한 벼 베기 수확 현장을 찾아 벼 작황 점검을 하고 있다.

[서울경제]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쌀 생산량 및 소비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한다.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쌀 수급 데이터를 한곳에 모으고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해 예측 정확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1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예측 모델의 단점을 보완해 쌀에 최적화된 머신러닝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연구 작업에 착수했다.

쌀 수급 정보는 정부가 매년 쌀 수확기에 맞춰 발표하는 ‘수확기 쌀 수급 안정 대책’의 기초자료다. 당해년도 쌀 예상 생산량이 소비량보다 많을 경우 정부는 초과생산량을 매입하는 시장격리 대책을 추진한다. 쌀 초과생산에 따른 쌀값 급락을 막기 위한 조치다. 예측이 제대로 이뤄지면 재정 낭비도 줄어든다.

가령 정부는 지난해 9월 수확기 대책에서 쌀 20만 톤을 시장격리 조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쌀 생산량이 수요량보다 12만 8000톤 더 많을 것이라는 예측에 따른 조치였다. 하지만 이 같은 조치에도 지난해 수확기 산지 쌀값은 한 가마니(80㎏)당 18만 4700원으로 20만 원을 넘기지 못했다. 가격만 놓고 보면 정확한 예측에 실패한 셈이다.

인간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상기후에 따른 변화도 AI 모델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는 수확기 대책을 발표한 이후 벼멸구와 호우 피해가 발생했다. 이례적인 고온 현상이 이어지면서 전남·전북·경남 등 전국에서 3만 4000㏊에 달하는 면적이 벼멸구 피해를 입었다. 이는 최근 5년 내 가장 큰 규모였다. 고온 현상이 지속되면 쌀이 예측보다 덜 영글어 수확량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9월에 이어진 집중호우로 침수된 벼에서 싹이 트는 ‘수발아’ 피해도 발생했다. 결국 정부는 벼멸구 피해 벼를 매입하겠다는 추가 대책을 밝히기도 했다.

무엇보다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쌀 수급 관련 정보를 통합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쌀 공급 관련 정보는 통계청·농촌진흥청·한국무역협회가, 수요 정보는 통계청·농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관리하고 있다. 정부 재고 정보는 농식품부가 관리하지만 민간 재고는 농협중앙회·한국미곡종합처리장(RPC)협회·전국RPC협회·대한곡물협회 등에 산재해 있다. 이 때문에 쌀 생산량·소비량 정보가 기관별로 다르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확기 대책을 수립하는 정부 입장에서는 곳곳에 퍼진 정보를 한곳에 모아볼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수급 예측의 정확성이 높아지면 일본과 같은 쌀값 폭등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 최근 일본은 쌀값이 1년 새 2배 가까이 올랐다. 쌀값 폭등의 원인으로는 2023년의 극심한 폭염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 쌀 소비 증가 등이 언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가 갖고 있는 쌀 통계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점도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지난해 주식용 쌀 생산량이 전년 대비 18만 톤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쌀 도매업자들은 자신들이 사들인 쌀의 양이 전년 대비 21만 톤 부족했다고 밝히고 있다. 일본 정부도 공급량과 수요량이 다른 이유를 파악하지 못하면서 ‘쌀 부족 미스터리’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일본의 쌀 부족 문제는 통계부터가 불확실하다는 문제가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통계부터 정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564 매매 63%가 '신고가' 찍었다는 이 동네…강남 아니었다[집슐랭] 랭크뉴스 2025.05.12
51563 [단독]한화오션·기품원 ‘부실 합작품’…3조원 신형 호위함 사업 8척 전체 ‘중대 결함’[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12
51562 ‘내란 혐의’ 3차 재판 尹, 포토라인에서 입장 밝힐까 랭크뉴스 2025.05.12
51561 5월 1~10일 대미 수출, 전년 동기 比 30.4% 감소… 트럼프 관세 영향 뚜렷 랭크뉴스 2025.05.12
51560 [2보] 법원, 이재명 '위증교사' 2심 재판도 연기…추후 지정 랭크뉴스 2025.05.12
51559 '10만 원 기부행위' 김혜경 선거법 위반 항소심 판결 오늘 나온다 랭크뉴스 2025.05.12
51558 김문수, 가락시장 순댓국 먹으며 선거돌입…"장사 되게 하겠다" 랭크뉴스 2025.05.12
51557 [속보] 이재명, 위증교사 항소심 공판도 대선 이후로 랭크뉴스 2025.05.12
51556 [속보] 법원, 이재명 ‘위증교사’ 항소심 재판도 연기 랭크뉴스 2025.05.12
51555 싫다는 여성에게 하루 92번 연락하고 집 찾아간 60대 벌금형 랭크뉴스 2025.05.12
51554 [속보] 서울고법, 이재명 ‘위증교사 사건’ 항소심 연기 랭크뉴스 2025.05.12
51553 이준석 "내가 보수 적장자"…국민의힘 집안싸움 파고드는 까닭 랭크뉴스 2025.05.12
51552 [속보] 법원,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도 연기…추후 지정 랭크뉴스 2025.05.12
51551 트럼프 “약값 최대 80% 낮춘다” 행정명령 예고 랭크뉴스 2025.05.12
51550 [속보]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도 기일 변경…대선 전 공판 없다 랭크뉴스 2025.05.12
51549 정은경 "내란종식 위해 선대위 참여…정권교체되면 대학 복귀" 랭크뉴스 2025.05.12
51548 이진우 대한의학회 회장 “전공의 300여명 복귀 희망 확인···투쟁을 위한 투쟁 멈춰야” 랭크뉴스 2025.05.12
51547 [단독] ‘이재명을 지켜라’…민주, 출정식에 저격 막는 풍선까지 띄워 랭크뉴스 2025.05.12
51546 대선 레이스 첫날 밝았다... 이재명 광화문·김문수 가락시장·이준석 여수 출정식 랭크뉴스 2025.05.12
51545 "얼리어답터 의사·환자가 만난 리프팅 산업…수출 효자로" 랭크뉴스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