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잇단 논란에 위기 빠진 더본코리아

세번째 사과 “제2창업 원년 삼겠다”

브랜드 25개 중 2개가 매출 절반 차지
매출·원산지 허위 의혹 등 줄잇고
본사·가맹점 갈등과 주주 감시 직면
점주와 상생 속 위기탈출 할지 주목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6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영상에서 회사와 관련한 비판에 대해 허리 숙여 사과하고 있다. 백 대표는 이 영상에서 현재 촬영 중인 방송을 제외한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고 회사의 성장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백종원 유튜브 영상 갈무리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본인과 회사를 둘러싼 연이은 논란에 결국 방송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그동안 백 대표의 이름값과 달리 더본코리아는 ‘대박’을 치는 일부 프랜차이즈 브랜드 가맹점을 제외한 나머지 가맹점들의 경영 사정이 악화됐다는 비판이 집중된 바 있다. 산하 브랜드의 수익성 악화에 대한 의구심이 일며 시장에서 주가가 떨어졌고, 이를 지탱하던 백 대표마저 갖가지 논란에 휩싸이면서 더본코리아가 위험에 빠졌다는 신호가 줄을 이었다.

상장 동력 ‘유명세’가 부메랑으로

6일 백 대표는 자신의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2025년을 더본코리아가 완전히 새로워지는 제2의 창업 원년으로 삼겠다”며 “현재 촬영 중인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겠다. 방송인이 아닌 기업인으로서 저의 모든 열정과 온 힘을 오롯이 더본코리아의 성장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백 대표가 방송 활동 중단을 선언한 것은 더본코리아가 지난해 11월 상장 뒤 각종 논란이 이어지고 확산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더본코리아는 지난해 연돈볼카츠 매출 허위·과장 논란을 시작으로 올해 1월 ‘빽햄’ 선물세트 논란, 된장과 간장 생산 관련 농지법 위반과 원산지 허위 표시 혐의, 식품위생법 위반, 직원 블랙리스트 의혹까지 불거졌다. 최근 백 대표는 ‘덮죽’ 제품과 ‘쫀득 고구마빵’ 제품의 허위 광고 의혹으로 입건돼 경찰 수사도 받고 있다.

소수 브랜드 의존 사업구조

그의 이날 발언에서 눈길을 끈 대목은 “이제부터는 단 한분의 점주님도 두고 갈 수 없다는 각오를 다졌다”고 한 부분이다. 기존의 사업 전략을 유지한다면 공허한 메아리에 그칠 약속일 수 있어서다.

더본코리아는 그동안 여러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수시로 만든 뒤 성공하는 1~2개 브랜드에 집중하고 성과가 작은 브랜드는 접거나 지원을 줄이는 전략을 취했다. 이런 까닭에 더본코리아에는 새로 문을 여는 가맹점이 많은 만큼 문을 닫는 가맹점이 많았다.

실제 지난해 말 현재 더본코리아의 브랜드는 모두 25개에 이르지만, 이 중 빽다방과 홍콩반점0410 두 브랜드의 매출이 더본코리아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한다. 가맹점 수도 각각 1712개, 293개로 전체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롤링파스타와 역전우동0410, 빽보이피자 등 다른 브랜드들의 매출 비중은 각각 5% 정도다. 지난해엔 16개 브랜드의 가맹점 수가 감소했다.

프랜차이즈 잔혹사 넘어설까

국내 프랜차이즈 사업 모델은 더본코리아 같은 프랜차이즈 본사가 가맹점비뿐만 아니라 필수 품목 등을 가맹점에 팔아 많은 수익을 남기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본사와 가맹점 간의 이해관계가 때때로 충돌한다.

특히 상장 프랜차이즈는 가맹점주뿐만 아니라 주주라는 또다른 이해관계자도 고려해야 한다. 여러 프랜차이즈 본사가 상장까지 성공했지만 이후 경영권 분쟁, 실적 부진, 가맹점과의 갈등 등으로 인해 상장 폐지되거나 거래가 정지된 사례도 적지 않은 점에서 더본코리아 역시 험난한 앞날을 예고한다. 2016년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맘스터치는 6년 만에 ‘경영활동 유연화와 신속한 의사결정’을 이유로 자진 상장 폐지했으며, 연안식당과 마포갈매기 등을 운영하는 디딤이앤에프 역시 2017년 상장한 뒤 지속적인 적자와 경영권 분쟁 등으로 상장 폐지 위기에 내몰렸다.

백 대표가 많은 산하 브랜드의 점주들과 상생을 하면서 높은 이익률로 주가를 높이길 바라는 주주 요구를 동시에 이뤄낼 수 있을지 시험대에 올랐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55 차에 탄 채 115m 협곡 추락했는데…주인은 사망, 고양이는 멀쩡 랭크뉴스 2025.05.07
49054 한미 외교장관 통화… 조태열 "관세 협의, 충분한 시간 갖고 협의해 나가자" 랭크뉴스 2025.05.07
49053 독일 새 정부, 출범부터 '삐걱'... 총리, 의회 투표 낙마→기사회생 랭크뉴스 2025.05.07
49052 푸틴, 이란 대통령·이스라엘 총리와 잇단 통화 랭크뉴스 2025.05.07
49051 김문수 “단일화 내가 주도”…권성동 “전당원 투표 그대로 진행” 랭크뉴스 2025.05.07
49050 권성동 “김문수·한덕수, 후보 등록 전 단일화 로드맵 제시해야” 랭크뉴스 2025.05.07
49049 서울 도심에서 또 흉기 난동‥정류장 등 시민 5명 다쳐 랭크뉴스 2025.05.07
49048 나도 모르는 내 연봉 5천만 원? '유령 월급' 왜 주나 했더니 랭크뉴스 2025.05.07
49047 민주당, 이재명 첫 재판 전날 조희대 청문회 연다‥"표적 재판 기획자" 랭크뉴스 2025.05.07
49046 국민의힘, 한덕수에 목매는 이유는? 대선보다 당권? 尹 복귀 프로젝트? 랭크뉴스 2025.05.07
49045 추기경 133명 바티칸 집결…전세계가 ‘흰 연기’ 기다린다 랭크뉴스 2025.05.07
49044 EU, 러 에너지와 '헤어질 결심'…가스계약 중도파기 초강수(종합) 랭크뉴스 2025.05.07
49043 그네 대신 지팡이…유치원 대신 ‘노치원’ 랭크뉴스 2025.05.07
49042 북극의 ‘나비효과’, 올여름 폭염·폭우 가능성↑ 랭크뉴스 2025.05.07
49041 "회식 때 결제할테니, 준비해달라"…송가인 매니저 사칭 주의보 랭크뉴스 2025.05.07
49040 미 ‘환율 압박’에 대만달러 ‘패닉 강세’…아시아 외환시장 들썩 랭크뉴스 2025.05.07
49039 필리핀서 납치된 한국인, 사흘 만에 풀려나…”건강 양호” 랭크뉴스 2025.05.07
49038 [사설] "일정 중단" 김문수, "배신"이란 지도부...점입가경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5.07
49037 러시아 전승절 행사에 북한 대사급 참석···김정은 불참할듯 랭크뉴스 2025.05.07
49036 이석연 "대법원, 대선 전에 李 선고 강행하면 위헌 무효"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