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성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차세대 6G 이동통신의 핵심 요소로 꼽히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은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을 위해 ‘통신탑재체·지상국’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단말국’은 통신장비전문기업 쏠리드, ‘본체·체계종합’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각각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 사업은 저궤도 통신위성 2기와 지상국·단말국으로 구성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위성과 지상간, 위성과 위성간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탑재체와 위성 종합체계 등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지난해 정부는 관련 예산을 확보한 데 이어 제도적 준비를 단계적으로 수행해왔다. 지난 2월 서비스에 필요한 주파수 공급을 위한 주파수 분배표 개정, 지난 4월 혼신 없는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 기준을 개정했다. 같은 달 전파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이에 따라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 X’의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도 안테나(단말) 적합성평가, 국경간 공급 협정 승인을 받으면 국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가 도입되면 인터넷 취약지역의 통신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진, 화재, 전쟁 등 지상 통신망이 마비되는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가 안전과 안보 측면에서도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에선 인터넷 취약지역이 거의 없다보니 우선 선박·항공기에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업계에선 보고 있다.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은 “국내에도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가 도입되면 항공기의 기내 통신환경이 고속 와이파이 환경으로 개선되고, 특히 장기 항해 선박의 선원들에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영상통화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 선원 복지가 대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