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소련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전승절) 80주년을 맞아 9일 오전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해 축하 연설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군 러시아 파병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우크라이나를 방치하면 서울의 군대도 무모한 용감성을 키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미에 대한 적개심 고취로 내부 결속을 도모하는 동시에 대외적으로 러시아 파병이 자신들의 안보와 직결된 사안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김정은 "참전은 주권 영역"
노동신문은 10일 김정은이 전날(9일)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종전 80주년(전승절)을 기념해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을 찾아 연설한 내용을 보도했다. 김정은이 주북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정은은 이 자리에서 러시아 파병을 거론하며 “우리의 참전은 정당한 것이었으며 이는 우리의 주권적 권리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괴뢰들이 핵 대국의 영토에 대한 군사적 행동을 노골화하는 것을 그대로 방치해둔다면 그들은 필경 더욱 분별없이 겁 없는 행동에 용감해질 것”이라면서 “그러면 미국의 특등앞잡이인 서울의 군대도 무모한 용감성을 따라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9일 러시아 전승절 80주년을 맞아 주북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국무위원회,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내각이 러시아 지도부와 국민에게 보내는 '공동축하문'을 특명전권대사에게 직접 전달했다고 조선중앙TV가 1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TV 캡처, 연합뉴스
김정은의 이날 발언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자신들의 안보와 직접 연동된다는 점을 부각해 참전의 정당성을 대내외에 강조하기 위한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4000명가량의 북한군 사상자가 발생한 상황에서 주민들의 반발심을 최소화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을 '비(非)핵국가 대 핵국가'의 대결로 규정해 남북의 상황을 투영하려 했다는 얘기다. 상황에 따라 자신들도 핵 국가인 러시아처럼 비핵국인 남측을 자체 판단에 따라 언제든지 공격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김정은은 자신들의 러시아 파병이 북·러 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북·러 신 조약)’에 따른 의무 이행이란 점도 재차 강조했다. “또다시 공격을 감행한다면 나는 기꺼이 조로(북·러) 조약의 제반 조항과 정신에 따라 적들의 무력 침공을 격퇴하기 위한 공화국의 무력 사용을 주저 없이 명령할 것”이라며 “이것을 나는 형제로서, 전우로서 우리가 해야 할 신성한 사명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다.



북·러 ‘모든 방면’ 강조…반대급부 채근?
지난해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 사이의 포괄적인 전락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조인하고 있는 모습. 뉴스1
북한군 러시아 파병이 국제법에 부합하는 행위란 점을 강조하는 한편 러시아 측을 향해 반대급부 이행을 압박하려는 의도까지 담겨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조약상 의무는 상호적이고, 이에 따라 북한이 원하는 군사·경제적인 대가를 이전해야 할 의무가 러시아에도 있다는 점을 강조한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김정은이 두 나라 관계가 “모든 방면에서 자기의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완벽히 발휘하리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한 대목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김정은은 연설에서 이번 파병이 북·러 신조약에 따른 자신의 자발적 결정이었다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며 "이는 향후 유사 상황에서 러시아의 자발적 개입을 요구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짚었다.

김정은은 이번 연설에서 “영원불멸할 조로(북·러)친선”, “달리 될 수 없는 자기 운명” 등 북·러 관계의 성격과 미래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했다. ‘동맹’이란 표현을 7차례, ‘형제’는 9차례, ‘혈맹’ 또는 ‘피로써’란 표현도 수차례 사용했다. 푸틴을 향해선 “친근한 나의 벗이자 존경하는 동지”라면서 “특출한 선견지명”을 갖췄다고 치켜세우기도 했다.

9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전승절 열병식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영복 총참모부 부총참모장(군 상장)을 끌어안는 모습. 크렘린 텔레그램 캡처
노동신문은 이날 김정은의 러시아 대사관 방문과 축하연설 등 전승절 관련 보도를 1~2면에 걸쳐 대대적으로 전했다. 그만큼 북한이 러시아와의 달라진 관계를 부각하고 싶어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러시아의 지속적인 전승절 참석 요청에도 불구하고 북한 최고위급 인사의 모스크바 방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이런 상황에서 김정은이 직접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해 러시아의 체면을 세워주고 양국 밀착의 계기를 대내외에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9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진행된 전승절 열병식 행사에는 북한군 대표단 5명과 신홍철 주러 북한 대사가 참석했다. 김영복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상장), 이창호 정찰총국장(상장), 신금철 인민군 소장 등이 푸틴 앞에서 차례로 관등성명을 대며 악수나 포옹을 하며 인사를 나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71 "96점 받았는데 떨어졌습니다"…'역대급 합격선' 9급 공무원 직렬은? 랭크뉴스 2025.05.11
46470 "10만 원 넣으면 10만 원 얹어준다"…목돈 마련할 수 있는 기회 '대박' 랭크뉴스 2025.05.11
46469 "제가 동생을 죽였어요"…알고보니 계모짓? 학대받는 '어린 의뢰인' 안 나오려면 [김수호의 리캐스트] 랭크뉴스 2025.05.11
46468 선거운동 개시 앞두고 전열 정비 나선 국민의힘... 후보교체 여진은 ‘아직’(종합) 랭크뉴스 2025.05.11
46467 석탄 제친 원자력작년 발전원 ‘1위’… 18년 만에, 생산 전력 ⅓ 차지 랭크뉴스 2025.05.11
46466 국힘, 후보교체 후폭풍…비주류 반발 속 통합 앞세워 봉합 시도(종합) 랭크뉴스 2025.05.11
46465 다시 의총 나온 김문수, ‘큰절 사과’ 하자 ‘기립 박수’…권성동 한 말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5.11
46464 이재명, 비명계 박용진 앞세워 국민화합위 출범…당내 통합 과시 랭크뉴스 2025.05.11
46463 국민의힘 자중지란에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도 해볼 만" 랭크뉴스 2025.05.11
46462 김문수, 권성동 교체설 일축..."원내대표 역할 다해달라" 랭크뉴스 2025.05.11
46461 "방황끝, 나혼자 농사 짓는다"…김대호 농사일지 '흙심인대호' 랭크뉴스 2025.05.11
46460 美·中 무역 협상, ‘10시간 마라톤’ 회담 후 이틀째 일정 시작 랭크뉴스 2025.05.11
46459 스페인, 죽음의 ‘염소 가스’ 콸콸…16만 명 꼼짝없이 당했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1
46458 한덕수 일정에 '국힘후보 촬영'…김문수, 이때부터 '이 인물' 의심 [대선 비하인드] 랭크뉴스 2025.05.11
46457 金, 권성동 원내대표 체제 유지… “대선 국면서 재선출 부적절” (종합) 랭크뉴스 2025.05.11
46456 [단독]3중고 롯데칠성…올 설비투자 25% 줄인다 랭크뉴스 2025.05.11
46455 진해 해상서 해군함정 경유 1만 리터 유출 랭크뉴스 2025.05.11
46454 “대선 국면서 부적절”…김문수, ‘권성동 교체 요구’ 일축 랭크뉴스 2025.05.11
46453 압수한 대마 20t 한꺼번에 태우다가…주민 2만명 집단환각 발칵 랭크뉴스 2025.05.11
46452 '특혜 의혹' 화순군수 외가 문중 땅에 조성한 꽃단지 가보니 랭크뉴스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