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29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 경제 성과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한국과 미국 간 관세 협상과 관련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29일(현지시간) “협상의 윤곽이 잡혀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지난 24일 워싱턴 DC 재무부 청사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한ㆍ미 2+2 통상 협의’를 가졌었다.

베센트 장관은 29일 오전 미 백악관에서 진행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 경제 성과 브리핑에서 한국과 인도ㆍ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의 협상 타임라인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그들은 협상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한국과의 협상은 윤곽이 잡혀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일본과도 상당한 대화를 나눴다”고 답했다.



“韓, 문제 해결 뒤 선거운동 의지 강해”
베센트 장관은 한국의 6ㆍ3 대선과 일본의 7월 참의원 선거 등 국내 정치적 요인 때문에 선거 전까지는 포괄적 합의가 어려울 가능성에 대한 물음에 “저는 사실 그 반대라고 본다”며 “이들 국가 정부는 미국과 성공적으로 협상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선거 전에 무역 협상의 틀을 마련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우리는 그들이 실제로 협상 테이블로 와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난 뒤 선거운동을 하려는 의지가 훨씬 더 강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이 2+2 협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한미 양국이 상호 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한 것과는 다소 결이 다르다. 당시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며 사실상 6월 대선 이후 들어서는 차기 정부에서 미국과의 무역 협정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었다. 현지 외교 소식통은 “베센트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경제 성과를 홍보하기 위한 브리핑이었던 만큼 실제 진행 상황보다 긍정적으로 묘사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첨예한 ‘관세전쟁’을 치르는 중국과의 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누가 누구와 대화하는지는 얘기하지 않겠다”면서 “시간이 지나면 중국의 관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 관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중국은 천만 개의 일자리를 순식간에 잃을 수 있고 관세가 인하되더라도 500만 개의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 18개국과의 중요한 무역 관계를 다루며 일단 중국은 제쳐두고 17개국과 진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첫 타결국 인도 될 가능성…“매우 근접”
일부 국가와의 관세 협상 중에선 인도가 첫 타결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베센트 장관은 “인도와 관련해선 (협상 타결에) 매우 근접해 있다”며 “그들(인도 정부)은 높고 많은 관세가 있어 (비관세 장벽보다) 협상이 더 용이하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미시간주 매콤 카운티에서 열리는 취임 100일 기념 연설을 위해 워싱턴 DC 백악관을 떠나면서 취재진과 대화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백악관을 나서면서 인도와의 무역 협상에 대해 “인도는 잘 진행되고 있다”며 “난 우리가 인도와 합의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들은 합의하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이날 미 CNBC 방송 인터뷰에서 “한 국가와의 협상을 완료했으나 상대국 총리와 의회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곧 (승인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해당 국가의 이름을 특정하진 않았지만 인도를 가리킨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美상무부, 자동차 부품관세 2년간 완화
이런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외국산 수입 부품으로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들을 위해 부품 관세를 2년간 깎아주기로 했다. 미 상무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의 자동차 부품 관세 완화 정책을 소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정책 변경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예정이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미국에서 자동차를 완성해 미국에서 판매한 업체가 그 기록을 상무부에 내면 자동차 가격 15%에 해당하는 금액의 ‘크레딧(credit)’을 받게 되는데, 업체는 향후 자동차 부품을 수입할 때 이 크레딧만큼 부품 관세를 ‘상쇄’(offset)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업체들이 (차에 들어가는) 부품의 15%는 관세 없이 외국에서 가져와 자동차에 넣을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당국자는 설명했다.

이 정책은 향후 2년간 실시될 계획이다. 첫해에는 크레딧 인정 비율이 자동차 가격의 15%인데 이는 현행 25%인 부품 관세를 3.75%포인트(0.25x0.15=0.0375) 낮추는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두 번째 해에는 크레딧 인정 비율이 10%로 낮아진다.

고위 당국자는 그간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에 완전한 공급망 구축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호소해 이번 정책을 시행한다면서 “2년은 충분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지난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 관세는 내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 적용된다.

미국은 지난 4월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 관세는 오는 5월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된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98 검찰, 尹부부 사저 첫 압수수색…건진법사 청탁 의혹 수사(종합) 랭크뉴스 2025.04.30
50797 손님 태운 전기차 택시 주행중 '쾅'…순식간 불났다 무슨일 랭크뉴스 2025.04.30
50796 한동훈 "국힘 경선 진행 중인데… '한덕수와 단일화' 언급, 옳지 않다" 랭크뉴스 2025.04.30
50795 검찰, '尹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 랭크뉴스 2025.04.30
50794 오세훈 “명태균, 가족 명예 지키고 싶으면 진실만 말하라”···SNS서 적개심 표출 랭크뉴스 2025.04.30
50793 검찰, ‘건진법사 의혹’ 尹 사저 압수수색…“청탁금지법 위반 사건” 랭크뉴스 2025.04.30
50792 오세훈 “명태균, 가족의 명예 지키고 싶으면 진실만 말하라” 랭크뉴스 2025.04.30
50791 [속보] 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 윤여준 강금실 정은경 랭크뉴스 2025.04.30
50790 “관세 폭탄 맞은 한·중·일 제조업” 韓 버티기 中·日 흔들 랭크뉴스 2025.04.30
50789 [속보]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에 '윤여준·박찬대' 투톱 랭크뉴스 2025.04.30
50788 [속보] 이재명 "포괄임금제 근본적으로 검토" 랭크뉴스 2025.04.30
50787 검찰, ‘건진법사 청탁금지법 위반’ 윤 전 대통령 사저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30
50786 [속보]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6조6853억…‘갤럭시 S25’ 효과 랭크뉴스 2025.04.30
50785 한덕수, 결국 대선행···내일 사퇴, 관계자들은 여의도 사무실 입주 랭크뉴스 2025.04.30
50784 [속보] 검찰, 尹부부 서초동 사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 랭크뉴스 2025.04.30
50783 삼성전자, '갤럭시 효과'에 1분기 호실적…매출 사상 최대(종합) 랭크뉴스 2025.04.30
50782 서울버스 ‘준법투쟁’ 돌입…“배차 간격 점점 늘지만 큰 불편 없어” 랭크뉴스 2025.04.30
50781 [인생 한 컷]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또 있었다... '고독한 외나무다리 샷' 랭크뉴스 2025.04.30
50780 김문수 측 “유의동도 지지” 주장···유의동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냐” 랭크뉴스 2025.04.30
50779 진화된 대구 함지산 6시간 만에 다시 불…“헬기 14대 투입”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