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화, 롯데, CJ, 네이버 등과 사업 협력 논의
트럼프 주니어, 30일 저녁 출국 예정

1박 2일 일정으로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와 국내 재계 총수들과의 ‘릴레이 면담’이 마무리됐다. 30일 이른 아침부터 진행된 총수들과의 면담은 구체적인 시간과 동선을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극비리에 이뤄졌다. 개별 면담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사이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지난 29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에 도착, 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뉴스1

이날 가장 먼저 모습을 드러낸 것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 등 한화그룹 3형제였다. 이들은 면담을 마친 후 오전 8시45분쯤 호텔 이스트동에 있는 한 커피숍에서 커피를 포장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한화 3형제는 트럼프 주니어와 면담이 예정된 기업 총수 중 앞쪽 순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대화에서는 한화그룹이 미국에서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는 조선, 태양광 사업과 관련한 대화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30일 트럼프 주니어가 있는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의 커피숍에 모습을 드러낸 김동원(왼쪽) 한화생명 사장과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연합뉴스

최근 이사회로 복귀한 네이버(NAVER) 창업자 이해진 의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AI(인공지능) 등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AI,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이 유일하게 면담에 참여했다. 양 회장은 다양한 투자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겸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의 면담에 참여했다. 신 부사장은 롯데가 주력하는 신사업인 바이오 분야에 대한 협력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미국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한 후 증설해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중 처음으로 미국 내 생산을 시작한다.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 /롯데 제공

신 부사장은 이날 면담에 앞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단장으로 하는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사절단과 동행해 지난 28~29일 인도네시아를 방문했다. 이후 신 회장은 베트남으로 이동해 현지 사업 점검 등 남은 일정을 소화하고, 신 부사장은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재현 CJ그룹 회장과도 만났다. CJ그룹은 미국에서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데, 특히 CJ제일제당이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7000억원을 투입해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안 식품 공장을 짓고 있다. 이 회장은 식품 수출 시 관세 장벽과 유통 규제 해소 필요성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현 CJ그룹 회장. /CJ 제공

이 밖에도 트럼프 주니어는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 구자은 LS 회장, 문주현 엠디엠그룹 회장,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등과 만나 면담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번 방한에서 4대 그룹 총수들과의 만남은 성사되지 않았다. 해외 체류 중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제외하더라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모두 이번 면담에 불참했다.

트럼프 주니어와 국내 재계 총수들과의 만남은 관계자 외 접근이 차단된 호텔 내 별도의 보안 구역에서 진행됐다. 건물 내 이동 동선도 취재진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취재진 상당수가 로비 입구와 호텔 객실로 연결되는 길목을 지켰지만, 총수들은 바닥 도장 보수공사를 이유로 출입을 통제한 지하 4층 주차장을 통해 드나든 것으로 추정된다.

트럼프 주니어는 지난 29일 오후 6시20분쯤 전세기편으로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했다. 이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자택으로 이동해 오후 9시부터 2시간가량 만찬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1박 2일의 짧은 방한을 마치고 이날 저녁 출국한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03 [속보] 미, 1분기 GDP 증가율 -0.3% ‘역성장’…관세 악영향 ‘신호탄’ 랭크뉴스 2025.04.30
46402 [속보] 미 3월 개인소비 물가 전년대비 2.3%↑…근원지수 2.6%↑ 랭크뉴스 2025.04.30
46401 김문수 "늦지 않게 한덕수와 꼭 단일화" vs 한동훈 "빅텐트 해도 기본 지켜야" 랭크뉴스 2025.04.30
46400 트럼프발 관세 부메랑 맞은 美…3년 만에 '역성장 쇼크' 랭크뉴스 2025.04.30
46399 韓대행, 내일 오후 사퇴…2일 대선 출마 선언할 듯(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30
46398 “더이상 특혜는 없다”··· 복귀 시한 종료, 의대생 절반 이상 유급 사태 눈앞 랭크뉴스 2025.04.30
46397 143억 털린 킴 카다시안…71세 할아버지 강도 "자녀 부양하려고" 눈물 랭크뉴스 2025.04.30
46396 곽종근 “윤, 계엄 전 ‘반국가세력’에 경향신문·한동훈 찍었다” 랭크뉴스 2025.04.30
46395 檢 "건진, 취임식에 통일교 간부 초청해달라 김여사에 목걸이 청탁" 랭크뉴스 2025.04.30
46394 트럼프 관세 부메랑…美 1분기 GDP -0.3% '역성장 쇼크' 랭크뉴스 2025.04.30
46393 선교 홍보 초콜릿 먹은 중학생 이상 증세 호소···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4.30
46392 ‘관세여파’ 美 1분기 경제성장률 -0.3%… 3년만에 역성장 랭크뉴스 2025.04.30
46391 ‘이재명 선거법’ 1일 상고심 선고…속전속결 배경은? 랭크뉴스 2025.04.30
46390 이재명, '대선출마 임박' 韓대행에 "최소한의 책임 저버리지 말라" 랭크뉴스 2025.04.30
46389 복귀 시한 종료…의대생 절반 이상 유급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30
46388 이재명, 한덕수에 "출마 좋지만 최소한의 책임 저버리지 말길" 랭크뉴스 2025.04.30
46387 'SKT 해킹' 경찰 본격 수사착수‥'BPF도어' 경고 있었는데 "몰랐다" 랭크뉴스 2025.04.30
46386 “그래도 유심 바꿀래요”…불안 속 더딘 유심 공급 왜? 랭크뉴스 2025.04.30
46385 청주 ‘흉기 난동’ 고교생, 구속…“도망 염려 있어” 랭크뉴스 2025.04.30
46384 ‘트럼프 책사’ 미란, 대형 채권 투자자 회동서 관세 해명 실패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