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산책로서 '개선충 감염' 너구리 목격담
지자체 "포획 시 야생동물구조센터서 치료"
지자체 "포획 시 야생동물구조센터서 치료"
지난 24일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수변 산책로에서 '개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너구리가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인천 송도국제도시 도심 공원에서 온몸에 털이 빠져 있는 동물을 목격했다는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이 동물의 정체는 '개선충'에 감염된 너구리인 것으로 밝혀졌다.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해당 동물이 포착된 시점과 장소는 지난 23일과 24일, 송도 모 고등학교 인근 수변 산책로였다. 머리와 꼬리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털이 빠진 채 앙상하게 마른 듯한 모습이었다.
이에 대해 서문홍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사는 "개선충에 감염된 너구리"라고 설명했다. 몸길이 0.3∼0.4㎜의 진드기인 개선충에 감염되면 귀와 겨드랑이, 복부, 다리 쪽에서 시작돼 결국 몸 전체의 털이 빠진다. 심한 가려움증과 표피 박리, 만성 피부염 등도 유발한다. 서 연구사는 "너구리는 단체 생활을 하는 동물이라, 한 마리가 감염되면 주변 다른 개체도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며 "개선충 감염은 각 개체와 주변 서식 환경 등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걸 보여 준다"고 덧붙였다.
앞서 인천시설공단은 송도 도심 공원에서 너구리가 자주 출몰하자 "가까이 접근하면 상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 채 모른 척 지나가 달라"고 당부하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인천 연수구는 너구리들이 기존 서식지인 농경지나 산림지가 잇따라 개발됨에 따라, 결국 도심 내 공원에까지 넘어 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수구 관계자는 이날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개선충 관련 예방약은 따로 없지만, 정기적으로 너구리의 주요 출몰지에 광견병약을 살포해 질병을 예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부상당한 너구리를 구조하기 위한 포획틀 설치 작업을 진행 중이며, 포획된 너구리는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보내 치료를 받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