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6일 오전(현지시각) 바티칸 시국의 성 베드로 대성당 파비스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에서 교황의 관이 이동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1일 부활절에 88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EPA/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가 26일 오전(한국시각)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됐다.

미사는 교황의 목관을 성 베드로 성전에서 야외 제단으로 운구하며 시작했다. 장례 미사는 레 추기경이 주례하고 전 세계에서 모인 추기경과 주교, 사제들이 공동으로 집전했다. 신자들은 미사 후 “즉시 성인으로!”(Santo Subito!)를 외쳤다.

이번 장례식에서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뜻에 따라 삼중관 대신 아연으로 내부를 덧댄 소박한 목관 하나만 사용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로마 테르미니 기차역 인근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성모 대성전)을 장지로 택했다.

장례 미사에 앞서 지난 23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일반 조문에는 약 25만명이 성 베드로 성전을 찾아 조의를 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등 세계 정상들도 참석해 교황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 21일 오전 7시 35분 뇌졸중과 심부전으로 선종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 2월 14일부터 이탈리아 로마의 제멜리 병원에 입원해 폐렴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다 지난달 23일 퇴원했다. 교황은 선종 전날인 20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부활절 야외 미사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본명은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리오로, 1969년 사제서품을 받았다. 빈민 사목을 하며 가난한 사람들과 어울리고 축구를 즐겼다. 교황의 이름 ‘프란치스코’는 ‘가난한 이들의 벗’으로 알려진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인’에게서 따왔다. 서민적인 소탈한 모습으로 많은 신자가 따랐던 프란치스코 교황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교구장을 지낼 당시 일상적으로 버스를 타고 다녔고, 대주교 관저 대신 작은 아파트에서 살며 직접 음식을 해 먹는 등 청빈한 삶을 살았다.

26일(현지시각)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에 신자들이 참석하고 있다. 바티칸/AFP 연합뉴스

26일(현지시각)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에서 신자들이 휴대폰으로 장례식을 촬영하고 있다. 바티칸/로이터 연합뉴스

수녀들이 26일(현지시각)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에 참석해 기도하고 있다. 바티칸/로이터 연합뉴스

(왼쪽부터)브리짓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부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알렉산더 스텁 핀란드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멜라니아 트럼프 미국 영부인 등 세계 각국의 정상 등이 장례 미사에 참석하고 있다. 바티칸/AFP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가운데)이 26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에 참석하고 있다. 바티칸/AP 연합뉴스

복음서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관 위에 놓여 있다. 바티칸/AFP 연합뉴스

25일(현지시각)아크라 가나의 성령 대성당에서 열린 미사에서 촛불과 함께 놓인 프란치스코 교황 초상화. 바티칸/AP 연합뉴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33 '소년의 시간'이 던진 불편한 질문... 전 세계가 'SNS 고민'에 빠졌다 랭크뉴스 2025.04.27
49332 오죽하면 러도 北에 SOS 칠까…트럼프, 韓조선업 집착 이유 랭크뉴스 2025.04.27
49331 [르포]시공을 초월한 촬영…북유럽 겨울 숲 산책도, 아마존 밀림 탐험도 이곳서 찍는다 [New & Good] 랭크뉴스 2025.04.27
49330 “집 언제 살까요?” 대선정국 속 오리무중… ①시장은 관망 ②분양은 연기 ③토허제 해제 ‘굳이’? 랭크뉴스 2025.04.27
49329 "박정희 같았으면 목숨 끊었다" 전두환 분노의 백담사 유배 랭크뉴스 2025.04.27
49328 ‘반포·방배’ 분양, 내년으로… 올해 서울 분양 2만가구 밑도나 랭크뉴스 2025.04.27
49327 13세때 대마초 걸려 혼쭐난 소년…'대마초 음료'로 대박난 사연 랭크뉴스 2025.04.27
49326 "헌재의 대통령 탄핵은 헌법적 비극... '민주주의 면역력' 회복 과정 되길" 랭크뉴스 2025.04.27
49325 ‘하루 만에 29억’ 한동훈의 반격, 정치의 문법을 새로 쓰다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4.27
49324 막힌 혈 뚫었다? 코바나 그림 대신 판매?…건진법사 누구 랭크뉴스 2025.04.27
49323 “임대 아파트 1억원대 차량이?”…LH, 올해 재계약 거절 17건 랭크뉴스 2025.04.27
49322 "미국에서 난리라며?"...농심 자갈치를 아시나요? 랭크뉴스 2025.04.27
49321 [작은영웅] “돈은 중요하지 않아요” 어르신이 일하는 진짜 이유 (영상) 랭크뉴스 2025.04.27
49320 한동훈 "왜 12.3 밤 본회의장 왜 안 왔나"‥안철수 "검사 출신 또 뽑겠나" 랭크뉴스 2025.04.27
49319 고속도로 정체에 민원 폭발…도공이 짜낸 5가지 '묘수'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랭크뉴스 2025.04.27
49318 신천지 ‘주의’ 보고, 프랑스 정부 기관…“자유 침해, 심리 통제” 랭크뉴스 2025.04.27
49317 강원 인제 산불 밤샘 진화‥헬기 투입 재개 랭크뉴스 2025.04.27
49316 검찰, 노태우 비자금 의혹 계좌추적…300억원 실체 드러날까 랭크뉴스 2025.04.27
49315 4%대 주담대 금리 ‘요지부동’… 은행채 금리 2.7%로 떨어졌는데 랭크뉴스 2025.04.27
49314 韓대행 출마 가시화에 국힘 경선구도 요동…지지층 표심 향배는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