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예상 밖 美 국채금리 폭등>
상호관세 부과에 글로벌 경제 충격
안전자산 꼽히는 美 국채금리 요동
주식·달러까지 '셀 아메리카' 가속화
<美 자산 30% 외국인 보유>
트럼프 좌충우돌 정책에 불안·불신
외국인 美 보유자산 일부 처분 '역공'
월가에선 "채권자경단이 돌아왔다"
<트럼프의 모순된 정책 목표>
무역수지 적자가 달러패권의 기반
적자 해소·달러패권 유지는 '모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한 후 엑스에 올라온 관련 밈. 펭귄만 사는 무인도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도 10%의 상호관세가 부과된 사실이 알려지며 '펭귄 밈'이 쏟아졌다. 엑스 캡처


‘자유무역 시스템의 종언’으로까지 해석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폭탄 질주가 잠시 주춤해졌다. 글로벌 경제에 충격이 가해지는 만큼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국채금리가 안정될 거란 예상과 달리 채권시장이 요동쳤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들어선 미 국채뿐 아니라 주식∙달러까지 모두 팔아치우는 ‘셀 USA’ 흐름이 가속화하면서 미 국채가 트럼프의 약점이란 얘기까지 나온다.

국채금리 폭등에 ‘트럼프 상호관세’ 멈칫



트럼프가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해방의 날’이라며 상호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직후만 해도 시장금리의 벤치마크로 통하는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4% 안팎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상호관세가 ‘협상용’이 아닐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된 7일 오후부터 급등하더니 발효일인 9일에는 4.58%까지 치솟았다.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면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 국채에 대한 수요가 늘어 금리가 낮아질 거란 ‘교과서적인’ 예상이 빗나간 것이다.

특히 주목되는 건 트럼프가 국채금리 급등을 의식해 9일 오후 전격적으로 ‘중국 이외의 국가들에 상호관세 부과 90일 유예’를 밝힌 시간을 전후해 아시아 시장에서 30년물 미 국채금리가 5%를 돌파한 대목이다. 아시아 시장에서 미 국채금리가 급등한 것 자체가 이례적인데다 대량 매도의 주체가 일본이나 중국일 것이라는 추정이 나왔기 때문이다. 일본과 중국은 미 국채 보유 규모에서 각각 1위와 2위인 국가다.



트럼프는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하면서 90여개 국가들의 협상 요구에 응하기 위해서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시장에선 국채금리 급등에 따른 금융시장의 들썩임 때문일 거란 해석이 나왔다.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로선 가계 및 기업 대출의 기반이 되는 10년물 국채금리의 향배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주식시장의 하락 국면에서 미 국채마저 대량 매도로 금리가 급등하는 상황을 방관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물가를 안정시키려면 금리를 낮추는 게 필수이기 때문이다.

이례적인 주식ᆞ채권ᆞ달러 ‘트리플 약세’



글로벌 시장에서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 국채의 금리 추이가 일반적인 예상을 빗나간 본질적인 이유로 신뢰의 추락이 거론된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법∙제도와 글로벌 규범에 근거하지 않고 감정적인 판단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비친 까닭이다. 더욱이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향한 트럼프의 공개 비난과 노골적인 기준금리 인하 요구는 미국의 금융시스템과 달러의 안정성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켰다.

실제로 올해 들어 뉴욕 증권시장에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12% 넘게 하락했고, 나스닥시장도 20% 가까이 빠졌다. 또 유로화∙엔화 등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연초 대비 9% 넘게 떨어지면서 최근엔 4년 만에 100선 밑으로 내려갔다. 여기에 트럼프가 물가 잡기의 요체로 삼고 있는 10년물 미 국채금리도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서 급등했다.



미국의 주식∙채권∙달러의 동반 약세는 일반적인 현상이 아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미 국채에 대한 수요 증가로 금리가 안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엔 주식시장의 약세와 미 국채 매도가 동시에 진행됐다. 게다가 미국의 기준금리가 주요국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인데도 달러가 약세로 전환됐다.

“美 자산의 최대 30%는 외국(인) 소유”



미국의 4대 사모펀드 운용사 중 하나인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에 따르면 외국인들이 보유한 미국 주식은 19조 달러에 달하고, 국채와 회사채도 각각 7조 달러, 5조 달러 규모다. 이처럼 외국인들이 보유한 31조 달러(약 4경4,000조 원)는 전체 미국 자산시장의 최대 30%에 해당한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를 처분하기 시작하면 그 자체로 충격이 상당할 수밖에 없다.

최근의 미국 주식∙채권∙달러의 트리플 약세에 대해 트럼프가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전방위 관세전쟁에 나서자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우려한 외국인들이 미국 자산 일부를 처분한 결과라는 분석이 많다. 당연히 트럼프의 좌충우돌 정책 추진에 대한 불안과 불신이 작동한 결과일 것이다. 특히 미 국채의 대량 매도와 관련해 월가에선 “채권자경단이 돌아왔다”는 말까지 나왔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FP 연합뉴스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FP 연합뉴스


JP모건은 이 같은 흐름에 대해 “고도의 보호주의적 정책으로의 갑작스러운 전환에 따른 미국의 평판 손상을 감안해야 한다”며 “미국의 정책에 대한 신뢰 하락이 미국 자산에 대한 지불 용의 가격을 낮출 것”이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한발 더 나아가 “미국 자산의 펀더멘털과 미국의 경제 우위에 대한 재평가”를 언급했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시장을 불신하고 있다는 얘기다.

적자 해소ᆞ달러패권 유지라는 ‘모순’



미국 국채가 글로벌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본질적인 이유는 미국의 경제 시스템에 대한 신뢰다. 혁신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함으로써 글로벌 경제의 지평을 넓혀온 점, 유일 기축통화국으로서의 지위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데 대한 평가 등도 한몫한다. 미국의 재정 적자가 천문학적으로 증가했다지만 시쳇말로 미국이 망할 일은 없다고 보는 것이다.

현재의 글로벌 금융시스템은 미국이 빚을 내서 소비하고 무역흑자를 본 교역 상대국들이 그에 대한 대가로 미국 국채를 매입하는 구조에 기반하고 있다. 안전자산이라 외국인 투자자들이 매입하는 것이자 외국인 투자자들이 매입하기 때문에 안전자산으로서의 기반이 더 굳건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트럼프의 일방적이고 감정 섞인 관세전쟁은 이 같은 신뢰의 고리에 균열을 낸 셈이 됐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AFP 연합뉴스


트럼프는 고율 관세로 적자를 해소하고 제조업을 부흥시키되 달러패권은 유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는 지극히 모순된 목표다.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로 교역 상대국들에 달러가 흘러가지 않으면 국제통화로서의 기능은 약화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가 모순된 정책 목표를 ‘묘수’로 여기는 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은 해소되기 어렵다. 파월을 해고하지 않겠다거나 대중 관세를 낮추겠다는 그의 언급이 증시 시황판을 잠시 달굴 수 있지만, 세계 경제가 ‘트럼프의 입’에 좌우되는 상황이 정상일 리 만무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64 삼성, ‘해킹사고’ SKT 이용 임원들에 “빨리 유심 교체해라” 랭크뉴스 2025.04.26
48963 “민주당이 뭘 해줬나”…이재명, ‘경선 투표율’ 비상 호남서 총력전 랭크뉴스 2025.04.26
48962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 미사, 한국시간 오후 5시 … “주여 , 영원한 안식을 내리소서” 랭크뉴스 2025.04.26
» »»»»» 트럼프 좌충우돌에 美 국채 신뢰 '흔들'[양정대의 전쟁(錢爭)외교 시대] 랭크뉴스 2025.04.26
48960 "친구가 다쳤어요" 거짓말…친구 엄마에 1억 뜯은 30대 실형 랭크뉴스 2025.04.26
48959 철통 보안 속 프란치스코 교황 마지막 길…30만명 운집 예상 랭크뉴스 2025.04.26
48958 트럼프 “러시아·우크라, 합의에 매우 근접 …최고위 수준에서 만나야” 랭크뉴스 2025.04.26
48957 집 보여주는 수고비 받겠다?…공인중개사 '임장비' 추진 논란 랭크뉴스 2025.04.26
48956 개인에겐 갈 수 없다는 한은 관봉권…어떻게 건진법사 자택에? 랭크뉴스 2025.04.26
48955 풋고추 한 개·조미김 몇 장…‘1만 2천 원짜리’ 도시락 논란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26
48954 [정책 인사이트] 고교학점제 첫 적용 09년생 고1 “자퇴하고 싶어요” 상담 급증 랭크뉴스 2025.04.26
48953 천연 영양제 제철 과일, 건강한 단맛으로 챙기는 봄철 건강 [쿠킹] 랭크뉴스 2025.04.26
48952 홍준표 "조국 수사, 가족 도륙‥법에도 눈물 있어"‥한동훈 "왜 민주당에만 눈물?" 랭크뉴스 2025.04.26
48951 “집만 둘러봐도 돈 지불해야”...공인중개사 ‘임장비’ 추진 랭크뉴스 2025.04.26
48950 "시장 문 열어라"...중국 압박 수위 높이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4.26
48949 유시민 4년 전 ‘檢 악마화’ 사과했는데…이번엔 ‘법원 때리기’ 랭크뉴스 2025.04.26
48948 트럼프 “중국이 시장 개방 안하면 145% 관세도 철회 안 해” 랭크뉴스 2025.04.26
48947 유심 복제 우려에 고개 숙인 SKT "2,400만 가입자 무상교체" 랭크뉴스 2025.04.26
48946 '나혼산' 이주승과 반려견 '코코'의 불편한 동거는 왜?  [연예개] 랭크뉴스 2025.04.26
48945 '재건축 특례법' 논의도 안 하면서… 李 "용적률 높이겠다" 랭크뉴스 2025.04.26