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6일 오전 10시 성 베드로 광장서
약 25만 명 참석해 교황 생애 기려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 미사의 주례를 맡은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이 26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의 관을 축복하고 있다. 바티칸=로이터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 미사가 26일 오전 10시(한국시간 오후 5시) 바티칸에서 거행됐다.
약 20만 명이 광장을 비롯, 바티칸 밖 로마에 모여 교황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미사는 성 베드로 대성당 앞 광장에서 열렸다. 엿새 전인 20일 이곳에서 열린 부활 미사에서 교황은 마지막으로 신자들을 만났다. 교황은 21일 선종했다.

미사 시작 15분 전 대성당 종이 울렸다. 전날 저녁 7시까지 일반 조문이 이뤄졌던 대성당에서 교황이 곧 광장으로 나올 것이라는 예고였다. 광장엔 침묵이 흘렀다. 10시 정각, 추기경과 주교들이 대성당 내 중앙 통로 양 옆에 도열하며 미사는 시작됐다. 교황이 관은 그 사이를 천천히 이동했다. 관이 야외 제단으로 이동할 때 광장 안팎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해 이 모습을 지켜보던 미사 참석자들은 일제히 박수를 쳤다.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 미사가 열리는 26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추모객들이 미사에 참석하고 있다. 바티칸=AP 연합뉴스


미사는 추기경단 단장인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 주례 하에, 220명의 추기경과 750명의 주교 및 사제들이 공동 집전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성가 '주여, 영원한 안식을 내리소서'가 울려 퍼졌고, 기도 및 성경 강독이 이어졌다. 신자들의 기도는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독일어, 중국어 등 여섯 개 언어로 낭독됐다. 장례 미사에서 중국어 기도문이 낭독된 것은 처음이다.

레 추기경은 강론에서 교황의 생애를 기렸다. 그는 교황이 이주자, 가난한 이들을 각별히 여기고, 전쟁을 중단하고자 노력했던 것을 언급하며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 세상에서 영원한 삶으로 떠난 후 며칠 동안 교황에게 쏟아진 애정은 그가 우리의 생각과 마음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준다"
고 말했다. 강론 중간중간 박수가 터져나왔다.

교황청은 이탈리아 내무부 등을 인용, 미사 참석자가 약 20만 명이라고 발표했다가 미사가 끝난 뒤 참석자 규모를 25만 명으로 수정했다. 전임자인 베네딕토 16세 은퇴 교황의 장례 미사 당시 조문객(약 5만 명)의 4배에 달한다. 60여개 국가 정상을 비롯, 130여개 국 대표단도 미사에 참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부부,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 부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밀레이 하비에르 아르헨티나 대통령 등이 참석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모습을 보였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42 ‘노후 하강’ 중인 우주정거장...‘트럼프 칼바람’ 맞고 급추락 위기 오나 랭크뉴스 2025.04.27
49341 고국서 ‘간첩’ 몰린 재일교포…국가는 또 “소멸시효” 주장 랭크뉴스 2025.04.27
49340 국회 예정처, 기존 사업 정리 대신 빚만 늘린 추경 방식 지적 랭크뉴스 2025.04.27
49339 [샷!] '균이 형' 에드워드 리 랭크뉴스 2025.04.27
49338 3차 연평해전 도발?…김정은, NLL 무시 ‘중간계선해역’ 첫 언급[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27
49337 ‘광주 학동 참사’ HDC현산에 영업정지 8개월 처분 “타당” [장서우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4.27
49336 노후화로 '낙하' 중인 국제우주정거장...'트럼프 칼바람' 맞고 급추락 위기 오나 랭크뉴스 2025.04.27
49335 국민의힘, 2차 경선 투표…토론서 설전 랭크뉴스 2025.04.27
49334 민주당, 오늘 대선 후보 최종 선출…호남서도 이재명 ‘압승’ 랭크뉴스 2025.04.27
49333 '소년의 시간'이 던진 불편한 질문... 전 세계가 'SNS 고민'에 빠졌다 랭크뉴스 2025.04.27
49332 오죽하면 러도 北에 SOS 칠까…트럼프, 韓조선업 집착 이유 랭크뉴스 2025.04.27
49331 [르포]시공을 초월한 촬영…북유럽 겨울 숲 산책도, 아마존 밀림 탐험도 이곳서 찍는다 [New & Good] 랭크뉴스 2025.04.27
49330 “집 언제 살까요?” 대선정국 속 오리무중… ①시장은 관망 ②분양은 연기 ③토허제 해제 ‘굳이’? 랭크뉴스 2025.04.27
49329 "박정희 같았으면 목숨 끊었다" 전두환 분노의 백담사 유배 랭크뉴스 2025.04.27
49328 ‘반포·방배’ 분양, 내년으로… 올해 서울 분양 2만가구 밑도나 랭크뉴스 2025.04.27
49327 13세때 대마초 걸려 혼쭐난 소년…'대마초 음료'로 대박난 사연 랭크뉴스 2025.04.27
49326 "헌재의 대통령 탄핵은 헌법적 비극... '민주주의 면역력' 회복 과정 되길" 랭크뉴스 2025.04.27
49325 ‘하루 만에 29억’ 한동훈의 반격, 정치의 문법을 새로 쓰다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4.27
49324 막힌 혈 뚫었다? 코바나 그림 대신 판매?…건진법사 누구 랭크뉴스 2025.04.27
49323 “임대 아파트 1억원대 차량이?”…LH, 올해 재계약 거절 17건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