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미국 정부 고위관계자로부터 한국 정부가 관세 협상을 대선 전 매듭짓고 싶어 한다는 발언이 나와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100일을 맞아 열린 경제성과 브리핑.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한국과 일본의 선거 일정으로 현상 진행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오히려 반대"라며 "이 나라들은 선거 전 협상의 틀을 완성하길 원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이들 정부는 선거 전에 무역 협상의 틀을 완성하고 싶어 합니다. 그렇게 해야 미국과 성공적으로 협상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베센트 장관은 이어 "이들 국가가 협상을 타결지은 뒤 자국 선거를 준비하고 싶어 한다"는 발언도 덧붙였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그들이 협상 테이블에서 적극적으로 일을 마무리 짓고, 돌아가 선거운동을 하려는 점을 알게 됐습니다."
한국 정부가 6·3 조기 대선에 앞서 무역협상과 관련한 합의를 원한다는 뜻을 미국에 전했다는 취지로 해석됩니다.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귀국하면서 밝힌 내용과는 뚜렷한 온도 차가 있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지난 24일)]
"향후 협의의 범위와 일정과 관련하여 우리 측은 상호 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한 '줄라이 패키지'를 마련할 것과…"
한덕수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선언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여권 주변에선 '트럼프 정부와의 협상력'을 출마 명분 중 하나로 거론하는 상황.
실제로 정부가 관세협상 결과를 도출한 뒤 대선을 준비하려 한다는 태도를 보였다면 심각한 관권 선거 논란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빠른 해명이 필요하다"며 "한덕수 총리가 자신을 위한 정치적 꽃길을 까는 데 국익을 이용했다면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파장이 커지자 기획재정부는 오늘 오전 설명자료를 내고 "통상협의에서 한국의 정치상황과 국회와의 소통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며 "대선 전 타결 의사를 전달하거나 논의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