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개만 숙였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유심 해킹 사건 청문회에서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과방위서 재차 면제 촉구하자

한 달 최대 500만명 이탈 가정

3년 손실 예상액 내밀며 난색


‘유심 인증키 미암호화’ 드러나


SK텔레콤 유영상 대표가 8일 이번 해킹 사고로 인해 이탈 가입자에게 위약금을 면제해줄 경우 3년간 최대 7조원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추산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들은 “SK텔레콤이 기업 손실만 강조할 게 아니라, 가입자 신뢰 회복을 위해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유 대표는 이날 과방위 SK텔레콤 해킹 관련 청문회에서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위약금 규모에 대한 질의에 “해킹 사태 이후 25만명 정도가 이탈했고 곧 지금의 10배인 250만명이 이탈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1인당 해약 위약금이 최소 10만원은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단순 계산하면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하려는 가입자들의 위약금 규모는 약 2500억원으로 추산된다.

유 대표는 이어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의 관련 질의 때는 메모를 참고해 “한 달 기준 최대 500만명까지 이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럴 경우 위약금과 매출까지 고려하면 3년간 7조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난달 18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고 이후 가입자들이 2위 KT 등 다른 통신사로 빠져나가면서 가입자 2300만여명을 보유한 업계 1위 SK텔레콤의 시장 점유율 40% 선이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위약금 면제라는 ‘번호이동의 허들’이 사라졌을 때 대규모 고객 이탈로 인한 매출 손실을 더욱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 대표는 “법적 부분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생태계, SK텔레콤의 여러 손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권 해석을 참조하고 이사회·신뢰회복위원회와 상의해 위약금 면제 여부를 결정하겠지만, 파장이 큰 부분이어서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고 ‘검토가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과기정통부는 로펌 4곳에 의뢰한 법률 검토 내용을 종합해 조만간 이탈 가입자 위약금 면제 관련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날 과방위 소속 의원들은 SK텔레콤이 과점 상태인 통신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수익을 올려왔던 점을 꼬집었다. 정동영 민주당 의원은 “이번에 국민들이 받은 충격과 피해를 생각하면 2500억원 정도는 사업자가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자꾸 7조원을 말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협박이라고 생각한다”고 질타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도 “고객들이 신뢰가 떨어졌기 때문에 떠난다는 것”이라며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느냐가 제일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전날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대국민 사과를 하면서 “보안 영역을 국방, 안보로 보겠다”고 한 데 대해서도 기업의 책임을 국가 안보의 문제로 ‘프레임 전환’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청문회에 나오지 않은 최 회장이 불출석사유서 제출 시간을 넘겨 사유서를 냈다는 이유로 ‘고발’ 경고까지 나왔다.

이날 청문회에선 SK텔레콤이 국내 통신 3사 중 유일하게 유심 인증키를 암호화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 최근 추가로 발견된 악성코드 8종이 사고 초기 악성코드들이 나온 기존 서버에서 발견된 사실이 확인됐다. 이에 기존에 공격받은 서버들 외에 다른 곳에서도 개인정보 유출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우려는 일단 줄어들게 됐다. 이번 해킹 사고의 취약점으로 의심됐던 이반티의 가상사설망(VPN) 장비는 이달 초 SK텔레콤에서 사용을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971 김문수, '단일화 조사' 강행에 내일 대구·부산 일정 취소 랭크뉴스 2025.05.08
49970 '방송중단' 백종원, 이번엔 '닭뼈튀김기'로 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5.08
49969 시진핑 “중러, 일방주의 함께 대응해야” 랭크뉴스 2025.05.08
49968 파국 치닫는 단일화…김문수·한덕수 '빈손 회동'에 적전분열(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08
49967 경찰, '작곡비 사기 논란' 유재환 불구속 송치 랭크뉴스 2025.05.08
49966 한국 잠재성장률, ‘고령화’로 치명타…2040년대엔 0.1% 랭크뉴스 2025.05.08
49965 중·러 “북한에 대한 강압적 제재·압박 포기해야” 공동성명 랭크뉴스 2025.05.08
49964 '재판 족쇄' 풀고 재계 만난 이재명 "계엄 선포하듯 정책 추진 안 해" 친기업 메시지 랭크뉴스 2025.05.08
49963 '재상폐 총력 대응' 위믹스 "김앤장·세종 선임해 가처분…이르면 이번주 신청" 랭크뉴스 2025.05.08
49962 ‘후보 교체’ 꺼낸 지도부…‘법적 대응’ 나선 김문수 랭크뉴스 2025.05.08
49961 중국 기업 ‘美 탈출 러시’, 대안은 이집트?… “兆 단위 투자 예상” 랭크뉴스 2025.05.08
49960 SKT “위약금 면제 시 7조원 손실”…의원들 “2500억 정도” 반박 랭크뉴스 2025.05.08
49959 콘클라베 기간, 통닭 못먹고 '냅킨' 검사까지 하는 까닭은 랭크뉴스 2025.05.08
49958 트럼프, 금리 동결한 연준 의장 비판…"아무것도 모르는 바보" 랭크뉴스 2025.05.08
49957 다음 달부터 퇴직연금 중도해지 수수료 내려간다 랭크뉴스 2025.05.08
49956 김문수 "지도부, 손 떼야"‥권성동 "알량한 후보 자리 지키기 한심" 랭크뉴스 2025.05.08
49955 李재판리스크 털었지만…민주, '조희대 거취압박' 전방위 공세(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08
» »»»»» SKT “위약금 면제 시 최대 7조원 손실”…의원들 “국민 협박하나” 랭크뉴스 2025.05.08
49953 [단독]경찰, 이재명·김문수는 빼고 한덕수 자택만 ‘24시간 경비 인력 투입’···왜? 랭크뉴스 2025.05.08
49952 李 재판 연기에도 민주 "조희대 사퇴하라" 공개 압박... '특검'은 보류 랭크뉴스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