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명인제약, 76세 창업주 이행명 대표와 두 자녀가 지분 95% 보유
인기있는 업종 아냐... 상장하면 비상장 때보다 기업가치 떨어질 가능성

이행명 명인제약 대표이사(왼쪽). /조선비즈DB

이 기사는 2025년 5월 8일 14시 22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잇몸 질환 치료제 ‘이가탄’으로 유명한 명인제약이 설립 약 40년 만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에 도전한다. 명인제약의 곳간은 넉넉하다. 자금 조달이 상장 목적은 아닌 것이다. 회사 측은 신인도 확보가 목적이라 했지만, 시장 참여자 사이에선 승계와 무관치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보수적인 몸값을 적용해 기업공개(IPO)해 승계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의도일 것이라는 예상이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중견 제약회사 명인제약은 오는 3분기 코스피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관사는 KB증권으로, 지난달 30일 한국거래소에 코스피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접수했다. 1998년 11월 설립된 명인제약은 창업주인 이행명 대표가 지분 66.32%를 가진 최대 주주다. 지난해 매출 2696억원, 영업이익 901억원을 거뒀다. 명인제약은 2020년부터 매년 6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내는 ‘알짜’ 기업으로 통한다.

명인제약의 상장 도전은 이번이 3번째다. 앞서 2번은 스스로 중도 하차했다. 2019년 NH투자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하반기 내 상장을 추진했다가 IPO를 통해 확보할 자금을 어떻게 활용할지 구체적인 사업 계획이 갖춰지지 않았다면서 상장 계획을 철회했다. 2008년에도 IPO를 진행했다가 곧바로 취소한 바 있다.

명인제약은 굳이 자본시장 문을 두드리지 않아도 될 만큼 자금 여력이 충분하다. 지난해 말 현금성자산(단기투자자산 포함)은 2543억원에 달한다. 1년 전보다 40% 증가한 수치다.

시장에서는 이번 IPO 목적이 승계 문제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명인제약은 1949년생인 이 회장과 두 딸 이선영·이자영씨를 포함한 특수관계인이 지분 95.3%(1067만6000주)를 보유하고 있는 사실상 가족 회사다.

상장사든 비상장사든 상속증여세율은 최대 60%(최대 주주 할증과세 적용)로 같다. 그런데도 상장 목적이 승계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는 명인제약을 비롯한 제약사들이 증시에서 비인기 업종이기 때문이다.

IPO를 통해 자산가치보다 낮은 시가총액을 형성하게 되면, 가격 괴리를 활용해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다. 또 상장주식은 장내에서 바로 유동화가 가능하다. 주식 담보 대출과 회사 배당 등을 활용해 증여세를 납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같은 점 때문에 증권가에서는 명인제약이 IPO 과정에서 기업가치 눈높이를 낮출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가장 최근 확인된 명인제약의 기업가치는 이 회장이 지난해 6월 재단법인 명인다문화재단을 출범할 당시 적용한 주당 평가액 5만원이다. 평가액 5만원을 기준으로 한 시가총액은 약 5600억원인데, 시가총액이 이보다 낮게 형성되면 상장을 통해 승계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제로 명인제약은 피어 그룹(비교 그룹)에 비슷한 사업 구조를 가진 환인제약을 넣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환인제약은 지난해 말 기준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5배에 불과하다. 전날 기준 시가총액이 2174억원에 그치는 만큼 환인제약 편입시 명인제약 공모가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승계와 관련해 일감 몰아주기 논란이 있었다는 점은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요인이다. 명인제약은 과거 이 회장의 두 딸이 100% 소유하고 있는 광고대행사 메디커뮤니케이션에 매출액의 20%에 달하는 광고비를 지급했었다. 현재는 명인제약의 100% 자회사 명애드컴이 광고를 맡고 있다. 명인제약은 2016년 메디커뮤니케이션이 서울 서초구 사옥을 매입할 때도 보증의 방식으로 자금 조달을 도와 국세청이 세무조사를 벌인 바 있다. 메디커뮤니케이션은 현재는 광고는 수주하지 못하지만 임대 사업 덕에 매년 60억원대의 매출을 거두고 있다.

명인제약 관계자는 “승계 이슈는 (오너가 일이다 보니)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다”면서 “비상장 상태로 있으니 인지도가 낮다. 이번 상장은 대외 공신력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08 페루 빈민가에서 20년 사목... 첫 미국 출신 교황 '레오14세' 랭크뉴스 2025.05.09
50107 민주 "대통령 되면 재판중지, 무죄면 진행"…법이 누더기 됐다 랭크뉴스 2025.05.09
50106 英총리 “美와 역사적 합의…관세 인하 곧 적용될 것” 랭크뉴스 2025.05.09
50105 이재명 자사주 소각 의무화 공약에 ‘신고가’ 종목 등장 랭크뉴스 2025.05.09
50104 새 교황에 첫 美 출신 ‘레오 14세’… “모든 이에게 평화” 랭크뉴스 2025.05.09
50103 미·영 첫 합의‥'차 관세 인하·시장 개방' 랭크뉴스 2025.05.09
50102 새교황에 '첫 미국 출신' 프레보스트 추기경…교황명 레오 14세(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09
50101 각국 정상 "어려운 시기에 희망"…새 교황 선출에 축하 메시지 랭크뉴스 2025.05.09
50100 이틀 만에 ‘흰 연기’···첫 미국 출신 교황 레오 14세 “평화가 함께 있기를” 랭크뉴스 2025.05.09
50099 트럼프, 3연속 ‘금리 동결’ 연준 의장 비판…“벽에 대고 말하는 듯” 랭크뉴스 2025.05.09
50098 최상목 사퇴로 존재감 작아진 F4… 앞으로 운명은 랭크뉴스 2025.05.09
50097 첫 미국인 교황 레오 14세…“평화의 다리 놓겠다” 랭크뉴스 2025.05.09
50096 새 교황에 '레오 14세'‥"모두에게 평화를" 랭크뉴스 2025.05.09
50095 “상급지 이동·현금화 수요 맞물렸나”…20년 넘게 보유한 강남 아파트 매도 ‘껑충’ 랭크뉴스 2025.05.09
50094 "청년들 산다고 차별하나"…산꼭대기 임대주택 가보셨나요 랭크뉴스 2025.05.09
50093 [비즈톡톡] SK텔레콤 해킹 사태 불똥 튄 SK쉴더스?… 홍원표 ‘조용한 퇴장’ 배경은 랭크뉴스 2025.05.09
» »»»»» 업력 40년의 ‘이가탄’ 제약사, 왜 이제서야 상장을?... 승계 목적 가능성 랭크뉴스 2025.05.09
50091 이재명, '험지' 경북 돌며 1박2일 '경청 투어' 랭크뉴스 2025.05.09
50090 "나만 빼고 다 여행 갔나보네"…황금연휴 인천공항 이용객 4명 중 1명은 '일본행' 랭크뉴스 2025.05.09
50089 사업 망해 밀가루 부쳐 먹다 요리에 빠졌다... 하루 4명만 먹는 '만두 오마카세'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