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의 소박한 무덤./EPA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가 끝난 뒤에도 전 세계 신자들의 추모 행렬은 식지 않고 있다. 장례 미사 다음 날인 27일(현지 시각), 이탈리아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성모 대성전)에서 교황의 무덤이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됐다.
교황청에 따르면 이날 하루 동안 3만여 명의 신자가 무덤을 참배하며 교황을 추모했다. 이탈리아 일간지 라레푸블리카는 신자들이 이른 새벽부터 줄을 서기 시작해, 참배를 위해 평균 2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할 정도로 긴 대기열이 이어졌다고 전했다. 참배객들은 무덤 앞에서 성호를 긋거나 휴대전화로 사진을 찍으며 프란치스코 교황을 기렸다.
공개된 무덤은 소박한 모습이었다. 무덤에는 라틴어로 ‘프란치스쿠스’라는 교황명만이 새겨졌고, 흰 장미 한 송이와 함께 그가 생전에 목에 걸었던 철제 십자가 복제품이 무덤 위 벽면에 걸렸다. AP통신은 부드러운 빛이 무덤과 십자가를 따뜻하게 비추며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했다고 전했다.
무덤은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일반에 개방되며, 이날 오후 4시에는 추기경단이 별도로 교황의 무덤을 참배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관은 전날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거행된 장례 미사 후 성모 대성전으로 옮겨져 비공개로 안장됐다. 그는 전통적인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지가 아닌, 평소 자주 찾으며 각별한 애정을 보였던 이곳을 자신의 장지로 선택했다. 생전 100회 이상 이곳을 찾아 기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장례 미사에는 약 25만 명이 직접 참석했고, 로마 시내를 따라 이어진 운구 행렬에도 15만 명이 함께하며 교황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각국 정상과 약 220명의 추기경, 수많은 신자가 교황의 생애를 기리기 위해 모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재위 기간 내내 “장벽이 아니라 다리를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이러한 신념을 행동으로 실천해 왔다. 조반니 바티스타 레 수석 추기경은 전날 장례 미사 중 이 발언을 인용하며 교황의 정신을 기렸다.
현재 교황을 기리는 9일간의 애도 기간(노벤디알리)은 5월 4일까지 이어지며, 5월 6~11일 사이 차기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추기경 비밀회의)가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콘클라베는 교황 선종 후 15~20일 이내에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