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반(反)이재명 빅텐트’는 고사하고 자칫 ‘헤쳐모여’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국민의힘 안팎에서 커지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후보 간 단일화 협상이 악화일로로 치닫자 협상 결렬을 전제로 ‘플랜 B’를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서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강변서재 야외에서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고 있다. 뉴스1

8일 복수의 국민의힘 관계자에 따르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국회의원 20명이 탈당해 신당을 만들고, 한덕수 전 총리를 대선 후보로 내세우자”고 제안했다. 이는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까지 단일화가 불발될 경우를 대비한 일종의 ‘비상 플랜’이다. 당내 대표적 한 후보 추대론자인 윤 의원은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선 김문수 캠프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윤 의원이 제시한 ‘의원 20명’은 국회 원내 교섭단체 구성의 최소 기준이다. 만일 20명 이상이 탈당해 신당을 창당할 경우 13일 지급되는 대통령선거 국고보조금을 배분받을 자격이 주어진다. 무소속 신분을 벗어난 한 후보가 투표용지 인쇄 시작 전날인 24일까지 버틸 보급로가 트이는 셈이다. 김 후보와의 단일화를 시도할 수 있는 시간도 그만큼 벌 수 있다. 윤 의원은 통화에서 “11일까지 단일화 완료를 골몰하는 건 결국 선거 비용 때문”이라며 “그렇게 한덕수를 모시려고 하면 20명 이상 탈당해서 돈 문제를 해결한 뒤 각자 파이를 키워 25일 이전에 단일화를 완료하는 게 어떠냐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신당 창당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한 후보가 기존의 제3지대 정당인 ‘새로운미래’ 등에 수십명의 의원과 동반 입당하는 시나리오도 아이디어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다. 다만 한 후보가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11일까지 단일화가 안 되면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배수진을 친 상태라 아직까진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이 많다.

지난해 4월 9일 당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경기 화성시 동탄롯데백화점 인근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마지막 유세를 하고 있다. 뉴스1

이 때문에 당 일각에선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범보수 진영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협상 결렬로 한 후보가 대선 출마를 중도 포기할 경우 김 후보의 ‘단일화 버티기’에 실망한 보수층 일부가 이 후보 지지로 옮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주목하는 시나리오는 지난해 4월 총선에서 이 후보가 성공시킨 이른바 ‘동탄 모델’이다. 이 후보는 당시 경기 화성을에서 민주당 공영운, 국민의힘 한정민 후보와 3자 대결을 벌여 역전승했다. 선거 초반 열세였지만, 젊은 층과 중도층이 많은 스윙보터 지역 특성을 활용해 막판 뒤집기에 성공했다.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의 단일화가 무산된다면 이번 대선 역시 ‘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의 3자 구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일각에선 동탄 모델의 전국 확대 가능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영남 중진 의원은 “중도·무당층이 전체 유권자의 30%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 후보가 수도권의 반이재명 유권자와 20·30 표심을 끌어올 경우 범보수 진영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전통 보수 지지층의 부정적 정서는 이 후보가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에선 단일화를 둘러싼 갈등이 회복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러 단일화 협상이 최종 결렬되면 최악의 경우 당 지도부가 김 후보의 공천장에 도장을 찍어주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도 나돈다. 현재로선 실현 가능성이 작지만, 그럴 경우 대선은 ‘민주당 이재명-개혁신당 이준석’ 양자 대결로 압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88 원금에 24% 이자 '비과세'로 얹어주는 이 상품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5.09
» »»»»» 20명 탈당해 한덕수와 신당? 총선 뒤집은 이준석 동탄모델? [국힘 플랜B] 랭크뉴스 2025.05.09
50086 美, 英과 첫 무역 합의…車관세 10%로 인하[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5.09
50085 [속보] 트럼프, 러-우크라에 30일 휴전 요구…“안하면 추가 제재” 랭크뉴스 2025.05.09
50084 이민자·빈민 품어온 첫 미국 출신 교황…'레오 14세' 그는 누구 랭크뉴스 2025.05.09
50083 미국, 영국과 첫 무역 합의…기본 관세 10%는 그대로 랭크뉴스 2025.05.09
50082 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개정되면 '제2의 허경영' 처벌 못한다 랭크뉴스 2025.05.09
50081 “어려운 시기에 희망”…각국 정상, 새 교황 선출에 축하 메시지 랭크뉴스 2025.05.09
50080 ‘11일 vs 16일’ 좁히기 힘든 간극… 파국 치닫는 ‘金·韓 단일화’ 랭크뉴스 2025.05.09
50079 [속보] 트럼프, 러-우크라에 30일 휴전 요구…“안하면 더 큰 제재” 랭크뉴스 2025.05.09
50078 尹 "자승스님, 좌파나 간첩에 타살"…그날밤 군 소집했다 [尹의 1060일] 랭크뉴스 2025.05.09
50077 [교황 선출 르포] "파파! 레오네!…새 교황 등장에 바티칸 열광(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076 하이닉스 공장 짓기 천국과 지옥…美 허가에 7시간, 韓 6년째 딴죽 [기업하기 힘든 한국] 랭크뉴스 2025.05.09
50075 트럼프, 감세 위해 부자 증세 추진…‘250만 달러 이상 세금 39.6%로’ 랭크뉴스 2025.05.09
50074 새교황에 '첫 미국 출신' 프레보스트 추기경…교황명 레오 14세(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073 트럼프, 美출신 새 교황 선출되자 "나라에 큰 영광, 만나길 고대" 랭크뉴스 2025.05.09
50072 첫 美 출신 교황 어떻게 가능했나… 페루 빈민가서 사목한 중도파 랭크뉴스 2025.05.09
50071 [교황 선출] 통념 깨고 미국인 추기경 선택…연이은 아메리카 대륙 출신 랭크뉴스 2025.05.09
50070 이재명, 다자대결도 50%…尹에 졌던 PK·충청도 우세[대선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09
50069 이민자 포용한 첫 미국인 교황…'페루의 프란치스코' 레오 14세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